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김태연-
dc.creator김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6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18-
dc.description.abstractThe essence of the art consists in expressing the human life. If we assume that art is fundamentally derived from the human life, the art, in turn, has to be resolved into the daily life of the ordinary people. Here, what the daily life means is nothing but the form of our existence and accordingly is an aggregation of various human experiences. This is not, of course, a simple and fragmentary phase of our life, but should be considered monetary phase of our life, bu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vivid expression of the human life, with which the researcher is deeply concerned mentally. Therefore the artist has the earnest recognition and strong interest in human lif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what he expresses as an artist derives from his own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his artistic emotion and his view of life through his works. He creates his images formed by his own particular method of expression. In other words, in his images are engraved all of his daily experiences. The researcher pursues the moment of reflecting herself thorough the process of the working of the fiber expression, and thorough it she wants to recognize the meaning of her daily routin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daily life is sought after through her works of the formative art with reference to its bibliography. And of the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omic strip, that element with the strong communicative factor is positively introduced into the works. Owing to the fact that many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the very comic strip, can recognize the main subject of the work more easily and more intimately and so its visual effect can be maximized. The researcher has the intention to study the various symbols and literal functions and the system inherent in the comic strip with the help of bibliographic materials and furthermore, by this study,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omic strip can be ascertained to have not only the capacity for the communication of its proper message but also the function of the visual formation. The researcher wants to testify the progressive extension of the influence of this art, comic strip. And the researcher particularly, with the experience through the workshop for the comic expression of the daily life, wants to utilize the possibility of its visual and communicative effects. More precisely, the symbolizing letters are, for example, the matters of every day life such as the name of a person, the date of birth, the language used, the key words of thought and so on. Through these items the daily expressions and their memory are able to be re-recognized. Again, by utilizing denim as the material for the artistic work and by connecting its many sided technical aspects, the researcher wants to show the possibility of the textile operation of such material. To clarify the meaning of so called 'to repea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easiness of such material as denim, one specific technique for the fiver formative expression is made use of to make attractive images by burning textile or another technique of burn out to pierce the textile and the method of laser cutting is also used. The researcher earnestly wishes to change such personal experiences into the objective formative form of the textile art. By this means the researcher wants to deepen the sensibility of the recognition of our daily life and to develop the vivid formative language through the medium of the comic strip.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having eight works of her own make has come to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new visual art and through this medium its is also possible for us to part from the heavy and difficult traditional art, and she also intends to present, if possible, the more familiar and more communicative formative language. From now on the researcher wishes to be able to connect the popular art with the pure art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more researching effort and also to be able to create more developed fiber formative expression.;예술의 본질중 하나는 인간의 삶을 표현하고자 하는데 있다. 예술이 근본적으로 인간의 삶에서 비롯되어진 것이라면, 다시금 예술은 우리의 삶과 삶의 일상으로 용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일상이란 우리 모두의 존재방식이며 수많은 체험으로 구성된 집합체이다. 이는 단편적이고, 단순한 생활의 단면이 아닌 본 연구자의 정신을 내포하는 삶의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예술가는 개인의 삶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생명적인 것으로 느끼면서 표현하는 모든 것 역시 체험에 의한 것이며 자신의 인생관이나 정서 등을 예술 작품에 반영한다. 즉 예술은 나름대로의 표현 방식에 의해서 조형화된 이미지를 창조해 나가는 것이고, 그 심상 속에는 내면의 일상적 체험이 새겨 있는 것이다. 본 연구자 역시 본 연구자의 일상을 섬유 조형 작업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의 일상에 대한 의미를 재인식하고 되새김으로써 자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의 의미와 개념과 일상성이 조형예술로 표현된 작품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일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택한 만화의 본질과 순수예술과의 결합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만화의 구성 형식들 중 전달매체적 기능을 가진 요소를 작품에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많은 사람들이 만화라는 매체를 통해 보다 더 쉽고 친근하게 그 주제를 인지하기 때문에 그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 된다. 본 연구자는 문헌 자료의 연구를 통해 문자의 기능과 체계와 만화의 다양한 상징 기호들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만화적 구성 형식이 메시지의 전달 뿐 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조형화 하는 기능까지도 내포하고 있어 예술로 점차 그 영역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음을 입증한다. 특히 만화적 표현을 통한 일상의 조형화 작업에서 본 연구자가 일상을 표현하는 문자들을 작업에 활용하여 그것이 갖는 시각적 전달 효과의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작품에 표현된 문자들은 본 연구자의 일상과 관계된 생년월일, 말, 생각의 키워드, 이름과 같은 것들이며 이를 통해 일상에서의 경험과 기억들을 재인식시킨다. 또한 데님 소재를 작품에 활용하여 기법적인 면을 접목해 새로운 섬유표현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이 같은 소재와의 가공 용이성과 일상이라는 주제를 ‘되새긴다’라는 의미를 드러내고자 섬유조형 표현의 기법으로 섬유를 태워 이미지를 새기는 번 아웃 기법과 뚫어서 나타내는 레이져 컷팅 기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개인적 경험으로의 일상을 객관적인 조형적 형태로 전환시키는 섬유예술 표현을 통해 스스로의 일상에 대해 재인식하고 되새기며 그것을 만화라는 전달매체를 이용해 새로운 조형언어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자의 작품 8점은 일상을 만화적 구성 형식을 통해 예술과 결합시키는 작업과정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시각적 미를 창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또한 이 같은 표현을 통해 기존의 예술의 난해하고 무거운 방식을 탈피해 보는 이와 친근하게 소통 할 수 있는 조형언어를 제시 하려고 의도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서 더욱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을 접목시켜 일상을 표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여 발전된 형태의 섬유조형표현의 창조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문제의 제기 = 1 1.2 연구의 목적 = 2 1.3 연구방법 및 내용 = 3 2. 일상에 관한 이론적 논의 = 4 2.1 일상의 개념과 특성 = 4 2.2 예술에 있어서의 일상적 표현 = 6 3. 표현 형식과 매체 = 16 3.1 문자의 시각적 조형표현 = 16 3.2 전달매체로서의 만화예술 = 22 4. 작품제작 및 분석 = 37 4.1 제작의도 = 37 4.2 제작과정 = 40 4.3 작품분석 = 43 5. 결론 = 70 참고문헌 = 73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2544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자에 의한 일상성의 섬유조형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iber Expression on the Daily life through the letter-
dc.creator.othernameKim, Tae-Yeon-
dc.format.pageⅶ, 7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