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투시적공간 표현의 자수연구

Title
투시적공간 표현의 자수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broidery of th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Authors
최수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정례
Abstract
We are always surrounded by a space, and we cannot exist without being in a space. Human beings recognize the space fastest with the visual sense, and desire to express their recognized sense of space. Namely, since a space is a volume, its perspective always exists within our visual sense, and thus, we have a formative will to express a spatial sense of an object or landscape on the two-dimensional plane. Among the infinite spaces, the interior space is an inside for human living as well as a real space. Human beings feel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in an interior space as living space, and we always have a mental and aesthetic desire for a better interior space. With such a basic sense of interior space, the researcher applied an indoor perspective to express as formative art works her mental image for a recess in the tough everyday life. Upon reviewing the art works, we can know that the desire to set a perspective relationship for a spatial image has existed long since. Perspective or projective expressions of the space within the formative arts have been witnessed primarily in such descriptions as landscape paintings or architecture. It is indeed impossible to express a three-dimensional image of space on the two-dimensional plane. However, one of the methods to depict the space as much natural as possible is the perspective. The perspective of a painting is set by distance between eyes and an object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Since a perspective into a dot on the canvas is infinitely long enough to conform to the vanishing point, it will stand on the horizon set by the position of eyes. 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see a distant space supra-sensuously, which cannot be known with senses or perception. Likewise, the reason why we can feel a depth on the planar canvas is that we can apply our perception of it to our actual experience of space. In this vein, an indoor perspective allows us to see a voluminous space on the canvas with our personal sense of space.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pplying the indoor perspective to express some perspective spaces on the canvas and thereupon, researching into the embroidery expression methods not as original perspective functions but as formative on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theories about the perspective and thereupo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visualizing th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on the plane or canvas, and thereb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perspective or source of researcher's works. In order to produce the work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perspective lines and explored the ways to visualize th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by overlaying the indoor perspective forms. In addition, the researcher reviewed the formative nature of the perspective space expressed by herself. Beside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modern art and textile art works with som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in an effort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h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theories, the researcher expressed in her 4 embroidery works our psychological state for a recess escaping from the everyday life. The 4 works were all made of transparent polyurethane, and partially, transparent, transluscent and colored polyurethanes were used as appliques. The embroidery techniques used for this study were both linear and planar ; the former techniques were iumsoo, jinggumsoo, sasulsoo and kalkalsoo, while the latter were pyongsoo, nansipjasoo and maedupsoo. The colors used were yellow, pink, green and blue for bright and cheerful sense of indoor space, while the frame was made primarily of acrylic for an effective expression of transparency. Through production of such embroidery works for expression of the perspective spaces, the researcher coul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A formative potential could be explored to create a perspective space on the plane or canvas. Actually, the researcher coul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perspective for expression of mental images. The researcher could afford to re-create the ordinary lines of indoor perspective into formative lines by varying the thickness of lines formed by iumsoo, jinggumsoo or other embroidery techniques as well as the textures, and create a new formative aesthetics for th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by overlaying diverse forms. Since the polyurethane allowed for projection of works and installation space, it could serve to expand the perspective space. Human items served to enrich the visual sentimentalism, and the shadow effect after installation of the works also served to deepen the perspective space. The perspective spaces expressed by the researcher showed diverse forms which maintained their independence on the same canvas, while being combined into a new space as a whole. As discussed above, the researcher could test a new direction for the perspective spatial expressions and could also create a new formativeness of indoor perspective with expressive elements for formative works.;우리는 항상 공간에 둘러싸여 있으며, 인간은 공간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인간은 공간에 대한 감각을 시각을 통해 가장 빠르게 인지하며, 자신이 받아들인 공간의 감성을 표현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즉, 공간은 입체감을 가지므로 공간의 원근은 인간의 시각 안에서 언제나 존재하며 인간은 자신이 바라본 물체나 풍경의 입체적 공간의 감성을 2차원의 평면에 표현하려는 조형적 의지를 가지게 된다. 무수한 공간 중 실내공간은 인간이 생활하고 있는 내부공간이며 실제공간이다. 인간은 주거공간으로의 실내공간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얻으며 보다나은 실내공간을 위한 정신적․심미적 욕구를 늘 가지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실내공간의 감성을 가지고 각박한 일상에서의 휴식을 향한 연구자의 심상을 실내투시도를 응용해 조형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공간사상(空間事象)의 원근관계를 그리려는 생각은 옛날부터 있었음을 우리는 미술작품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조형예술 속에서 공간의 원근 표현, 즉 투시적공간 표현은 주로 풍경이나 건축물의 묘사를 통해 나타났다. 인간의 눈으로 보는 공간사상(空間事象) 3차원을 규격된 평면(平面) 2차원에 표현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되도록 부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도록 그리기 위해 연구된 방법이 투시도이다. 투시도는 눈의 거리와 시야, 그리고 시각의 관계로 그림모양이 결정된다. 평면(화면)에서 무한 거리에 있는 점의 투시는 소실점과 일치하므로 눈의 위치에 따라서 설정된 지평선상에 있게 된다. 따라서 먼 거리에서의 감각적·지각적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공간을 초감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렇듯 우리가 평면의 화면에서 깊이를 느끼는 것은 그 깊이에 대한 지각을 실제적인 공간에서의 경험에다 적용시키기 때문이다. 실내투시도는 실내공간에 대한 개인적 공간지각을 통해 우리가 화면에서 입체적 공간을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투시도를 응용하여 평면(화면)에 투시적공간 표현을 함으로써 투시도 본연의 기능이 아닌 조형적 기능으로써 자수표현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측면으로 투시도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평면(화면)에서의 투시적공간 표현의 시각화 가능성을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작품의 소재인 실내투시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의 방법으로는 실내투시도 선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고, 실내투시도 형상의 중첩을 통한 창의적인 투시적공간 표현의 시각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표현하는 투시적공간이 지니는 조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대미술과 섬유예술에서 표현된 투시적공간 표현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조형예술로써의 투시적공간 표현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간의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향한 심리상태를 실내투시도를 응용한 4점의 자수작품으로 표현하였다. 4점의 작품은 모두 투명폴리우레탄을 바탕으로 사용하였으며 투명, 반투명, 색 폴리우레탄을 부분적으로 아플리케 하여주었다. 자수기법으로는 이음수, 징금수, 사슬수, 깔깔수를 이용한 선 표현을 하였으며, 면적인 요소는 평수, 난십자수, 매듭수를 밀도 있게 수놓아 표현하였다. 색은 명도가 높은 Yellow, Pink, Green, Blue 등을 사용하여 밝고 경쾌한 실내공간의 느낌을 주었으며, 프레임은 폴리우레탄의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해주기 위해 아크릴을 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방법의 투시적공간 표현의 자수작품 제작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투시도의 특성을 통한 평면(화면)에서의 투시적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조형적 가능성을 알았으며, 본 연구자의 심상표현을 위한 매개체로의 실내투시도의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이음수, 징금수 등 자수에 의한 선의 굵기와 텍스쳐의 변화는 실내투시도의 일반적 선을 조형의 선으로 재창조 할 수 있었고, 실내투시도의 다양한 형상의 중첩은 투시적공간 표현에 새로운 조형적 미를 창출하였다. 폴리우레탄은 작품과 설치공간의 투영을 가져와 투시적공간의 확장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점경은 시각적 정취를 더해 주었으며, 작품의 설치 후 얻어진 그림자 효과는 투시적공간에 깊이감을 더해주었다. 본 연구자가 표현한 투시적공간은 다양한 조형성을 가지며 여러 공간들이 한 화면에서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전체로의 새로운 공간성을 가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투시적공간 표현의 새로운 방향성에대한 조형적 실험을 할 수 있었으며, 투시도를 조형작품의 표현요소로 응용해 실내투시도의 새로운 조형성을 창출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