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희-
dc.creator김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6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63-
dc.description.abstract과학과 산업은 비약적으로 발달되어 그 결과물을 누리고 사는 이른바 꿈에서 그리던 멀티미디어 시대에 사는 현대인, 그 변화된 사회, 문화 정치 생활환경 만큼 우리의 사회의식도 어느 정도 변화를 가졌고 이러한 현대인의 의식과 생활상태를 단적으로 반영해 줄 수 있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일러스트레이션의 사회적 기능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겠다. 한국사회의 권력거리 [ 권력거리 (power distance)라는 명칭은 네덜란드의 실험사회학자인 Mulder, M.(1976)의 연구에서 비롯, 국가 문화간에 차원으로 문화적 ,사회적으로 나타나는 조직체의 대한 의식을 말한다. Hofstede, G.,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pp.47~73 참조.]에 대한 문화, 사회, 정치적 의식변화를 시각화 하는 휴머니즘적(humanism) 시각 커뮤니케이션[김경선(1993), 『現代社會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役割], pp.329~334, 關大論.]의 방법론적 인자로서 유머를 활용하여 그 동안 일관되게 권위적 이미지로 창출되던 권력자들의 이미지와 우리 사회의 권력에 의해 묶여져 있던 심리적 경직을 풀고 권력거리 의 그 거리를 메워가는 참여 작업의 하나로 시사적 유희를 중심으로 그 표현방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러스트레이션이 상업적 전달 수단만이 아니고 문화와 시대의 의식적 변화를 대변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사회적 기능으로 시사적(侍事的)인 측면을 유머를 통하여 부조리와 비리를 야기하는 잘못된 권력의 허위의식을 비난하고 그 해소에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대의 대중매체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비언어적 수단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비언어적 정보의 변화, 지적으로 등장한 사회형성 등은 오늘날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으로 해석된다. 문수근(2000),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포장디자인』pp68~82,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이러한 현상이 고조되면서 일러스트레이션의 본질적 의의를 바탕으로 그 역할이 사회 환경변화 속에서 사회적 기능과 활용방안을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일러스트레이션은 현대사회의 문화를 시각언어를 통해 표현하고 기록할 뿐만이 아니라 현대인의 생활에 관계되는 일상의 커뮤니케이션을 인간적 흥미와 자극을 주면서 이해와 공감을 얻고, 어떤 행위에 동기(動機)를 부여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정서적 시각매체가 되기 때문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이해와 공감대에서 비롯되며 유머는 소구의 유형이기도 하지만 사회문화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표현양식 [이화자(1998), 『스트레스 대처방안으로서의 유머광고의 유형분석], 한국광고학회.]으로 다른 소구의 유형보다 보다 더 심리적 친근감을 가져다 준다고 볼 때 시각언어와 유머는 언어의 장벽도 지식의 차이도 극복하는 상응관계를 가진다. 즉 시각언어를 통해 유머를 착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은 다소 무겁고 딱딱한 시사적 메시지를 수용자에게 저항감을 배제시키고 호감적인 반응으로 쉽고 흥미 있게 전달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방법에 있어 유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머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서 Lefcourt와 Martin(1986)의 유머의 반응이론에 시각적 유머를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세 분류로 나누었다. ① 부조화이론-시각적 패러디 ② 각성이론-시각적 은유 ③ 우월성(경멸)이론-시각적 풍자 유머의 반응이론에 시각적 유머를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성 메시지에 유머가 취하는 특별한 이미지와 효과를 일러스트레이션 하는 것으로 컨셉(concept)을 설정하였고, 만화와 피처에서 취하는 풍자적, 은유적인 표현으로 흥미를 유발하고 쉽게 전달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표현 스타일(style)을 형성하였다. 표현 재료는 일상소재의 변모로 어디서나 쉽게 공급되는 보편적인 소재로, 누구에게나 흔히 사용되는 종이가방을 이용하여 수용자에게 친근감을 유도하고 종이가방의 커뮤니케이션과 기능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부조화를 통한 본 논문의 주제인 유머에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위와 같은 작업 결과물의 성격은 우리사회의 일상에 나타나는 시사를 연구자의 주관적(표현, 유머) 감각을 통한 공감대 형성과 쉽고 재미있게 인지될 수 있는 휴머니즘적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고자 하는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에 근거한 실험과정을 분석, 해석한 결과가 되겠다. ;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dustry, modern man has been enjoying materialistic richness through a multimedia era which was once considered to be unreachable, and thus modern man has come to be aware of the changes to society, culture and politics, responding through changes in awareness of society and his own state of living. In this respect, the social function of illustration is an inseparable part of the way of expressing modern man s trait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s of expression of people in power, who were consistently described as authoritative images, focusing on current affairs plays as a means of bridging the gap between people in power and ordinary people, employing humorous techniques as a method factor in a humanistic view of communication by which changes of consciousness of the power distance throughout culture, society and politics in Korea can be visualized. Accordingly, the study contributes not only to the commercial means of illustration but also to its social function, representing the changes in cultural and period awareness through current affairs humor, in order to criticize and satirize the false consciousness of power, which causes absurdity and corruption, thus helping to release the power gap to some degree. Modern mass media tend to focus more on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than on verbal ones. The changes in nonverbal information and the knowledge-based society can be described as characteristics of today s communication. In this aspect, based on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s social function and application in the course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so because illustration is not only to express and record the culture-based communication of modern society through visual language, but also to express the daily living-based communication which is related to modern man s daily living, providing understanding and sympathy through excitement and challenges, and it is, therefore, an emotional visual medium, performing visual communication which offers an involvement in acting. Communication is based on understanding and sympathy, also considering humor, which is a form of expression with small phrases, and yet much more relevant to th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than other types of small phrases, thus providing psychological familiarization; both visual language and humor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and knowledge gap as well. That is, illustration coupled with humor through visual language has an advantage in communicating rather heavy and rough current affairs-containing messages to viewers in an easy, exciting way, with their responses lacking resistant feelings. For this reason, this study, with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humor in the method of expression in illustr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humor used for the visualization of message which conveys a power-gap bridging, categorized three types of visual humor, according to Lefcourt and Martin s (1986) response theory of humor: ① Theory of Incongruity - Visual parody ② Theory of Arousal - Visual metaphor ③ Theory of superiority (disdain) - Visual satire. Based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humor to response theory of humor, a concept was set up to illustrate the special image and effect of humor in current affairs message, and, as for the expression style, the techniques of satire, metaphor and implication which are used in cartoons or pictures were employed in illustration, giving rise to interest through ease of communicating. For expression materials, paper bags were used, because they are so common that they give rise to familiarization for viewers, and this paper also attempted to give unity to humor, a theme of this paper through absurdity, by means of illustration which employed communication of paper bags and functions there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mentioned above can be interpreted as experiments and their results from an individual, who strives to illustrate current affairs by an easy and interesting route of humanism, using subjective senses (expression and humor), thus inducing sympath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2. 문화와 권력거리 = 4 2.1 정신 프로그램 = 4 2.2 각 사회에 나타난 동일한 문제점 = 5 2.3 권력거리 = 6 2.4 권력거리와 사회 = 9 2.5 문화와 유머 = 12 3. 유머와 시각커뮤니케이션 = 15 3.1 유머의 개념과 효과 = 15 3.2 유머의 반응이론 = 17 3.2.1 부조화 이론(不調和 理論, Incongruity Theory) = 18 3.2.2 각성이론(覺醒理論, Arousal Theory) = 19 3.2.3 우월성이론(優越性理論, Superiority Theory, Disparagement) = 19 3.3 유머의 반응 이론에 의한 시각적 유머 = 20 3.3.1 시각적 패러디(Visual Parody) = 20 3.3.2 시각적 은유(Visual Metaphor) = 24 3.3.3 시각적 풍자(Visual Satire) = 29 3.4 시각커뮤니케이션 = 32 4.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유머의 시각화 방법 = 41 4.1 피처(Feature)의 유머적 요소 = 42 4.2 만화(漫畵)의 유머적 요소 = 46 4.2.1 변형(Deformation) = 47 4.2.2 만화의 풍자적 표현 = 48 5. 작품제작 및 분석 = 51 5.1 시사적 유희를 위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실험 = 51 5.2 대상의 변형과 재구성 = 52 5.3 일상소재의 변모 = 54 5.3.1 종이가방 일러스트레이션의 실험 = 55 5.3.2 종이가방 일러스트레이션의 실험의도 = 56 5.3.3 종이 가방 일러스트레이션의 실험방법 = 57 5.3.4 종이가방 일러스트레이션의 실험반응 = 57 5.4 작품설명 = 59 6. 결론 = 76 참고문헌 = 78 영문초록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05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시사적 유희를 위한 일러스트레이션-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