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실험적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웹상에서의 심리적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Title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실험적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웹상에서의 심리적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Authors
염정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ew Millennium has made it possible for human being to experience socio-cultural revolution that enlarges human being s capability tremendously at various fields by resul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is phenomenon brings sudden changes of media communication that is inevitable for human life, and leads the new paradigm that reforms the notion and awareness of human life. The new communication media paradigm based on socio-cultural dynamism made the new configured multimedia mixed with previous monomedia. Such a fusion of multimedia altered people to the main body to select and accept information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than any other era. The environment of communication paved the way for the change of media and recognition expansion as well as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at makes it possible to interchange the meaning among one to one, one to many, and many to many. In this new paradigm, as a new media which realizes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 and media on the basis of human being s autonomy and creativity, digital interactive media is increasingly getting more attention. Today, digital interactive media based on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has rapidly evolved into new and interesting narratives through continuous productions by plenty of media developers on webs. The interactive media produced by skillful programming has enhanced people s interests in the essence of transformation of new media. Thus the interactive media tends to maximize its role as the various experimental fields that provide experiences of new configured interaction. As interaction, which is essential role in digital interactive media, is embossed, although interaction between media and user is being brought into focus, the initial phase of digital interactive media has evaluated by people that it has carried out its innovative duty by means of only its kinetic and simple reactive technical interaction without any special meaning or philosophy. In this point of view, the meaning of interaction itself is now becoming deteriorated such a fault that the essence of digital interactive media is spoken for excessively splendid interface. At this point, the users who are main body of media start to impugn a fundamental inquiry for the role of digital interactive media. So the study pursues to suggest that digital interactive media should develop for the sakes of providing authentic users experiences based on fundamental elements, more than technical simple play. Furthermore, the paper tries to implement the new way as its alternative measure. As the activity of media fusion is accelerated, multimedia introducing the features of mass communication and human communication has become the dominant way to communicate. Based on this trend one can see that the comprehension for human communication, most of all Emotional Communication, constitutes a main current of media environments. It is obvious that the study on the Emotional Communication greatly affects in building up a new media as well as in understanding communication rightly. Thus what we try to show in this study is to pursue visual plastic art of digital technological experiment, and also to attempt to apply Emotional Communication to aspect of psychological theory as we implement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 and physical media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experimental narrative implementation of Emotional Communication, as an effective model concerning itself with multimedia environment that actualizes Human-Media Interaction(HMI) further Human-Human Interaction(HHI), will play a leading role by means of a new way of interaction. In conclusion, the study will present creative narratives to improve the limitation in the initial step of media creation through harmonizing multimedia with Emotional Communication, and also will play an important part in a trial that realizes the possibility of infinitiv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Media-Human beings(HMHs). ; 21세기, 전세계는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인간의 능력을 극적으로 확장(擴張)시켜 주는 산업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사회·문화적 혁명(革命)을 겪고 있다. 이러한 급변의 양상(樣相)은 전세계를 인간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인간에 대한 개념과 인식(認識) 자체의 변화를 가져오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轉換)시켰다. 사회·문화적 역동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패러다임은 기존의 TV, 라디오등과 같은 단일(單一) 미디어를 융합(融合)하여 새로운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창출(創出)하였고, 이러한 미디어의 융합현상은 인간을 적극적인 정보 선택과 능동적인 정보 수용의 주체(主體)로 변화 시켰다. 이러한 미디어 융합 현상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 nication. CMC: 사용자들에 의해 일 대 일(one-to-one)에서 일 대 다(one-to-multi), 다 대 다(multi-to-multi)에 이르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통해 다양한 목적과 행동양식, 규범을 낳는 커뮤니케이션 공동체)환경에서 더욱 가속화(加速化) 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CMC 기반으로 상호작용(interaction)을 실현하는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 라는 뉴 미디어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 는 웹상에서 수많은 미디어 개발자들의 지속적인 개발 노력으로 인해 새롭고 흥미 있는 형태의 내러티브(narrative)로 빠르게 발달하고 있다. 정교하게 프로그래밍 된 기술적(技術的) 여건 하에서 제작된 인터랙티브 미디어들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미디어의 본질(本質) 자체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고, 더불어 새로운 형식의 상호작용(interaction) 의 경험을 제공하는 다양한 실험(實驗)의 장(場)으로서의 역할 또한 극대화(極大化) 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가장 핵심적인 상호 작용성이 부각되면서 미디어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초기 양상은 특정한 의미(意味) 또는 철학(哲學)이 없는 기술적인 움직임(kinetic) 과 단순반응(simple reactive) 등의 기술적 상호작용 자체만으로도 뉴 미디어로서의 혁신적 기능을 다했다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본질(本質)이 지나치게 화려한 인터페이스로 대변되는 오류(誤謬)와 함께 상호작용 자체에 대한 의미도 본의(本意)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로 해석(解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환경변화와 이를 기반으로 등장한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 의 기술우위적 양상(樣相)에 대한 인지(認知), 더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 제시의 필요성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자료와 인터넷 정보 검색 및 선행(先行)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이론의 체계(體系)를 정립하고, 실행적 측면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를 제작하였다. 먼저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이론적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한 CMC를 분석한 결과 CMC의 상호작용 은 1차 상호작용: 인간-컴퓨터 인터랙션(Human-Computer Interaction) 과 2차 상호작용:인간-인간 인터랙션(Human-Human Interaction) 으로 구분하여 연구되었고, 두 가지 상호 작용 모델을 고찰한 결과,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1차적인 상호작용에서 출발하여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인간과 인간간의 2차적 상호작용으로 연결되고, 이 두 요소간의 긴밀한 관계를 통합하여 구현되는 총체적인 실현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분석 결과,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 또한 CMC를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의 특성에 입각하여, 인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고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상호작용(interaction) 이라는 강력한 키워드를 형성함이 고찰되었다. 셋째,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대한 궁극적인 가치는, 상호작용을 경험하고자 하는 미디어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간에 어떤 형식(形式)과 의미(意味) 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내러티브를 창조해 내는가의 문제이며, 미디어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첨단의 다양한 기술(技術)을 꾸준히 습득하는 것에 국한(局限)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적 인터페이스에 인간과 미디어, 나아가서는 인간과 인간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어떠한 철학(哲學)을 담고, 공유(共有)하며, 또 나눌 것인가 하는 인간 이해에 대한 근본적인 모색(摸索)임을 인식하였다. 넷째, 최근 몇 년간 감성과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고, 더불어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상당 부분은 바로 감성 커뮤니케이션 이다. 감성 커뮤니케이션은 인간 감성에 관한 미세한 신호(信號)를 모두 포함하며, 감성 커뮤니케이션이 인간의 사회조직에 중추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함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上記)했던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기술우위 양상 에 대한 효과적인 제안으로, 0과 1의 조합(組合)이라는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감성의 융합 , 속도와 느림의 공존 으로 재해석하였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기술에 접목할 새로운 이론으로써, 감성(感性) 커뮤니케이션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행적 측면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선행 결론를 기반으로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 중 웹상에서의 플래시 아트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나아가 상기(上記)한 바와 같이 감성 커뮤니케이션 에 기반 한 상호작용의 실현으로써 새로운 형식의 실험적인 미디어 내러티브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정보는 기술적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HTML, Flash Action Script, Photoshop, Illustrator, Goldwave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 되었으며,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미디어 정보는 크게 <정보A, 정보B, 정보C-3부류>로 구분하였다. <정보A>는 <무의식과 꿈>이라는 주제 하에 전개되는 내러티브로서 인간의 무의식(無意識) 속에 소재(素材)들을 상징적인 비주얼과 액션을 통한 감성 상호작용으로 구현하였으며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정보이다. <정보B>는 미디어가 제공한 정보에 대한 개인의 감성과 철학을 텍스트 형식으로 상호작용 하는 사용자간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다. <정보C>는 미디어가 제공한 감성기반의 <정보A>를 제3의 사용자에게 전송(電送)하여 또 다른 감성을 생산하는 밈(meme)의 공간으로 구성(構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미디어 내러티브를 전개한 결과, 미디어를 보다 창의적으로 개발하려는 정보제공자의 노력과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적극적 사용자 가 만나는 시점에서 상호작용 의 가치가 극대화(極大化) 되었고, 상호작용성에 대한 다양한 창의적인 실험을 통해 보다 근본적인 인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이 고찰 되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코드로 작용하고 있는 감성 의 개념, 더불어 이를 기반으로 하는 감성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특성을 융합(融合)한 결과,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인간 감성의 확장(擴張) 공간으로 인식하고, 물리적인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인간관계와 상호 작용을 실현하는 실험의 장으로서 규정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생성 초기의 기술 우위 양상에 대한 한계적 측면의 개선을 위한 두 요소의 융합 하에 <무의식과 꿈>이라는 주제로 창의적인 내러티브을 제시하였고 이는 인간-미디어-인간 간의 무한한 상호작용 가능성을 실현하는 실험의 장(場)으로써의 역할 수행을 다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