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0 Download: 0

디자이너와 수용자의 소통과 매개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Title
디자이너와 수용자의 소통과 매개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Authors
김다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디자인은 시각적 소통(visual communication)행위이다. 이는 시각언어(視覺言語,visual language) 즉, 시각에 호소하여 의지를 소통시키는 언어를 통해 표현, 전달된다. 디자인행위는, 생산자(디자이너)가 자신의 의도를 수용자에게 전달하고, 수용자가 이를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생산자와 수용자 상호간의 소통(communication)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모든 예술이 그러하지만 특히 디자인은, 생산자(디자이너)의 일방적인 전달 과정이 아니라 수용자와의 소통 과정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디자이너와 수용자간의 소통과 매개과정은 일방적인 의미의 전달이 아니라, 의미의 재창조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의미의 재창조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디자이너와 수용자의 인식지평이 융합되어야 한다. 기호학(Semiotics)은 기호를 통해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행위, 즉 소통과정에 관한 학문이다. 따라서 디자인행위를 논함에 있어서 기호학과의 연계가 필요하며, 기호학을 연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디자인행위(이는 생산자 뿐 아니라 수용자에게도 해당된다)가 가능해진다. 그동안 디자인행위에서 생산과정만이 중요시되고, 수용과정은 간과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수용과정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수용과정에 초점을 맞춰서 사회적 소통(social communication)의 문제를 연구할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사회적 소통이란, 디자인 수용과정을 단순히 디자인 내적인 문제로만 다루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다루는 것으로서, 디자인과 사회와의 관련성, 문화로서의 디자인, 디자이너와 수용자의 관계에 대해 사회과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특히, 문화(文化)에 대해 주목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디자인을 비롯한 사회의 모든 기호(sign)는 그 사회의 구조와 지식체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며, 그 의미기반은 문화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II장에서 소통의 정의와, 소통의 수단으로서의 언어에 대해 충분히 논한 후, 시각적 소통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디자인의 생산과정과 수용과정에서의 코드(code)의 문제 및, 문화적 접근을 통한 사회적 소통의 문제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디자이너의 생산과정은, 기호 체계를 가지고 하나의 메시지로 구성하는 작업이다. 이는 언어적 생산(discursive production)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첫째로 모든 디자인은 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언어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며, 둘째로 디자인 작품이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수용자에 의해 해석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반면 수용자가 디자인 작품의 기호 체계를 해석할 때는 자신의 지식 체계에 의존하게 된다. 이 지식 체계가 곧 수용자의 코드(code)가 되며, 단지 개인의 지식 체계가 아니라 문화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이나 경험 등 수용자의 감각 기관을 통해서 들어오는 모든 것이 시각 정보를 해석하는 데이터가 되는 것이다. 가령 디자이너가 A라는 시각 언어를 제시하게 되면, 수용자의 해석은 A의 카테고리 내에서 이루어진다. 그 카테고리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텍스트로서 디자인의 의미는 디자이너와 수용자의 대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두 개의 의미구조(디자이너가 지닌 의미구조I과 수용자가 지닌 의미구조Ⅱ)의 융합에 의한 것이다. 지식 체계, 즉 코드(code)는 디자인의 생산과정과 수용과정에 모두 작용하며, 이는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에 의해 주어지는 의미의 지도(maps of meaning)에 의존하는 것이다. 인간의 삶 전체를 문화라고 한다면, 문화야말로 기호 작용의 총체라 할 것이며, 디자인의 목적이 소통(communication)에 있다면, 성공적인 소통을 위해서 디자이너와 수용자 쌍방간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접근과 이해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 Design is a visual communication activity. It is expressed through a visual language that appeals to human eyes. A producer (designer) transfers his/her intention to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analyzes it. It is the process of designing activity. It means that the designing activity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receiver. It is not good to transfer the design to the receiver one-sidedly from the producer (designer).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producer and receiver are important.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receiver shouldn t be one-sided. It should be the revival of the meaning. The recognition level should be united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receiver to recreate the meaning. Semiotics studies the activity of exchanging messages through signals. That means that it studies communication process. When mentioning the designing activity, it is necessary to relate it to semiotics. Studying semiotics results in more efficient designing activity (It includes the activity of both the producer and the receiver.). In designing activity, producing process has been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receiving process. Bus as receiving process is regarded important, it is highly required to study social communication focusing on receiving process. In social communication, it doesn t only focus on internal problem of design but also focuses on social problem. It is required to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receiv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ociety with the viewpoint of social science.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culture. All signs including design in a society are based on social structure and knowledge system. The foundation of meaning comes from the culture. Chapter II describes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and a language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in detail. Then it will explain the design that works as visual communication. In chapter III, it will explain the problem of code while producing and receiving design and the problem of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cultural approa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