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離婚後 子의 扶養에 관한 法的 考察 : 養育費 請求를 中心으로

Title
離婚後 子의 扶養에 관한 法的 考察 : 養育費 請求를 中心으로
Authors
박희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이혼율과 함께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혼후 子의 부양문제에 관하여 우리나라의 법적 개선방안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제1장 서론, 제2장 이혼후 子의 부양에 관한 외국제도의 고찰, 제3장 이혼후 子의 부양제도, 제4장 이혼후 子의 양육비청구제도에 관한 문제 및 개선방안, 제5장 이혼후 子의 부양에 관한 그 밖의 문제, 제6장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미국, 독일, 일본에서의 이혼후 子의 부양에 관한 법률과 외국의 부양제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이상적인 법제도를 고찰하였다. 미국에서는 법관이 당사자의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이혼부양료를 정함에 있어서 노령이거나 질병이 있거나 子를 감호해야 할 경우에는 부양청구권을 부여하고 있고, 子의 양육비 징수를 위한 미국의 급여공제제도는 합리적인 제도라고 생각한다. 독일에서는 이혼후 子의 부양을 위하여 보좌제도, 양육비선급제도 등이 있으며, 이는 이혼후 子의 복리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이혼시 子를 감호하는 경우나 노령의 경우, 질병과 장애가 있는 경우, 소득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교육을 받기 위하여 기타 중대한 사유가 있을 경우 일방 배우자는 타방에게 부양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우리 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子의 부양에 관한 민법상의 명문 규정이 없어서 대다수의 양육자는 부양의무를 다하지 않아 이혼후 子에 대한 부양료 지불상황이 저조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독일과 같이 통일된 산정기준은 아니지만, 실무에서 다양한 산정기준을 사용하여 이혼후 子의 부양을 보호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우리 나라에서의 이혼후 子의 부양제도를 고찰하였다. 이혼후 子의 부양에서는 子의 최대이익의 보장에 중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장에서는 친권행사자 및 양육자 지정, 양육비, 양육처분의 변경, 부양강제조치 등을 고찰하였다. 부양의무자의 子의 양육비 지급문제에 관하여는 통계자료를 통하여 일반인의 의식을 살펴보고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우리 나라의 현행 민법상 이혼후 子의 부양제도의 문제점을 고찰하여 제도적 보완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양은 자기책임의 원칙과 부양능력을 전제로 하여 당사자 위주의 부양권리자 및 의무자의 관계가 정립되어야 하므로,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과 부양권리자의 요부양 상태가 요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이 없을 때에는 부양의 문제는 결국 공적 부양으로 전가되게 될 것이다. 제5장에서는 이혼후 子의 부양에 관한 기타의 문제점으로서 공동양육의 문제와 면접교섭권의 문제, 재혼후 子의 양육문제, 부모가 별거중인 경우의 子의 양육문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우리 민법하에서의 제도적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제6장 결론에서는 이혼후 子를 위한 이혼부양제도의 보완 및 강화의 필요성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Korea s legal improvement policy on support matters for children after divorce, which has become a pressing social issue an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divorce rates. The paper consists of 6 parts.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Chapter 2 investigates comparative law on support matters for children. Chapter 3 focuses on the child support system after divorce. Chapter 4 deals with problems concerning improvement in the policy for requesting alimony. Chapter 5 investigates other matters on child support after divorce; and Chapter 6 is the conclusion. In Chapter 2, I investigated laws on child support matter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A, Germany, and Japan in a comparative way. Also, through investigating the private support system in foreign countries, I presented the rational and ideal system that would be the most suitable for our country. In the USA, a judge decides the amount of alimony after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both parents. One spouse may request the right to be supported by the other spouse in the event one party is old, has disease or if they are the one who will be the primary caregiver to the children (or will have custody). The income of the parents in the USA is evaluated as the most reasonable system for determining alimony. In Germany, in order to realize economic balance between both parties, the liquidation of property and the equal sharing in the proceeds through the Surplus Sharing System (Zugewinngemeinschaft) is used and it aims primarily to protect the children. One party may request the right to be supported by the other party in the event she looks after the children; if she is old; if she has a disease or is disabled; if her business activities are failing; if children need to receive education; or, in the event there are any other serious reasons. In Japan, as there is no stipulated regulation on child support, the Relatives Support Regulation (Article 877, Clause 1 of Japanese Civil Law) is applied to unmarried juveniles. If the support that one party receives from the other party is not primary living-maintenance support, but is rather secondary living-assistant support, it may not be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ren. In Chapter 3, I investigated the legal basis for child support after divorce. I investigated past theories and case laws on alimony focusing on securing the maximum benefits, changes in custody, and support at the level sufficient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s rights in case their parents are separated. In Chapter 4, after anticipating the problems in the child support system after divorce in our current civil laws, I presented an improvement policy through systematic complementation. As for support, the children-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under a duty to furnish support and the person who receives the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presuming that self-responsibility and support ability, which are mandatory conditions. Therefore, when the person under a duty to furnish support fails and does not or cannot offer support, the support responsibility will be transferred to the government. In Chapter 5, I reviewed other problems on child support after divorce such as common rearing, the right to visit children, rearing children after bigamy of one party and the problem of rearing children in case their parents are separated. Through such investigation, I offered systematic complementary measures. In Chapter 6, the conclusion, I presented the necessity for complementing and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of divorced parent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policies. Based on the considerations above, I presented a reasonable analysis theory based on legal policies under our legal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