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우윤-
dc.creator장우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5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4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intended to ensure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through the gender equality in the political par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affirmative action based on the gender under the Political Law. Chapter 2 started with arguing that we should take the affirmative action for ensure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I examined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ory and compared the worldwide degree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and diagnosed the phenomenon of excessively small women representation. For overcoming the political unjustice and ensuring the equality, I argued that the affirmative action promoting the gender equality and discussed about the theoretical base of the Law. Chapter 3 examined the affirmative action, the Political Party Law Article 31 Clause 4, especially on the basis of the amendment and purpose of the Law, and verified whether the major political parties practice the Political Party Law Article 31 Clause 4 on their code and order. I also decided how the parties make their effor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Law in the 16th election. I analysed validity and discussed about the limit of the affirmative action under the Political Party Law. Chapter 4 analysed the cases of the affirmative action in some of the political advanced countries. As the prototypes of the Democracy, German, Sweden and England had been practiced the affirmative action for the gender equality of women under their Political Law. And France revised the Law and Election Law and founded the legal base of the affirmative action for the gender equality of women. Chapter 5 examined about the current efforts to amend the political laws and to ensure the affirmative action in the Law. On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Chapter 4, I discussed about the direction for the legal amendment of the affirmative action in the Law and argued that the political parties should practice the affirmative action of the Law.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the political parties make every effort to practice the affirmative action for ensuring representation of women. So I argued that the legal system is necessary to make the political parties to practice the affirmative action for the representation of women. Political Party Law was amended in February of 2000 to introduce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f each election level with the introduction of 30% allotment for women. It effectively secures the basic line of 30% for the minimum of women s share. It has the important implication of systematize the women s share by specifying it under Political Party Law even through it is limited to proportional represent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is provision, it contributed to expand the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from 11 persons in the 15th National Assembly to 16 persons in the 16th general election, but the practice of the parties were not significant that it is difficult to assess whether it has the practical outcome that satisfies the purpose of the law. Under the political presentation of Korean women, there is a variety of affirmative action as well as the allotment system in order to correct the unbalance of gender in the political and policy decision-making part. For this purpose, there must be a will and active support of the political parties in the point of view of achieving and realizing the balance of gender, more than anything else. The affirmative action for the gender equality in political participation is not only for the realization of simple legal equality but also the realization of practical equality, and the legal system of Korea recognizes that the formal legal equal right is the system of eliminating the discrimination to make the actually enjoyable legal requirement. Also, the activities of a political party is protected under the constitution. The political party shall operate its objective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for democratic ways and means as well as introduce the allotment system and establish the objective ratio when nominating the candidates of public position election to eliminate the phenomenon of excessively small women representation. Selecting the affirmative action within the political party in order to promot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important decision making position of the party is the work reserved to complete the constitutional function of the political party. Therefore, in order to allow the women s allotment of 30% under the system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y Law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hown in the 16th general election and practical effectiveness in securing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the long term measures along with the allotment system have to be accompanied, and the political parties shall reflect the actions under the party constitution and party regulations with the active will of participation. First, the political party obligation method has to be strengthened to specify the party constitution and party regulations in detail for the ratio of women allotment and allotment order for the system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under the current political party laws, and needs to reflect the obligation of gender balancing policy to efficiently express the function of political party that is equipped with the recommendation of a variety of public position with the equal participation in the party. Furthermore, looking into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many foreign political parties specify the various active measures in their party constitution and party regulations to practice the efforts to increas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on the party level. And the political parties of Korea is important to prepare the mid- to long-term support plan in the point of view of gender equality in relations with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Therefore, the political party shall nominate certain ratio o f women to the districts that have high possibility of winning the election in addition to the 30% of women allotment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n the party constitution and party regulations. Therefore, on all party positions in the political party, there has to be a system to allot women with certain ratio. And in order to make effective allotment, women candidates shall be discovered and developed to have the sufficient number of women politicians in which necessitates the defining of the training device installation and special funds for women politicians. Along with that, due to the recent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amendment of Election Law is inevitable. Therefore, it may be required to seek improvement plan relating the affirmative action under Political Party Law. In order to assert the power of affirmative action under Political Party Law, the ratio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has to be extended with one-person with 2-votes system to guarantee the right of people to choose the political party, and the conversion to the register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n large election districts gradually in order to hav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guaranteed. Also, Political Election Fund Act shall be prepared to form the political development fund for women in order to expan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and expand the public election system to convert the election campaign method on the basis of political party rather than individual basis. Consequently, in order to have effective application on the affirmative action under Political Party Law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there is a requirement of importance of willingnes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olitical party along with the systematic device to implement it.; 21세기는 정보화시대로 민주화와 세계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이념을 떠나 실질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와 복지욕구 증대로 인하여 사회적 가치에 대한 재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의 정치적 과소대표의 현실은 전체 인구의 이해와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게 되므로, 대의민주주의 강화와 국가 발전을 위하여 양성(兩性)간의 정치적 권력의 균형 잡힌 분배가 필요하다. 이는 정치·정책결정과정에 남녀가 동등하게 참여하고 함께 책임을 분담할 수 있도록 여성의 대표성이 제고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성의 정치참여의 확대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국가 경쟁력의 강화와 민주화 발전에 필수적 요소라는 인식하에 여성의 대표성 확보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가고 있다. 한국도 정치영역에서 여성의 저조한 대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000년 2월 정당법을 개정하여 비례대표 30% 여성할당제(정당법 제31조 제4항)를 도입하였다. 이 법은 여성의 몫이 적어도 30%라는 기초선을 확보하고 비례대표에 국한 된 것이기는 하나 정당법에 명시하여 제도화했다는 중요한 의의를 갖게 했다. 그러나 이 규정은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제재규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지난 제16대 총선에서 각 정당들의 이행이 미흡하여 30% 여성할당제가 확실한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그러므로 정당법상 적극적 조치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의 정치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정당의 지원과 정책적인 의지가 중요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적 보장의 필요함을 느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당법상의 적극적 조치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정당에서 Gender의 형평을 실현하여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기본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은 성정치학(Gender Politics)적 접근을 행하여 법상의 남녀 평등권보장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성에 의한 정치적 불평등의 법현실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입법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제2장에서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를 위한 적극적 조치의 당위성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 먼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여성의 저대표성의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 성의 이중적 개념 과 가부장적 사회특성 , 공/사영역 구분 등을 원인의 기본요소로 들어 여성의 불평등한 현실의 문제는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문제로 접근해야 하는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의 필요성을 국가경쟁력의 강화와 민주화 발전, 여성문제의 해결에 효과적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고찰하였다. 이와 함께 세계 여성의 정치참여의 수준과 비교하여 한국여성의 정치적 과소대표성을 진단하였으며, 이러한 정치영역에서의 불평등한 현실의 장애를 제거하고 사실상의 평등실현을 위해서 적극적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이의 근거로 헌법의 평등권 명령과 민주주의 원칙, 여성발전기본법,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의 현행 정당법상의 적극적 조치인 정당법 제31조 제4항의 제정배경과 법의 취지 및 의의를 정리하고, 주요 정당들의 당헌과 당규상에서 정당법 제31조 제4항의 반영여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16대 총선에서 정당들이 이 법의 취지에 맞는 이행노력을 하였는가를 평가함으로써 정당법상의 적극적 조치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그 한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외국 정당의 적극적 조치에 관한 경험을 비교 연구하고자 독일, 스웨덴, 영국, 프랑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대상국의 선정기준은 한국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선진 민주정치국가들 중 정당정치가 확립되고, 정당차원에서 여성에 대한 적극적 조치를 보장하고 있는 국가인 독일, 스웨덴, 영국과 최근 헌법, 선거법 등을 개정하여 여성에 대한 적극적 조치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프랑스이다.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증진을 위해서는 여성할당과 더불어 정당차원에서 다양한 적극적 조치를 함께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실효성이 입증된 다양한 적극적 조치의 내용들을 각 국가별로 비교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 정당법상 성에 근거한 적극적 조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법적 의의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논문과 관련한 최근 정치관계법 개정논의를 살펴보고, 제4장의 비교연구에서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정당법상 성에 근거한 적극적 조치의 개선방향과 정당의 당헌, 당규상에 이행 조치의 반영이 필요함을 고찰하였다. 각 정당들은 헌법과 여성발전기본법, 그리고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에 근거한 정당의 의무를 구체화하고, 정당 조직내에서 성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한국의 정당들은 외국의 정당과 달리 정당의 평균수명이 짧고 통폐합이 빈번하며, 1인 중심의 권위주의적 정당체계, 성별분업구조에 근거한 정치문화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여성에 대한 적극적 조치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당차원에 맡기기 보다 정당이 의무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입법적인 개선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즉 정당내의 성차별적 측면을 시정하고 성평등적 시각(Gender Perspective)을 기존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정당의 의무규정을 정당법에 명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비례대표 30%여성할당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정당들이 적극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는 방식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지역구에서도 일정비율의 여성공천할당제를 도입하고 각급 선거 및 정당 조직내에서의 성균형 원칙을 정당법에 명시해야 한다. 각급 선거 및 정당조직내에서 성균형의 목표율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임계질량(critical mass) 30%를 형성해야 하는 원칙을 법규화하여 정당들이 이 원칙에 의하여 여성의 대표성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고, 당헌·당규상에 구체적인 목표달성을 규정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치들이 실효성을 발휘하려면 할당제와 더불어 중·장기적인 차원의 조치들이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당은 각급 선거의 후보자공천과 정당조직에 여성할당의 비율, 여성특별기금 운영 및 당내 여성정치지도자 훈련기구 설치 등 다양한 적극적 조치를 정당의 당헌·당규상에 규정하여 의무화하도록 하는 내용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서 최근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로 인한 선거법개정이 불가피해졌는데 이번 기회에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정당법상의 적극적 조치와 관련한 선거법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 서론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5 II.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를 위한 적극적 조치 A.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7 1.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의 의미 = 7 2. 민주주의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 12 3.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의 필요성 = 14 B.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현황 = 16 1. 세계적 추세 = 16 2.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현황 = 18 a. 국회 및 지방의회 = 19 b. 주요 정당의 고위당직자 = 23 C. 적극적 조치의 의의 및 필요성 = 24 1. 적극적 조치의 개념 = 24 2. 적극적 조치의 찬반 논의 = 26 3. 적극적 조치의 필요성 = 28 D. 적극적 조치의 법적 근거 = 30 1. 헌법 = 30 a. 헌법상의 평등권 = 30 b. 민주국가원칙 = 33 2. 법률 = 35 3.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 37 E. 적극적 조치의 헌법적 한계 = 39 III. 현행 정당법 및 정당의 당헌 등에서의 적극적 조치 A. 정당법 제31조 제4항 = 42 1. 제정배경 = 42 2. 법의 취지 및 의의 = 43 3. 16대 총선을 통한 이행평가 = 44 B. 정당별 당헌, 당규상의 적극적 조치 = 48 1. 새천년민주당 = 48 2. 한나라당 = 49 3. 자유민주연합 = 50 C. 정당법 제31조 제4항의 한계 = 51 IV. 외국 정당의 적극적 조치에 관한 비교연구 A. 독일 1. 여성의 대표성 현황 = 53 2. 정당차원에서의 적극적 조치 = 56 a. 당내 당직 및 각급 선거의 후보에 여성할당규정 = 57 b. 여성기구설치 = 59 c. 여성발전계획 = 60 d. 기타 여성지원 조치 = 60 3. 관련 선거제도 = 61 B. 스웨덴 1. 여성의 대표성 현황 = 62 2. 정당차원에서의 적극적 조치 = 63 a. 당내 당직 및 명부에서의 여성할당규정 = 64 b. 여성기구설치 = 65 c. 여성정치인 리더십교육 = 65 d. 여성당직자 지원을 통한 여성정치인의 양성 = 66 3. 관련 선거제도 = 66 C. 영국 1. 여성의 대표성 현황 = 68 2. 정당차원에서의 적극적 조치 = 69 a. 당내 당직 및 각급 선거의 후보에 여성할당규정 = 70 b. 자기 추천제(self- nomination) 도입 = 71 c. 여성의원 300인(300 Group) 목표설정 = 71 d. 여성정치특별기금(EMILY s List) 설치 = 72 e. 여성정치참여증진 프로그램 운영 = 72 3. 관련 선거제도 = 73 D. 프랑스 1. 여성의 대표성 현황 = 75 2. 입법에 의한 적극적 조치 = 76 a. 헌법 개정 = 76 b. 선거법 개정- 남녀동수법 = 77 3. 주요 정당의 적극적 조치 = 78 E. 요약 및 시사점 = 82 V. 정당법상 성에 근거한 적극적 조치의 개선방향 A.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를 위한 최근 개정논의 = 86 B. 정당법상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개선 방향 = 90 1. 비례대표제 여성할당 의무화방식 강화 = 91 2. 성균형 원칙의 명문화 = 92 3. 지역구 후보공천 여성할당제 도입 = 93 C. 각 정당의 당헌·당규상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개선방향 = 94 1. 각급 선거에서 후보자의 할당비율 및 할당순번의 명시 = 95 2. 정당의 주요 당직에 여성할당제 도입 = 96 3. 당내 여성정치특별기금 설치 = 97 4. 당내 여성정치지도자 훈련기구 설치 = 98 D. 관련 선거법제의 개선방향 = 99 VI. 결론 = 103 참고문헌 = 106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8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政黨法上 性에 근거한 積極的 措置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