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주-
dc.creator김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5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39-
dc.description.abstract교과서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에 알맞게 계획되고 편찬된 학생용 도서로서 특히,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서는 교과서가 교육의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과서는 문자와 시각 자료라는 두 가지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를 비롯한 서적은 언어적 매체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 매체로도 기능한다. 언어가 시간적이며 순차적인 성격을 갖는데 비해 시각자료는 공간적이며 동시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교과서 시각자료는 본문 못지 않게 교과 내용 전달에 있어 교육적 효율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21세기가 요구하는 다양한 고등사고능력 신장에 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주어진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그것을 도표화, 지도화하고 지리적 지식으로 정확하게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지리교육의 중요한 목적이며, 또한 다른 교과와 차별화 될 수 있는 지리과목의 고유한 기능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2, 3학년의 선택과목인 세계지리와 6차 세계지리의 시각 자료의 변화를 알아보고, 기준에 따른 각각의 시각 자료의 기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본문과 책표지 및 내표지의 시각자료를 제외한 교과서의 시각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6차 및 7차 세계지리과목을 각각 선정하여, 주제별로 시각 자료간의 변화점이나 유사점을 분류하여 시각자료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우선 6차와 7차 세계지리교과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같은 출판사의 교과서를 각각 한권씩 선정하였다. 6차와 7차의 시각 자료 변화를 알아봄에 있어, 교육과정의 변화로 교과서 대단원이 다소 상이한 점을 감안하여 주제에 따른 분석틀을 제작하여 네개의 주제별에 따른 6차와 7차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시각자료의 기능은 세계의 환경 주제를 선택하여 기능별로 분류하였다. 비교수치는 백분비 또는 실수로 표시하여 분석 항목이 일목요연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했으며, 교과서 내용 연구의 객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국내외 다수의 선행논문을 참조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 자료가 어떤 교육적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 시각 자료를 사진 자료, 도표 자료, 지도 자료, 그림자료의 네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시각 자료들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이것들의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셋째, 6차 세계지리 교과서와 7차 세계지리 교과서 I세계의 환경 주제를 선정하여 시각자료의 교육적 기능을 각각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6차 세계지리교과서에 실린 시각 자료가 212개인데 반해, 7차 세계지리교과서에서는 564개로 두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7차에서 단원수를 감축하면서 기존의 서술식으로 제시되던 지리지식을 과감히 시각자료로 만들어 교과서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자기주도적 학습과 합리적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등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있어서 교과서의 시각 자료의 활용이 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6차 세계지리교과서의 전체 시각 자료 중 지도의 비율이 57%로 가장 높은 구성비율을 보였으며, 7차에서는 사진 자료의 비율이 전체 시각 자료 중 46%를 차지하여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이는 6차 교과서에서는 흑백으로 시각 자료들이 제공되어 사진 자료의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나, 7차 교과서는 모든 시각 자료들이 천연색으로 제공되어 학생들의 흥미 유발 뿐 아니라 효율적인 학습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주제에 따른 6차와 7차의 시각 자료 활용 정도를 살펴보면, 6차 세계지리 교과서에서는 가장 높은 시각 자료가 사용된 주제가 I세계의 환경 주제가 76개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III아시아 및 아프리카 가 74개로 나타났으나, 7차 세계지리 교과서에서는 III아시아 및 아프리카 가 196개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II유럽 및 아메리카 가 157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계의 환경 주제를 정하여 6차 및 7차 세계지리교과서의 교과서 시각 자료의 변화를 살펴보고 각각의 시각 자료들을 Duchastel의 분류 기준에 따라 주의집중 기능, 설명적 기능, 파지적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교과서 시각 자료의 세가지 기능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적이므로 다소 주관적인 견해가 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A textbook is based on the curriculum and a very important materials and is made of texts and visual materials. Especially, visual materials is more contemporary and spacial than texts, so visual materials are effective and motivative role of high-thinking ability developments. This study attend to compare the visual materials in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for high school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Firstly, examine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function of visual materials in the teaching. Secondly, divided visual materials into four ; pictures, chartes or tables, maps and illustrations. And investigate merits & faults of these visual materials in geography education. Third, compare the visual materials of world geography textbooks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on the subjects. Finally, analyze the function of the visual materials in Chapter Ⅰ Environment of world by Duchaltel, P. C. s theory.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the following ; First, two kinds of world geography textbook are some difference of amonut among the visual materials. In particular, the quantity of visual materials is 212 in 6th world geography gextbook. On the other hand, 564 in the 7th world geography textbook. Second, maps are possesed of 57% all visual materials in the 6th world geography. And pictures amount to 46% of all visual materials in the 7th world geography textbook. Finally, compare the application of visual materials in th 6th and 7th global geography textbook on the subjects ; Environment of world has be the most amount to 35% of all subjects in the 6th world geography textbook. The other side, in the 7th, Asia and Africa is most amount to 34% of all. According to this reach, I would like to expect to as next. Firstly, supplementary visual materials such as maps, tables, pictures and illustrations for the explanation of geography phenomina are being provided in the textbook. Secondly, The analyzing visual materials which will be helpful on organizing contents is essentially needed. Third, for example more detailed, pertinent and various visual materials must be needed from the view ponit of teaching methods in textbook to stimulate the learning motive of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절차 및 방법 = 4 II. 이론적 배경 = 8 A. 시각 교육의 의의 = 10 B. 시각 교육의 일반 이론 = 11 C. 연구 동향 = 14 III. 교과서 시각 자료의 특성과 교육적 효과 = 15 A. 교과서 시각 자료의 특성 = 15 1. 교과서 시각 자료의 정의 = 15 2. 교과서 시각 자료의 목적 = 16 B. 시각자료의 구성과 교육적 효과 = 17 1. 시각자료의 구성 = 17 2. 시각자료의 교육적 효과 = 21 IV. 6차 및 7차 세계지리 교과서 시각 자료 비교 분석 = 25 A. 6차 및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세계지리 교과서 = 25 B.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형태별 현황 분석 = 32 1. 6차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분석 = 33 2. 7차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분석 = 36 3. 6차 및 7차 세계지리교과서 주제별 시각 자료 분석 = 40 C.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변화 및 기능 분석 = 41 1. 6차 및 7차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변화 = 42 2. 6차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기능 = 44 3. 7차 세계지리교과서 시각 자료 기능 = 47 V. 요약 및 결론 = 51 참고문헌 = 54 ABSTRACT = 57 부록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87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지리 교과서 시각 자료 분석 : 6차 및 7차 세계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