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불국사 대웅전 복원에 관한 연구

Title
불국사 대웅전 복원에 관한 연구
Authors
강선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conjecture the original form of the major wooden pavilion(Daewoongjun) in Bulguk-temple and also to represent a virtual model by using 3D-computer modeling. Bulguk-temple is located on the western foot slope of Mt. Toham, which surrounds Kyungju, the capital city of the ancient Unified Shilla Kingdom in Korea. This temple had been founded by Kim Dae-Sung in 751, but all wooden structures were burnt down to ashes in 1593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The reconstruction of Bulguk-temple was started in 1604 and many attempts were made to restore and renovate it in the next 150 years. Howver it never gained its former stature and the present Daewoongjun building does not reflect the original architectural form. The present Daewoongjun was built in a late Chosun style(18th Century) on the stone styloboate of Unified Shilla style(8th Century). Thus, the upper wooden structure dose not neatly fit on its stone bases. This research involves multidisciplinary approach, calling on Korean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historical knowledge and computer modeling techniques. The following is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 Study the history, background and the remains of Bulguk-temple constructed around 8th Century. ▶ Conjecture the general style of wooden architecture at that time by studying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as well as the traditional Chinese and Japanese which were built around the same era. Try to figure out the parametric rules of those buildings. ▶ Make several hypothetical 3D computer models of Daewoongjun. In this research, 2 types of models were made and evaluated. ▶ Propose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model which as 2D drawings, 3D model and virtual model and also suggests the parametric rules of components. A computer modeling tool can be used in proposing the design of a new building as well as the reconstruction of a destroyed ancient one. The wooden components of a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have various complex shapes so that the modeling program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 has to be very versatile in its modeling capability. In this case, Catia(R5V5) software was selected due to its excellent three-dimensional shape modeling capability, boolean operations and its outstanding adaptability to all kinds of the changes required by users. This research will propose a most convincing reconstruction model of Daewoongjun in Bulguk-temple.;佛國寺는 한국 불교사원을 대표하는 사찰이자, 토함산 石窟庵과 더불어 신라불교사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절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로부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받기도 하였다. 건축사 분야에서도 四天王寺, 感恩寺와 함께 통일신라시대의 雙塔伽藍을 대표하는 절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불국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부단한 복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옛 모습대로 복구되지 못하였다. 17~18세기 200여 년 간의 재건 노력과 1970년대 초 정부주도의 대대적인 중건공사를 거치면서도 목조건물의 복원에 통일신라 양식을 담아내는 것은 당시로서는 실물자료가 전무한 상태라서 불가능하였다. 그 결과 중건된 건물의 하부구조는 原形인데 반하여 상부구조인 木造架構는 고려말 조선초기의 양식을 가미하여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大雄殿은 極樂殿, 紫霞門과 함께 18세기 후반에 재건된 건물이다. 즉, 이 건물들의 기단 및 주초석으로 이루어진 下部構造는 신라 때 것인 반면에, 上部構造인 목조건물은 18세기 당시에 유행하던 양식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불국사 대웅전은 통일신라 전성기의 목조건축양식을 연구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써, 다양한 복원안들의 논의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건축물임이 틀림없다. 복원적 연구 대상의 대체적인 범주에는 直接資料로서 불국사 대웅전 관련 기록과 대웅전의 下部石構造가 포함되고, 間接資料로서 안압지, 석굴암와 같은 동시대 유구 및 고려전기의 건축물들, 중국과 일본의 고대 건축 유구, 불화, 공예품, 석조물 등의 美術史料 등이 포함된다. 불국사 대웅전의 복원적 고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단과 초석의 남은 부분들이며, 평면과 가구수법을 추정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가 된다. 불국사 대웅전에 관한 고대 문헌자료는 『三國遺事』, 『三國史記』, 『佛國寺事蹟』, 『佛國寺古今創記』, 『佛國寺大雄殿重創丹頀記』등이 있는데 창건연대와 창건설화, 사찰의 장엄함 등은 파악할 수 있으나 건축의 세부수법 및 결구방법과 같은 구체적인 사항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최근의 자료로는 『佛國寺 復元工事報告書』, 『韓國上代建築의 硏究』 및 관련 연구자료들이 있으며, 불국사의 實測値과 用尺 및 공간비례구성 분석에 관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통일신라시대의 건축수법을 찾고, 불국사 대웅전에 관련된 유구와 사료의 분석을 통하여 복원안을 얻어내고자 한다. 특히 Computer 3D Modeling(CATIA)을 이용한 구체적인 가시화 작업과 병행하여 殿堂式과 廳堂式의 두 가지 모델을 만들어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원형에 가장 근접한 복원안을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통일신라시대의 구조기법과 의장기법의 실체에 한 걸음 더 접근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과 동시에, 불국사 전체 건물군의 복원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