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수형-
dc.creator최수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30-
dc.description.abstract영화제작은 거대한 자본을 필요로 하는 비즈니스이다. 따라서 투입된 자본을 회수하기 위해 흥행에서의 성공을 목표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자본의 논리에 따라 상품성을 띠고 만들어진 영화는 그것이 만들어진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한다. 실제로 상업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 중 하나인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된 여성 이미지가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본의 논리가 개입될 수밖에 없는 상업영화와 달리 영화제작진이 충당하는 소자본으로 만들어지는 독립영화는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로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양적 분석,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 한국독립극영화의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독립영화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상업영화에 대하여 한국독립극영화가 대안적 영화가 될 수 있는가를 알아봄과 동시에 통합방송법의 시행에 따라 시청자 주권이 더욱 강조되며 방송의 공공성이 중요시되는 이때 독립극영화가 바람직한 방송 컨텐츠로 기능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첫째, 한국독립극영화에 등장하는 여성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 둘째, 서사 전개에 있어 갈등으로 나타난 남성과 여성 이미지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서술자의 위치에 있는 카메라의 시선은 남성 우월적인가? 넷째, 영화에서 표현된 여성의 이미지로 드러나는 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등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제작되고 발표된 독립극영화 중 19편을 선정,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사회 통념상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되는 분야를 다룬 영화에서는 여성이 서사 전개에서 소외되거나 아예 등장하지 않았다. 이는 가부장적 성의 질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주요 여성 등장인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영화에는 대도시에 거주하며 고등교육을 받은 중산층의 20대 미혼여성들이 주로 등장하고 있었고 기혼여성보다 미혼여성들이 직업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재현되었다. 그런데 이들의 직업이 여성의 직업으로 분류되는 종류라는 것, 이 여성들이 대부분 날씬한 몸매의 미인들이라는 것 등은 가부장적 성의 질서를 내면화하고 있는 결과였다. 셋째, 등장 인물 사이의 갈등구도를 보면 주로 여성들이 남성보다 우위를 점하고 능동적으로 갈등을 해결하고 있었으나 여성들의 이미지는 관습적으로 재현되고 있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었다. 넷째, 카메라의 시선은 주로 제3자적, 객관적, 설명적이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독립영화의 역사를 돌이켜볼 때 독립영화가 사회운동매체로 태동하였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즉 영상의 역동적이고 미학적인 구성보다는 사실적으로 이데올로기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을 더 많이 해 온 것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다섯째, 한국독립극영화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에서 드러나는 이데올로기는 감독들이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또 그 주제는 대부분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저항적임에도 불구하고 영화에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순응적이었다. 이는 젊은 감독들이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노련하게 풀어나가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과 감독들도 우리 사회의 일원이므로 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 사회에 대한 문제 의식보다는 상업영화계를 겨냥하고 충무로로 입성하기 위한 전 단계로 독립영화를 제작하는 일부 독립영화진영의 최근 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러한 미숙함에도 불구하고 독립영화가 다루는 주제가 다양하다는 점, 그리고 그 주제가 기본적으로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저항적인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이성간의 갈등구도에서 대부분 여성이 주도적 위치를 점하고 갈등을 해소하는 이미지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 등은 상업영화와 뚜렷한 차이점이며 이는 독립극영화가 상업영화에 대한 대안영화, 공익성 높은 방송 컨텐츠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Filmmaking is a business that requires immense capital. Needless to say, its objective is to win popular mass appeal in order to recover the original investment. Following such capitalistic logic, films are made with a commercialistic tint, which in turn help in reproducing society s dominant ideology. Women images found in commercial films show a distortion resulting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one of the most dominant ideologies ruling our society. If commercial films inevitably involve capitalistic logic, then what about independent films made with small, producer-funded capital? Can they be free from social ideologies? This question serves as the basic assumption for this study, which seeks to look at the images of women portrayed in Koreas independent films by analyzing script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By doing so, it looks at whether Koreas independent films can: Offer an alternative to commercial films and; function as sound broadcasting contents at a time the new Consolidated Broadcasting Law has empowered the viewer and further emphasized the public nature of broadcasting. Under the previously stated objectives, the study will deal with: 1) How are women portrayed in Korean independent films? 2) What are the traits seen in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imes of conflict? 3) Is the perspective of the camera, representing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or, male-centered? 4) What ideology is revealed through the images in the film? For the purpose of answering the questions, 19 independent films were selected which were made during 1996 to 2001.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se movie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ovies that dealt with traditionally male-dominated fields limited or excluded altogether women perspective in the films narrative development. This represents male dominancy. Second, the female characters demographics showed that most of them were single middle-class women in their twenties with a higher education degree living in large cities. More single women had jobs than married women. However, the jobs they held were those traditionally thought to be a woman s job and most of the women were slim and beautiful. This is also a reflection of the male-centric order. Third, when conflicts occurred, women had the upper hand and proactively resolved problems, but their images followed a certain social convention, thus internalizing the patriarchal ideology. Fourth, the camera mainly adopted a third-person, objective and explanatory perspective.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Koreas independent filmmaking had its roots in social movements. In other words, it is the result of the effort to deliver the ideology itself, rather than trying to deliver a more dynamic and aesthetic picture. Fifth, even as independent film directors covered a wide array of topics and most topics showed resistance to the society s dominant ideology, the women in their movies conformed to the male-centric ideology. These young directors might have had a strong sense of direction, but lacked in their capability to dexterously develop their cases. They are also members of our society,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be completely free from our social ideology. It is also a reflection of the recent trend in the independent film landscape where films are made not for a specific social cause, but to help get an aspiring directors foot in Choongmooros (Hollywoods Korean equivalent) door. However, despite a few shortcomings, independent films have clear distinctions from its commercial counterparts in that it touches on a much broader scope of topics, its basic topics run against the society s ruling ideology, and in conflicts between the two genders, it is the woman in control leading the situation to a resolution. They are proof that independent films may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commercial mov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의의 = 3 II. 이론적 배경 = 5 A. 페미니즘 이론과 남성 시선(male gaze) = 5 1. 페미니즘 이론들 = 5 2. 남성 시선(male gaze) = 7 B. 한국상업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관한 연구들 = 10 II. 한국독립극영화의 특성과 영화사적 의의 = 18 IV. 연구문제 = 23 V. 연구방법 = 24 A. 분석대상 = 24 B. 분석방법 = 27 VI. 연구결과 및 논의 = 30 A. 독립극영화의 주제 = 30 B. 주요 여성 등장인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2 1. 연령 = 33 2. 학력 = 33 3. 결혼 유무 = 33 4. 직업 = 34 5. 계층 = 34 6. 거주지역 = 35 7. 외모 = 35 C. 갈등의 유형 = 38 1. 동성간의 갈등 = 38 2. 이성간의 갈등 = 46 3. 기성 사회질서/자연과의 갈등 = 53 D. 카메라의 시선 = 59 E. 한국독립극영화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와 이데올로기 = 63 VII. 결론 및 제언 = 68 A.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68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3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80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한국독립극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