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1 Download: 0

18세기 후반 官倉運營의 변화와 私設倉庫의 등장

Title
18세기 후반 官倉運營의 변화와 私設倉庫의 등장
Authors
최주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글은 조선후기 상업발달의 흐름 속에서 창고업이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여, 전근대사회에서의 물류유통의 문제를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에 서 있다. 조선후기 왕조정부는 진휼재원의 마련과 중앙재정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서울과 지방아문에 倉庫를 증설하는 한편, 조적의 원리 하에 창고곡을 관리·운영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중엽 이후 환곡의 비중이 증대되자, 지역 간의 곡물 불균형 현상과 곡가의 시세차에 따른 폐단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평의 원리 에 따른 물류유통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상평청곡이 진휼청곡과 함께 常賑穀으로 일원화되면서, 지방 官倉의 비축곡이 증대되자 환곡운영에 문제가 발생했다. 창고에 보관된 환곡량이 山邑과 沿邑에 차이가 나면서 지역간 곡가차를 초래했고, 이를 이용한 牟利행위가 나타났다.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환곡의 불균형 해소와 기근에 대한 지역구제 차원에서 穀物移轉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發賣와 貿遷을 통해 물류의 재분배 정책을 현실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잇다른 가뭄현상과 기근에 대해 정부는 한편으로 舊還을 탕감하는 한편, 환곡의 加分량을 늘리는 정책을 허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지방에서는 조정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盡分條로 운영하는 환곡이 늘어나고 있었다. 결국 18세기 후반 창고의 留庫穀은 점차 줄어들고, 창고곡의 출납을 통한 정부의 재분배정책은 그 기능을 상실하고 있었다. 여기에 지방관의 逋欠은 지방 관창곡의 유출을 초래하는 또 하나의 폐단이 되었다. 監官. 色吏와 같은 창고운영의 주체들은 조적穀을 사적으로 유통시켜 시세 차익을 거두는 한편, 지방 商賈들과 결탁하여 逋欠穀을 무역함으로써 이윤을 추구하고 있었다. 이로써 창고곡은 지방관들의 私的 殖利資本으로 성격이 변질되고 있었으며, 官倉 또한 소비유통공간으로 성격이 변모되었다. 이처럼 관창의 성격이 변화하게 된 데에는 화폐유통에 기반한 국내 상업경제의 성장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18세기 후반 私商층은 도성 주변에 亂廛을 설치하거나, 서울외곽의 유통로에 場市를 개설하여 도성으로 유입되는 물류를 중간에서 차단하는 한편 도성 내 물가를 조종하여 시전상인과의 상권경쟁에서 우위를 점해갔다. 이러한 私商층의 도고활동은 매점한 물건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창고의 설비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이들은 한강주변의 亂廛을 벌이거나 서울 외곽의 장시 주변에 店幕을 개설하여 사설창고로 활용하고 있었다. 한편 당대 서울과 지역 간의 물류의 유통이 활발해지자, 商賈의 물종을 위탁받아 대신 판매해주고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받는 客主가 외방포구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보관업의 일환으로 사설창고를 운영하고 있었다. 이로써 都賈商人들에 의해 운영된 상품보관고의 차원을 넘어서서, 물류의 보관을 통해 庫稅의 이윤을 거두는 倉庫業의 前身이 客主의 사설창고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 This thesis has an intention that we will have wide cognition of the commercial circulation in pre-industrialized agricultural society, by searching the potential of warehousing industry in the late Yi Dynasty. During this period, Yi Dynasty established more warehouses(官倉) in local authorities as well as the department of the official center and managed them with principle of hwan-gok(還穀), which is a system that government lends stored crops at interests to the starved, to make up the revenues for relief policy and keep the safe economy. However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enlargement of hwan-gok(還穀) resulted some misusages such as distinction of keeping crops and dissimilarity of their price among the local areas. The government enforced the price policy as principle of Sangpyung(常平) to find a solution for that. On the one hand, the government let local authorities transfer and sell at a fixed price some of Hwan-gok(還穀) from the mountain towns to coastal towns. The mountain towns would excessively stored Hwan-gok(還穀) due to in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refore they had somewhat low price of crops. Meanwhile coastal towns could not save the crops because of sending them to other wanted area against busy famines and therefore they often had a high price. On the other hand, the local authorities sold the crops in custody under control of themselves at a low price inside the area. With this, the government intended to stabilize prices of crops and realized the distribution channel policy of the crops. However, due to the frequent drought around the area, farming has been failed at intervals through many years and the government had to write off old debts(舊還) and give a tacit assent to lend more crops to people(加分). After all,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amount of crops stored in government warehouses, decreased gradually and distribution channel policy could not make the results out they desired. Moreover, the government officials embezzlement of stored crops caused national revenues to outflow into commercial distribution channel. The firsthand operating body such as Kamgwan(監官).Saekli(色吏) obtained marginal profits by selling Hwan-gok(還穀) of their own accord and dealing it in league with local merchant. Finally, the crops in the government warehouses began to change in quality to more private capital bringing in interest, the government warehouses themselves turned into the distributive machinery. These changes were, in fact based on the gradual commercial growth in the country at that time. The unprivileged merchants(私商) sometimes set up their own stores(亂廛) or opened up markets in Seoul and its outskirts, and then they competed with the privileged merchants(市廛商人) by cutting the crops in flow from the areas off from them(市廛商人) and making an exclusive sale. That means that the unprivileged merchants(私商) intentionally kept a large amount of crops in their own warehous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did not sell all by the time the market price went up. It means that warehouse made economical profits through only storage. Actually the unprivileged merchants(私商) in those days ran their own stores or used taverns(店幕) around markets as private warehouses. In addition to this, as the distribution channel has been developing in Seoul and nearby the area at that time, the unprivileged merchants from the areas consigned a large amount of crops that they belonged to Gaekchu(客主) around ports(浦口) and paid some commission for that. Hereby, the predecessor of warehousing industry, which won the warehouse charges for custody, appeared as a form of private warehouse owned by Gaekchu(客主).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