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반 편성의 유형이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동반과 개별반을 중심으로

Title
반 편성의 유형이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동반과 개별반을 중심으로
Authors
임경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ccording to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fluently in English. However, English writing has been ignored in many high school classroom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English writing and apply it to the instruction of writing in English. Until now, the incorporation of collaborative writing i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was rare. At most,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used to provide an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especially for the students comprehensive skills. Nevertheless,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used to teach English writing. That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llaborative writing could be an effective and alternative method for English writ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writing, which reflects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in the classroom settings, and apply it to high school classrooms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students proficiency in writing and their affective factors. For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rst define the terms of collaborative writing and individual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 their main characteristics. Based on broad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rea,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writing were designed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fty eight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writ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over nine weeks.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lement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llaborative writing did improve learners performance in the post experiment writing test. That is, the collaborative writing group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than the individual writing group. Moreover, the collaborative writing was especially effective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than the higher level students. Second, in the analysis of final writing drafts of the experiment which includes descriptive writing and narrative writing, the collaborative writing group submitted final drafts showing better content writing ability than the individual writing group. However, higher level students in the individual writing group demonstrated higher fluency in the final writing drafts than the collaborative writing group. Furthermore, there were much more interactions in the collaborative writing group than the individual writing group in the classroom observations. Third,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writing did improve learners existing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English writ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llaborative writing. This indicates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llaborative writing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ffective factors toward English learning, especially in respect to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including interest, and motivation. Moreover, in the interview, participants, especially the students in the lower level, expressed their positive opinions on collaborative writing. Fourth, in the evaluation surve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llaborative writing,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experience of collaborative writing. Among varies phases of their drafts, they preferred the revising phase to pre-writing, writing, and final draft presentation phases. In conclus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llaborative writing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on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and their affective factors. To be successful,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llaborative writing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collaborative writing textbooks and materials are highly important in implementing collaborative writing in the classroom. Moreover,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ed on collaborative writing should be carried out. Also, students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participation of collaborative writing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familiar with the skills related to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llaborative writing. ;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정보 산업은 세계를 하나로 묶었고, 이러한 시대에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과 전자 우편 등이 생활화되면서 영어 쓰기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듣기와 읽기 같은 이해 기능뿐만 아니라 말하기와 쓰기 같은 표현 기능 역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그러나 실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 및 과밀화 학급 현상으로 인해 시험에 주로 출제되는 듣기와 읽기 같은 이해 기능에 대한 수업만을 중시하고 표현 기능에 대한 학습은 경시되어 왔다. 특히, 쓰기는 교수·학습에서 어렵다는 이유로 교사나 학습자 모두 기피해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처럼 경시되어 왔던 쓰기 학습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수업에서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쓰기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에게 영어 글쓰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다양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그 대표적 방법으로 종래의 개별학습과, 최근 몇 년 사이에 새로운 방법으로 대두된 협동학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로 중학교 이하의 저학년을 대상으로 회화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에서 협동학습의 효과를 주장하는 연구들은 협동학습을 통해서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더욱 실제적인 영어 의사소통 활동과 동료 협의 활동, 수정·교정 활동을 거치면서 학습자들이 상호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협동학습의 효과를 고등학교 글쓰기 수업에서도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는 데에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즉, 학습자를 수동적 존재가 아닌 창조적 의미를 구성하는 능동적 존재로 보는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을 반 편성을 달리하여 협동학습반(이하 협동반)과 개별학습반(이하 개별반)에 실시하여 보고 그 현장 적용 가능성 및 효율성을 비교, 논의해 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구성주의와 협동학습 개념을 쓰기 학습에 응용하여 현재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글쓰기 수업을 할 때 반 편성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한 글쓰기(이하 협동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평가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자가 평가 형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 글쓰기 수업과 개별학습을 통한 글쓰기(이하 개별 글쓰기) 수업을 고등학교 1학년 5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9주에 걸쳐 실시했다. 영어 쓰기 과정은 기본적으로 쓰기 전 단계, 쓰기 단계, 수정·교정 단계, 보여주기·평가하기 단계로 나누어져 실시되었다. 이러한 쓰기 학습의 사전과 사후에 협동반과 개별반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검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심화 인터뷰를 실시했다. 또한 모든 쓰기 수업이 종료 된 뒤에 협동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수업에 대한 자가 평가를 해보게 하였다. 이와 같은 모든 연구 과정을 걸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협동반 학습자들은 협동 글쓰기 수업을 받은 후에 쓰기 능력에 있어 긍정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협동반의 하위집단 학습자들의 쓰기 점수가 많이 향상되었고, 글의 내용, 구성, 언어 사용, 유창성 등 모든 부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상위집단 학습자들도 글의 구성과 유창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 개별반의 학습자들의 경우 쓰기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개별반 상위집단의 경우에는 쓰기 능력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집단은 내용, 구성, 유창성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글쓰기 수업 중 쓰기 결과물 분석과 수업 관찰을 중심으로 두 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주로 글의 내용과 정확성, 유창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협동반 학습자들은 독자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내용으로 주제를 정하였고 여러 명의 협의를 통한 수정과 교정 과정을 통해 언어 사용이 더욱 정확해진 반면 개별반의 경우 대부분 명확하고 흥미 있는 내용 전개 능력이 협동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이었다. 그러나 개별반의 상위집단의 경우 제출한 글의 길이가 길고 협동반의 쓰기 결과물보다 더욱 유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반의 수업 관찰에서는 학습자들의 호응, 상호작용, 수업 참여도, 집중도, 과제 수행의 성실성, 흥미도, 심리적 부담감에 있어 다른 양상이 나타났고, 그 결과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협동반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수업에 대한 흥미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반의 경우 수업에 대한 집중도는 협동반 학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심리적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는 두 집단 사이에서 어떤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설문지와 심화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결과 협동 글쓰기가 개별 글쓰기에 비해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협동반 학습자들은 글쓰기 수업 후 일반적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협동학습을 통한 쓰기 수업에 대한 선호도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를 나타냈다. 개별반의 학습자들은 글쓰기 학습 후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협동 글쓰기 학습을 통한 쓰기의 자신감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별반 하위집단 학습자들의 경우 개별 글쓰기 학습 후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가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화 인터뷰를 통해 두 집단의 특징을 분석해 본 결과 협동반 학생들은 글 쓰는 내용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고 같은 조에 잘하는 친구들이 많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즉, 협동반 학습자들은 동료 협의 과정이 많았기 때문에 동료에게 의존적인 경향이 높았다. 개별반 학생들은 상위집단의 경우 쓰기 수업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하여 동감하는 편이었지만 하위집단의 경우 쓰기 수업에 대한 부담과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협동반과 비교하여 볼 때 개별반 학습자들은 교사에게 의존적인 경향이 더욱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협동반 학습자들의 협동수업에 대한 자가 평가에서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협동 글쓰기 수업에 만족하다는 평가를 했다. 특히 쓰기 수업 과정 중에서 수정 및 교정하기가 좋은 수업으로 평가를 받았고, 글쓰기활동에서 특히 글의 내용과 언어 사용 측면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협동 글쓰기 수업이 개별 글쓰기 수업과 비교해 볼 때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더욱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협동 글쓰기 수업 방식은 현재 고등학교 교실에서 기피되어 왔던 영어 쓰기 학습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그 활용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협동 글쓰기 수업 모형의 개발과 현장 적용 연구를 통한 구체적 수업 활동 모형 및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