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대학생의 학술적 구두 영어 발표를 위한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생의 학술적 구두 영어 발표를 위한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Authors
김희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언어를 사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에 있으므로 언어 교육에서 가장 강조해야 할 점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 영어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문법 수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말하기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제 7차 영어 교육 과정에 의하면 우리 나라 영어 교육의 목표는 실제적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어 수업에서 영어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 전달에만 치중하지 않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즉, 언어의 형식뿐만 아니라 언어의 기능 및 사회적 의미를 함께 고려하는 교수·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의 학교 교육은 특히 대학교의 경우 발표 수업, 토론 및 세미나와 같은 학술적 목적의 영어 말하기 활동에의 활발한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또한 외국어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전략의 효과적인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면서 말하기 과정의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FL 상황에 있는 우리 나라 대학생의 학술적 상황에서의 영어 구두 발표 전략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 나라 대학생들이 구두 영어 발표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빈번하게 사용한 전략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발표자의 전공과 수준에 따른 발표 전략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발표자 자신은 과연 그들의 발표에 대해 어떻게 자가 평가하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지역 A여대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4명과 국제학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3개월간 학생 1인당 1회, 총 8회에 걸쳐서 두 전공의 대학생들의 발표 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디오 촬영, 직접관찰 및 설문지 조사와 심층면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전략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론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육 전공 학생들과 국제학 전공 학생들의 구두 영어 발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구두 발표는 발표 준비하기, 발표 조직화 및 실행하기, 시각자료의 사용, 비언어적 행동을 포함한 상위범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언어적 측면의 발표 전략과 비언어적 측면의 전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전공에 따른 언어적 측면의 전략 분석 결과, 영어교육 전공 집단의 전략의 사용 빈도가 국제학 전공 집단보다 높았으나 담화 표지어 사용하여 설명하기 전략과 진행 상황 알려주기 전략을 빈번하게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것을 제외하면 국제학 전공 집단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발표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빈번하게 사용한 전략은 담화 표지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 진행 상황 알려주기, 청중의 참여 유도하기, 청중의 관심 집중시키기 순이었다. 담화 표지어를 사용한 설명하기 전략의 경우 영어 교육 전공 집단은 언어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발표 내용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청중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행 상황 알려주기 전략은 영어 교육 전공 집단의 경우 "you"와"we"를 중심으로 한 표현을 사용하여 청중이 주변인이 아닌 발표의 참가자가 되도록 유도하였다. 반면 국제학 전공 집단은 "I"와 "you"중심의 표현과 사람 주어를 피한 표현을 사용하여 진행 상황을 설명하였다. 청중의 참여 유도하기 전략은 영어교육 전공 집단의 경우 "yes/no"형태의 질문을 사용하여 발표내용에 대하여 직접적인 정보나 확인을 구했다. 반면 국제학 전공 집단의 경우 교과 과정의 특성상 국제 사회의 문제에 대해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Wh-"형태의 질문을 던져서 청중 스스로 사고하도록 유도하며 부가적인 설명을 하도록 요구하였다. 넷째, 비언어적 측면에서 나타난 전공별 발표 전략의 차이 역시 전공 및 교과목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표시간의 분배 및 시각 자료의 사용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는데, 국제학 전공 집단의 경우 발표자와 청중의 질문 및 토론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였기 때문에 발표 시간이 상대 집단보다 많이 걸리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영어교육 전공 집단의 경우 OHP, 오디오와 비디오, 그림 등을 이용하여 영어교수법에 관련된 활동의 실례를 청중에게 보여주는 등 다양한 시청각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섯째, 구두 발표에 대한 발표자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발표 이후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발표 활동을 통해 심도있는 지식을 확보할 수 있었고, 비언어적 요인과 시각자료의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으며 자신감 형성 및 자신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는 등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발표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과 발표 내용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발표 준비로 인해 다른 일에 소홀할 수 있음을 단점으로 지적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학 영어 구두 발표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구두 영어 발표 활동이 고등 교육 현장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활동 이며 조리있게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학습자에게 인식시키고 제 2언어로 이루어지는 구두 발표 전략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전공이나 환경에 따라서 효과적인 발표를 위한 전략유형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영어교육 전공 학생들의 경우 교수 방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시청각도구를 사용하여 활동을 제시하는 전략사용의 효과가 컸고, 국제학 전공의 학생들의 경우 현 국제 사회의 현상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내용이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청중 참여시키기 전략을 사용한 효과가 컸다. 셋째, 발표자 중심의 발표활동에서 탈피하여 발표자와 청중이 상호 의사소통하며 이루어 질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의 설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토론과 질문을 통한 청중의 참여 유도가 발표의 흐름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 1인당 1회의 발표관찰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표 전략의 변화하는 양상 및 EFL 상황에서의 청중과의 상호 작용 전략과 개인의 언어 능력의 차이에 따른 발표 전략의 사용을 살펴보지 못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Traditionally, the EFL classroom in Korea has focused on speaking and listening separately from reading and writing. This ha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wo distinct classes, the conversation and composition classes. Each division addresses different issues of language and trains students separately in a variety of skills. Today, however, based on the changing language goals of students, class formats and class syllabi need to be altered in order to facilitate a new group of students needs. These goals include how the students will use the language, their motivation to learn the language and their familiarity with the culture from which the language originates all of which have changed over the years. In today s society, many students in Korea plan to use their English skills in the workplace overseas or in furthering their education abroad at the university or graduate level. One way for EFL students to enhance and ensure fluency is through practice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in the classroom. The strategies necessary for a student to make such a presentation are ones that will enable the student to not only excel in making presentations in his native tongue, but also in his secondary language as well.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how university students are expected to use oral academic English presentation strategies and how the strategies they use differ according to their major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undergraduate majors and involved eight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the selected subjects. Four of them were English education majors while the rest were international studies majors. During the three-month experimental period, data was collected mainly from classroom observations, video recordings of presentation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ll of the presenta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tudents majors, the types of strategies, and the number of sub-strategies in the way of a case study by utilizing the works of Morita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ation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preparation, presentation, visual aid utilization, and control of nonverbal behavior.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ten verbal and nine nonverbal constructions as well.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from a verbal aspect, presentation strategies had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major. In the introduction, the students in the international studies major showed an increased use of strategies that attempt to grab the audience s attention while also involving them in discussions about recent controversial issues. On the other hand, the ones in the English education major showed a higher tendency to utilize the strategy of explaining topics by using discourse markers as the means of overcoming the linguistic difficulties such a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Third, the presentation strategies from a nonverbal perspective also had a correlation with the students major as well. The students in the international studies major allotted more time for participation in debates and the thorough solution of questions in addition to the showing of activitie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though OHP, audio, video and pictures. Finally,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indicated that, in general, the students attitud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sentation itself. They stated that they had the confidence to verbally express themselves in English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learning in-depth knowledge than before by going through the preparation stage. Also, they learned the techniques for integrating visual aids and nonverbal elements into a 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y pointed out some problems in controlling nervousness and how, due to the preparation process, which requires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effort, every other responsibility seemed to be forgotten until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present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suggested for future study. Since an oral academic presentation is a common, highly routine part of classroom instruction, the teacher should always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is activity. Therefore, the systematic practice of presentation strategies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 student s oral performance across contexts and over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