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한국 대학생의 영어 글쓰기 수정 전략 사용에 관한 사례 연구

Title
한국 대학생의 영어 글쓰기 수정 전략 사용에 관한 사례 연구
Authors
이지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ur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global. Every country is getting closer to each other both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This process of globalization is a result of our improved means of communication. English is the leading language on the forefront of this communication revolution. Thus, learning how to speak, read, and write in English has become extremely important. Learning how to write in English cannot be done by just studying vocabulary and grammar. As a result of this, learning to write in English is a difficult challenge for Korean EFL students. In spite of this nationwide limitation, steps to improve English written composition are largely ignored. Mainly this is because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system focuses on the type of English one would encounter in a college entrance exam. Even though English writing is evaluated on these exams it is nothing more than sentence level composition. Schools further this problem by not providing instruction on the type of paragraph writing found in letters and journals. When they do it is product oriented. The Korean education system can greatly improve students English writing proficiencies by focussing on process oriented writing instead of product oriented writing. This is because process oriented writing focuses on the students writing process. Under this system a student must write and revise his writing several times. Thus, process oriented writing is a much more efficient way for students to learn how to write in English. In process oriented writing students learn to write by using revision strategies such as peer discussions about their writing topic, research using the teachers feedback, and other helpful methods. It is through these recursive writing processes students become much better writers. Ultimately, they edit their drafts more than once, seeing their mistakes with the help of teacher s and peer s feedback. For Korean students to improve their written English, all aspects of writing such as content, organization, style, grammar, and mechanics must undergo a thorough process of revi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revision strategies and how they improve a student s writing proficiency. Factors in the revision process included types of writing, types of feedback, revision drafts, and the students writing proficiencies for each case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over ten weeks. The subjects were six university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advanced level students and three novice level students. At first, students revised their first draft with content based feedback. Then they revised their second drafts with integrated written feedback. Thirdly, students revised their first and second drafts of persuasive writing with integrated written feedback. Lastly, students revised their first draft of descriptive writing with grammar based written feedback. This made a total of nine drafts per students. Each student s writing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hrough revision processes,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was improved through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This was especially true of novice level students. Second, students used different revision strategies depending upon the types of writing. In expository writing students revised style, structure, and content more than in other types of writing. While in persuasive and descriptive writing they revised mechanics more than in expository writing. Third, students used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feedback. When they had content based feedback students revised content the most, while they revised mechanics and style the most with grammar based feedback. However, with integrated feedback students revised every aspect more equally than with any other type of feedback. Fourth, students exhibited similar tendencies when using the revision strategies for each revised draft. They revised content the most and structure the least. Fifth, students applied the revision strategi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Advanced level students revised content in descriptive writing; mechanics in persuasive writing; style and structure in expository writing. They also revised content with integrated feedback; mechanics with grammar based feedback; style and structure with content based feedback. Content changes occurred mostly on the first revision, while mechanics and structure changes occurred mostly on the second revision. Novice level students revised content in expository writing; structure in persuasive writing; mechanics and style in descriptive writing. They also revised content with content based feedback; structure with integrated feedback; mechanics and style with grammar based feedback. Mechanics and structure changes occurred mostly on first revision, while style and content changes were made on the second revision. Sixth, it could not be determined if students used revision strategi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gnitive style of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because there was not a field-independent in this study. Though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field-dependents were influenced by the feedback because their cognitive style is greatly affected by their environment and other outside standar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learly determined that a teacher s feedback influences a student s writing proficiency. Everything from the initial stages of composition to the process of revision is affected. That then plays a major role in the student s writing proficiency. This being determined, teachers need to offer integrated feedback regularly. Since a great majority of Korean English teachers are not native speakers, the government must provide educational support in the form of writing and feedback courses. Process oriented writing regulated by revision strategies also greatly improve a student s writing proficiency. Its advantages, also proven in this study, are clearly better than the current product oriented system taught in most schools. It is through further systematic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of process oriented writing that we can overcome this limitation in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system. ; 현대 사회가 점점 더 정보화, 세계화 되어감에 따라 정치, 경제적으로 세계 모든 국가들이 밀접해지고 이에 따라 구두 언어와 문자 언어를 통한 의사 소통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영어 구두 표현 능력에 대한 교육은 점점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쓰기와 같은 문자 표현 능력에 대한 교육은 여전히 경시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영어로 글을 쓴다는 것은 단순히 영어 어휘나 문법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면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능력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의 학습자들에게 영어 글쓰기는 특히 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서 쓰기는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 때문에 등한시되고 있다. 영어 쓰기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대부분 문장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간혹 극히 드문 경우지만 일기나 편지 형식으로 문단 단위의 글쓰기를 훈련한다고 해도 여전히 결과 중심의 글쓰기를 하고 있다. 그러나 과정 중심의 글쓰기는 글을 쓰고 수정을 되풀이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영어로 글을 쓰는 방법을 배우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 중심의 글쓰기보다 더 효과적인 쓰기 접근법이다. 이런 과정 중심 글쓰기는 학습자들이 글을 쓸 때 주제에 대해 동료와 토의하기, 글을 쓰다가 모르는 단어는 빈칸으로 남겨두기, 수정하기, 처음부터 다시 쓰기 등의 적절한 쓰기 전략을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영어로 글을 쓰면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 특히 교사나 동료와 피드백을 교환하여 다시 글을 수정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보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도 고려하게 되므로 글의 내용 및 표현 등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좋은 글을 쓰려면 내용, 구조, 문체, 문법, 기법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피드백을 받아 여러 차례 수정하면서 적절한 수정 전략을 사용한다면 학습자들이 체계적으로 글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영어로 글을 쓰는 것이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문법적, 어휘적 지식으로 습득되는 능력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나라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수정 전략의 사용은 영어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Sommers(1980)의 연구를 필두로 하여 국외에는 수정 전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국내의 수정 전략에 관한 연구는 장은수(2001)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장은수의 연구도 전자 우편을 활용하여 원어민과의 상호 작용에 초점을 두는 결과 중심의 글쓰기를 연구하였기 때문에 과정 중심 글쓰기에 초점을 두어 학생들의 수정 전략을 알아본 연구와는 큰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여러 번 수정의 과정을 거쳐 영어로 글을 쓰는 것이 그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글의 유형, 피드백의 유형, 수정의 횟수,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수준, 장독립성·장의존성 인지 양식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수정 전략을 사례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0명의 대학생들 중 상위 학생 3명과 하위 학생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10주에 걸쳐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먼저 설명문 초고를 제출하여 내용 중심의 피드백과 통합적인 피드백을 각각 1차 피드백과 2차 피드백으로 받았고 이에 대해 다시 수정본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는 논설문 초고를 제출하여 1차와 2차 모두 통합적인 피드백을 받아 수정본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묘사문에 대해 형태 중심의 1차 피드백과 통합적인 2차 피드백을 받아 각각 1차 수정본과 2차 수정본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렇게 총 3편의 초고와 6편의 1·2차 수정본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글의 유형에 따라 다른 유형의 피드백을 받아 두 번씩의 수정 과정을 거쳐 글을 쓰는 것은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위 학생들 모두 총괄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 모두에서 글의 유형에 따라 여러 번의 수정본을 쓰기 이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과정 중심 글쓰기가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둘째, 학생들은 글의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전략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설명문을 수정할 때 논설문과 묘사문을 수정할 때보다 문체 수정, 구조 수정, 내용 수정을 더 많이 하였다. 반면, 학생들은 논설문과 묘사문을 수정할 때 설명문을 수정할 때보다 기계적 수정을 동일한 비율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피드백의 유형과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수정 전략이 달랐는데 내용 중심 피드백을 받고 수정할 때 내용 수정을 가장 높은 비율로 하였던 반면, 형태 중심 피드백을 받고 수정할 때 기계적 수정과 문체 수정을 높은 비율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합적인 피드백을 받고 수정할 때는 다른 유형의 피드백을 받고 수정할 때보다는 더 고른 수정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학생들은 통합적인 피드백을 받아 수정할 때 수정하는 횟수에 따라 사용하는 전략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1차·2차 수정 모두 내용 수정을 가장 많이 하였고 그 다음으로 1차 수정시에는 문체 수정과 기계적 수정을 동일한 비율로 하였고 구조 수정을 가장 낮은 비율로 한 반면, 2차 수정시에는 내용 수정 다음으로 문체 수정, 기계적 수정, 구조 수정의 순서로 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학생들은 영어 쓰기 능력 수준에 따라 수정 전략을 다르게 사용하였다. 상위 학생들은 설명문에서 문체 수정과 구조 수정을, 논설문에서는 기계적 수정을, 묘사문에서는 내용 수정을 높은 비율로 하였고 내용 중심 피드백을 받고 문체 수정과 구조 수정을, 형태 중심 피드백을 받고 기계적 수정을, 통합적 피드백을 받고 내용 수정을 높은 비율로 하였다. 그리고 1차 수정시에 내용 수정을, 2차 수정시에 기계적 수정과 구조 수정을 더 높은 비율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위 학생들은 설명문에서 내용 수정을, 논설문에서 구조 수정을, 묘사문에서 기계적 수정과 문체 수정을 높은 비율로 하였고 내용 중심 피드백을 받고 내용 수정을, 형태 중심 피드백을 받고 기계적 수정과 문체 수정을, 통합적 피드백을 받고 구조 수정을 더 높은 비율로 하였다. 그리고 1차 수정시에 기계적 수정과 구조 수정을, 2차 수정시에 문체 수정과 내용 수정을 더 높은 비율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들이 장독립성·장의존성 인지 양식에 따라 사용하는 수정 전략이 다른 지를 증명할 수는 없었다. 6명 중 3명은 인지 양식이 장의존성으로 나타났고 3명은 장중립성으로 나타났지만 장독립성으로 나타난 학생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의존적인 학생들은 외부적 준거에 의존하고 원어민과의 접촉에 의한 학습에 유리하다는 그들의 인지 양식에 따라 피드백에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교수 효과가 있고 학습자들이 글을 쓰고 수정 전략을 사용하는 방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습자들의 영어 작문에 대해 문법 위주의 피드백을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용, 구조, 문체, 문법에 이르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피드백을 주는 데 부단한 노력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영어 교사가 원어민이 아니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에 많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피드백이 주는 교수 효과를 고려할 때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의 교사들에 대한 교육 연수가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 영어 쓰기 교육은 입시 위주로 쓰기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에게 영어 학습에 있어서 쓰기는 재미없고 어려운 기능(skill)으로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번 수정하여 쓰는 과정 중심의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쓰기 능력에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결과 중심의 쓰기 교육을 과정 중심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풍토의 조성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