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별-
dc.creator조은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4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00-
dc.description.abstract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에 대한 논의는 최근 평생교육 및 학습자 중심 교육과 관련하여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학습공동체에 대한 엄밀한 정의는 아직 명료하지 않지만, 대체적으로 이들 논의는 학습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자유로운 선택과 참여 , 합리적인 의사소통과정 을 전제로 하여, 일상생활 중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주체적인 학습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Capra, 1998; Collins, 1991; Welton, 1995). 특히 온라인에 구축된 학습공동체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온라인 공간이 교실이라는 울타리를 넘어 학습을 확장 시키는 기회를 제공하여,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공식적, 비공식적 학습공동체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온라인에서의 행위는 면대면의 행위와 유사하면서도, 언어를 이용하는 의사소통 방식으로 교수-학습 상황의 새로운 양상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들은 집단적 학습현상에 대한 사회적 등장 배경을 서술하거나 학습공동체의 지향성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분석에 그치고 있어 역동적인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사례를 중심으로,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발전과정에 따라 도출하여 향후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으로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선택하여, 온라인 공간에 기록된 게시판 자료를 기반으로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노력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동료 연구자 2인 및 교육공학 전문가 1인과의 지속적인 조율과정을 통해 분석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자료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틀(coding scheme)을 작성하였다. 온라인 자료의 메시지는 분류틀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평정하였고, 분류와 병행하여 분류틀도 전체 온라인 자료를 설명할 수 있도록 반복 수정되었다. 그 결과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은 분석된 의미단위의 각 유형을 전 활동기간에 교환된 의미단위 대한 비율로 환산하여 기간별 특징을 통해 파악되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온라인 학습공동체 발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출한 발전과정마다 해당 시기에 공유된 의미단위 중 두드러진 비중을 나타내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별 기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표준편차의 범위 이상이 되는 항목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을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은 1) 형성기, 2) 정체기, 3) 안정기, 4) 침체기, 5) 회복기의 5단계로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성기 는 온라인 공간에서 학습공동체의 활동이 시작되는 시기로서, 학습자원공유 의 빈도가 높으며, 활동공유 , 활동촉진 관련 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추후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기틀을 마련한다. 둘째, 정체기 는 온라인 활동이 초기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시기이다. 특히 학습과제에 대한 필요성 인식 , 활동촉진 및 분위기 전환 과 관련된 활동이 전체 활동기간 중 최저 수준을 기록하였다. 셋째, 안정기 는 전체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활동기간 중 가장 왕성한 활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기간이다. 이 시기에는 학습필요성 인식 , 협동 , 발표 , 평가/모니터링 , 공동체 정체성 확립 , 갈등조율 , 친목활동 등 대부분의 온라인 활동이 전체 기간 중 가장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넷째, 침체기 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활동 빈도가 뚜렷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기간이다. 학습자원공유 , 협동 , 발표 , 평가/모니터링 , 공동체 정체성 확립 , 활동공유 , 갈등조율 , 친목활동 등 대부분의 온라인 활동이 침체되었다. 다섯째, 회복기 는 침체되었던 활동이 회복되는 전환의 시기로, 모든 학습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활동 빈도가 증가되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로 도출된 5단계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발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성기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관련자원(31.23%) , 자기소개(20.93%) 와 그 외 자원(자료)평가 , 산출물 제시 , 참여독려 , 분위기 전환 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체기 역시 관련자원(21.23%) , 자기소개(18.45%) 가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으며, 자원(자료) 평가 , 사전기억, 경험 , 환영, 인사 , 개인 일상사 공유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안정기 에는 조언, 도움주기(15.61%) , 개인 일상사 공유(16.11%) 의 비중이 높았고, 개인학습활동 공유 , 사전기억, 경험 , 1:1 친목활동 , 분위기 전환 등이 중요 요인이 되었다. 넷째, 쇠퇴기 에는 관련자원(20.06%) 과 1:1 친목활동(16.58%) 이 주목할 만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언, 도움주기 , 도움 및 의견 구함 , 개인일상사 공유 , 분위기 전환 이 관련 요인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회복기 에는 관련자원(16.79%) , 환영, 인사(15.54%) 및 개인학습활동 공유 , 개인견해 제시 , 자기소개 , 개인 일상사 공유 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 Discussions about Learning Communities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related to life long educations and learner oriented educations. Though there is no clear definitions about learning communities, most discussions are commonly focusing on the subjective learning processes of learners which are performed in natural daily lives, presuming learners free selections and participations in learning processes and rational communication processes (Capra, 1998; Collins, 1991; Welton, 1995). In particular, the interests o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being increased, it s because that online spaces provide opportunities to expand learning beyond the fence of a classroom, and that official or unofficial learning communities can be formed beyond time and place. Furthermore, activities in online are similar to those in face to face, and produce new teacher-learning conditions though communications using languages. However, though strategies are necessary to maintain and develop communities, existing researches about learning community have only focused on describing social backgrounds about group learning phenomena or on macro analyses on the directivity of learning communities. Therefore, researches to understand active online learning communities a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developmental stage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to derive important factors in each stage. Research items to be revealed in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1) What i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2) What ar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se developmental processe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The Grounded Theor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various data were collected especially from online bulletin board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wo other colleagues and an educational technology specialist, and a coding scheme to classify online data was established by using of the data. The messages of online data were repeatedly rated based on the coding scheme, and the coding scheme itself was also repeatedly modified to explain all online data. As a resul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were grasped b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period, after converting each type of analyzed meaning units into ratio against meaning units exchanged during total periods.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the second research item- were confirmed by arranging factors having prominent relative importance among meaning units shared in each peri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The developmental stage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1) the formative period 2) the stagnated period, 3) the stabilized period, 4) the slackness period and 5) the recovering period. The features of each stage are as follow. First, the formative period is a period when the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ies begins, the frequency of sharing learning resources is high, activities related to sharing activity information and recreation are massively performed, and the base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in the future are prepared. Second, online activities decrease in the stagnated period and its status sustains. In particular, activities related to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learning objects , promoting activities and recreation are recorded at the lowest frequency among the whole period. Third, the most flourishing activities are maintained in the stabilized period among all stages. In this period, most online activities such a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learning , cooperation , announcement , evaluation/monitoring ,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 community , harmonizing conflicts , and friendship activities etc. were most intensively performed. Fourth, the frequency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activities decrease considerably in the slackness period , and the lowest activity level is recorded in this period. Most online activities such a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learning , cooperation , announcement , evaluation/monitoring ,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 community , harmonizing conflicts , and friendship activities etc. were stagnated. Fifth, stagnated activities become recovered in the recovering period , and all learning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s increased considerably. Factors influencing the 5 stage development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ve period were related resources(31.23%) , self-introduction(20.93%) , resource(data) evaluation , presenting achievements , promoting participations and recreation . Second, related resources(21.23%) and self-introduction(18.45%) had the most relative importance too in stagnated period, and there were also other factors such as resource(data) evaluation , previous memories and experiences , greetings and welcomes and sharing personal private lives etc. Third, in the stabilized period , the relative importance of advice and help(15.61%) and sharing personal private lives(16.11%) increased, and there were also other important factors such as sharing personal learning activities , previous memories and experiences , 1:1 friendship activities and recreation etc. Fourth, in the slackness period , related resources(16.79%) and 1:1 friendship activities(16.58%) became remarkable factors, and giving advice and help , wanting help and opinions , sharing personal daily lives , and recreation are also related factors. Fifth, in the recovering stage , influencing factors were related resources(16.79%) , greetings and welcomes(15.54%) , sharing personal learning activities , presenting personal opinions , self introduction , sharing personal daily lives and recre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7 D. 연구의 제한점 = 9 II. 이론적 배경 = 10 A. 학습공동체 = 10 1. 학습공동체의 개념 = 10 2. 학습공동체의 등장 배경 = 12 3. 학습공동체의 특징 = 15 B. 온라인 학습공동체 = 18 1. 학습환경으로서의 가상공간 = 18 2.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개념 = 21 3.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특징 = 26 4. 온라인 학습 공동체의 의의 = 29 C. 공동체의 발전 과정 = 32 D. 관련 선행 연구 = 38 1. 온라인 공동체 발전과정에 관련 연구 = 38 2. 온라인 학습공동체 발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41 III. 연구 방법 = 47 A. 연구 대상 = 47 1. 온라인 학습공동체 = 47 B. 연구 도구 = 51 1. 온라인 학습공동체 환경 = 51 2. 메시지 분석 도구 = 54 C. 연구 절차 = 58 D. 자료 분석 = 60 1. 웹 게시판, 자료실 분석 = 60 IV. 연구 결과 = 61 A.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 = 61 1. 학습활동 = 61 2. 사회적 상호작용 = 69 3. 전체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 = 79 B. 온라인 학습공동체 발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2 1. 공동체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82 2.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2 C. 결과 종합 및 논의 = 101 V. 결론 및 제언 = 104 참고문헌 = 110 부록 = 119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24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온라인 학습공동체의 발전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