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4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97-
dc.description.abstracte-Learning은 디지털 기반의 지식정보사회에서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으로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면대면 교수 학습 환경의 제약에서 벗어난 e-Learning은 적시학습, 맞춤학습 등 학습자들의 요구에 적절하게 부응함으로써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지원할 수 있고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보조해 줄 수 있는 튜터의 역할이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Harris, 1990; Moore & Kearsley, 1996; Freeman, 1997). e-Learning에서 튜터란 컴퓨터를 비롯한 첨단 매체를 매개로 하여 형성된 가상공간에서 학습자의 학습활동과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원시스템을 의미한다(Porter, 1997). e-Learning과 관련한 기술과 그것이 지닌 잠재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상대적으로 튜터가 e-Learning에서 실질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를 규명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Salmon, 2000). 특히 국내의 e-Learning 실정을 반영한 튜터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그나마 존재하는 튜터의 역할 및 역량에 관한 연구들은 학자마다 역할명칭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명확한 기준 하에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Heimstra, 1994). 이에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환경에서 교수자의 교수활동과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튜터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고,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녀야 할 역량은 무엇이며, 그 역할에 따른 행동지표는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또 국내 e-Learning 기관들에서 활동하고 있는 튜터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한 튜터의 역할, 역량 및 행동지표가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루어질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의 튜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의 튜터의 역할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역량 및 구체적인 행동지표는 무엇인가? 셋째, e-Learning에서 요구되는 튜터의 역할 및 행동지표와 현업실행수준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를1단계 연구와 2단계 연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e-Learning 관련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전문가 선정기준에 충족하는 전문가 집단 32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송부하여 e-Learning 환경에서 튜터의 역할, 역량 및 행동지표를 정의하도록 하였다.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2차 설문지를 통하여 각 항목의 중요도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3차 조사에서는 2차 조사와 마찬가지로 각 항목의 중요도를 재평가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합의를 이룬 항목만을 선정하여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 지원체제로서의 튜터의 역할, 역량 및 행동지표를 정의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e-Learning에서 요구되는 튜터의 역할 및 행동지표와 현업실행수준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의 e-Learning을 실시하는 고등교육기관 2곳, 산업교육기관 2곳을 선정하고 각 기관에서 튜터로 활동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은 최종적으로 5가지 항목 즉, 교수-학습활동 조력자, 학습 관리자, 준(準)내용전문가, 상호작용 촉진자, 사회적 관계 조직자가 선정되었다. (2)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역량은 중복되는 역량을 포함하여 24개, 행동지표는 80개가 선정되었다. 역할에 따라 역량이 중복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역량별 행동지표는 역할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었다. 교수-학습활동 조력자로서 튜터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학습자 요구분석능력, 준내용전문성, 의사소통능력, 온라인학습평가 능력, 인지적·정의적 전략에 대한 전문성, 사회적 관계형성 능력, e-Learning에 대한 이해, 책임감이다. 학습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은 과정관리능력, 학습관리시스템 사용 및 관리능력, 시간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e-Learning에 대한 이해 항목이었다. 준 내용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은 준내용전문성, 정보활용능력, 문제해결력이다. 상호작용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은 의사소통 능력, 상호작용 촉진능력,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활용 능력이다. 사회적 관계 조직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은 학습자 요구분석 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기획력이 중요하게 인지되었다. (3) e-Learning에서 요구되는 튜터의 역할 및 행동지표와 현업실행수준 간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본 연구에서 정의한 튜터의 개념 즉, 교수자와 학습자를 지원하는 역할로 튜터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었다. 산업교육기관에서는 본 연구에서 정의한 튜터를 운영자 로, 본 연구에서 정의한 교수자를 튜터 로 호칭하고 있었다. 즉, 면대면 교육 형태에서 조교의 활용이 일반화된 고등교육기관에서만 e-Learning에서 튜터의 개념이 올바로 정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교육기관에서 튜터는 담당 과정의 개설학과의 조교들로서 내용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간제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반면, 산업교육기관에서 운영자 로 불리는 튜터는 전일제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담당하는 과정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인 요건이 아니었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에서는 수업운영담당자가 교수자와 튜터들을 교육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e-Learning 운영에 대해 총괄적으로 책임을 맡고 있었다. 산업교육기관에서는 운영자 로 불리는 튜터가 튜터 로 불리는 교수자를 교육하고 관리하며, e-Learning 운영에 대해 총괄적으로 담당하고 있었다. 즉 산업교육기관에서 튜터는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교수자를 선발·관리·교육시키며, 교수자의 역할을 감찰하는 역할까지 담당하는 것이다. 넷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튜터는 1단계 연구에서 정의한 튜터의 5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고 있었으나 학습 내용과 관련된 역할은 대부분 교수자에게 일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기관은 교수-학습활동 조력자, 학습 관리자, 상호작용 촉진자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고 있었고, B 기관은 학습 관리자, 사회적 관계 조직자로서의 역할을 주로 수행하였다. 산업교육기관에서 운영자 로 불리는 튜터는 학습 관리자의 역할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준 내용전문가로써의 역할은 전적으로 교수자가 담당하고 있었다. 다섯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튜터들은 모두 내용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으나, 산업교육기관에서는 내용적인 지식과 무관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산업교육기관에서의 운영자 로 불리는 튜터들도 내용적인 부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내용적인 면에 대한 배경이 없이는 튜터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것은 1단계 연구에서 튜터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 준 내용전문성이 강조되는 결과와 일치한다. 여섯째, 4기관의 튜터들이 선정한 현업에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역량을 종합해보면, 학습관리시스템 사용 및 관리능력, 시간관리능력, 학습자 요구분석능력, 책임감, 준내용전문성, e-Learning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능력, 상호작용촉진능력이다. 이 중에서 4기관의 튜터가 동일하게 선택한 역량은 학습관리시스템 사용 및 관리능력과 시간관리능력이다. 특히 시간관리 능력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튜터의 업무 대부분이 정기적으로 혹은 정해진 시간 내에 관리 및 확인을 요구한다는 점, 튜터 1인당 담당하는 학생수와 과정수가 과다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서는 시간관리가 중요하다는 점, 시간적인 약속을 엄수함으로 학습자, 교수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 때문이다. 반면, 1단계 델파이 연구에서 시간관리능력(m=3.47)은 의사소통능력(m=4.59), 과정관리능력(m=4.41) 등의 다른 역량에 비해 낮은 평균값을 얻었다. 이것은 현업에서의 튜터들이 시간관리 능력을 다른 역량들에 비해서 특별히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시간관리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e-Learning전문가들의 의견과 현업실행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튜터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에 대해서 4기관 튜터들이 언급한 것을 종합해 보면, 담당해야 하는 과다한 과정수와 학생수, 튜터의 학습 모니터링을 지나친 간섭으로 여기는 학습자들의 태도, 학습내용에 대한 지식의 부족, 튜터에게 적합한 시스템의 부재,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 부족이다. 여덟째, 4기관의 모든 튜터들은 면대면 모임 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면대면 모임을 활성화하면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활발해지며, 튜터의 업무수행에도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업무 특성상, 또는 시간상 수행하지 못하는 사회적관계 조직자로서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테크놀러지를 사용하는 e-Learning에서 학습을 규정짓는 것이 기술성, 기계성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성에 있다는 Salmon(2000)의 주장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직차원에서 e-Learning 체제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e-Learning 추진하는 교육담당자, 경영진들이 e-Learning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즉 e-Learning 학습모델, 운영전략, 인적자원 구성 등을 올바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의 교육훈련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e-Learning 기관, 교수자, 운영자, 학습자들 모두 튜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인식이 필요하다. e-Learning을 실시하는 고등교육기관과 산업교육기관 모두 튜터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우선되어야 하며, 튜터의 자격요건에 대한 기준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 각각의 개별 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튜터 1인당 담당하는 학습자 수를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다. Bate(2000)에 의하면 학습자와 튜터의 비율은 과목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토론이 많이 요구되는 과목에서는 1:10 이하의 비율이, 토론과 설명에 균형이 있는 과목에서는 1:20 정도가, 상호작용이 많이 필요없고 설명적인 내용이 전달되는 과목에서는 1:100까지가 적절하다고 한다. 넷째,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튜터를 위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튜터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측면, 행정적 측면, 학습내용에 대한 측면 등 다양한 범위에서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튜터의 역할과 역량 모델을 기초로 유능한 튜터를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튜터가 전문적인 지식과 자부심을 가지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튜터 교육프로그램은 일회적인 제공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튜터와 교수자의 역할 분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튜터와 교수자에 대한 명칭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튜터가 담당해야 하는 역할과 교수자가 담당해야 하는 역할을 구분하는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튜터와 교수자에 대한 역할 및 행동지표를 규명하는 것은 그다지 큰 의미가 없으며, 평가기준도 마련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산업교육기관에서는 튜터에 대한 역할과 정의가 1단계 연구에서의 전문가들의 의견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산업교육기관의 튜터에 대한 심도있는 인식 조사와 튜터에 대한 개념이 올바로 자리잡히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정의된 e-Learning 환경에서 튜터의 역할에 따른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연구와 정의된 튜터의 역할 수행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In a digital-bas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e-Learning is arousing people s interests as a new way of educational supporting system. Mee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uch as just in time learning, e-Learning, which escape from the limit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face to face educational environment, is strengthening the importance of utility. In e-learning, the role of tutor who supports the teaching and learning, is very crucial fa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researchers recently used their own terms about the role and competencies of tutors and, in addition, one professor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definition in terms with clear standards. In this research, I d like to examine the roles of tutor, who support the activities of instructor and student, in e-Learning environment, the competency that tutor must have and, depending on those roles, the behavior indicators.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 d like to examine how exactly the roles of tutor are performed in Korean e-Learning institutions. I implemented two different researches. In the first research, after selecting 32 e-Learning expert panels, I implemented three times of Delphi-technique with this group. In the second research, to examin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ole and behavior indicator, needed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those roles and behavior indicators in the work field, I selected two schools and two corpor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terviewed tutors in those schools and institutes.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1. Five roles of tutor as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in e-Learning environment: teaching-learning supporter, manager, a semi-SME, Interaction facilitator, 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2. Depending on the roles of tutor as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in e-Learning environment, 24 competencies and 80 behavior indicators are selected, including those of overlapped. Depending on the roles, despite of some cases overlapped, behavior indicators for each competency are defined by each role. Tutor competencies for an teaching-learning supporter are analyzing skill of the needs of students, content expertise, communication skill, evaluation skill of online education, expertise in perceive strategy, social relationship skill, understanding of e-Learning, and responsibility Tutor competencies for a manager are class managing skill, utilizing and managing skill of educational management system, time management skill, communication skill, problem solving skill and understanding of e-Learning. Tutor competencies for a semi-SME are content expertise,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skill. Tutor competencies for a reciprocal interaction facilitator are communication skill, reciprocal interaction facilitating skill and CMC utilizing skill. Tutor competencies for a 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are analyzing skill of student needs, personal relationship skill, communication skill, planning skill. The discrepancy between tutor s role and behavior indicator, required in e-Learning, and the level of those in work field is as following. First, in schools, the tutor s role is recognized as that of tutor as the supporter of instructor and students in this research. In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es, the tutor s role is recognized as that of tutor as the operator, and they call instructor tutor. Second, in schools, tutors had backgrounds as the supporters of each department and practiced the role as a part-timer. In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es, tutors practiced as a full-timer and the knowledge about the undertaking class was not essential. Third, in schools, the class operator played a role in teaching and managing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had a total responsibility for the operating e-Learning. In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es, tutor managed instructors and had a total responsibility for the operating e-Learning. Fourth, in schools, tutors performed all of 5 roles of tutor, defined at the first research but the role as a semi-SME was in charged by instructors. In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es, tutors strengthened the roles as a manager and the role as a semi-SME were in charged by instructors. Fifth, all tutors in schools had a knowledge about the content but tutors in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es were composed with those who are not related with that knowledge. However, research shows that tu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It means the limitation of tutors role performance who has no knowledge background. This is accord with the situation that a semi -SME was emphasized among the competencies needed in tutors in the first research. Sixth, selected competencies for tutor were utilizing and management skill of education management system, time management skill, analyzing skill of students needs, responsibility, semi-SME, understanding of e-Learning, communication skill and reciprocal interaction facilitating skill. Seventh, as the factor of disturbance in performing the roles of tutor, an excessive number of class and student, a recognition that monitoring is the over interference, the shortage of content knowledge, the shortage of system fit for tutor and students lacking motivation of learning are those. Eighth, all tutors in 4 institutes strengthened the need of activation of face to face meetings. This situation is accord with the proposal of Salmon(2000) that prescribing learning in e-leaning, utilizing technology, is not attributed to technology and instrument but to sociality. On the basis of those researches, I d like to propose as followings. First, to activate the tutor activity as the instructor education system in e-Lea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organization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Learning is essential. Second, the accurate conceptual recognition of the tutor is needed. Third, to support to perform effective education for each student s individual situation, the number of student undertaken by one tutor should be restricted. Fourth, to successively perform the role of tutor as the instructor education system in e-Learning environment, supporting system for tutors are essential. Fifth, on the based on the role and competency model of tutor,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attract and secure qualified tutors. I d like to propose as followings for the succeeding research. First, we need the research about the role distribution between tutor and instructor. Second, we need such research that can define the roles of tutor depending on the type of e-Learning and the size of institution. Third, we need such research that can examine the recognition and concept of tutors in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es and find a way to settle them. Fourth, we need such research that can define the strategy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tutor depending on the role in e-Learning environment ,defined in this research and such research that can examine the factors that facilitate or disturb the defined role performance of tut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7 II. 이론적 배경 = 8 A. e-Learning = 8 1. e-Learning의 개념 및 특징 = 8 2. e-Learning체제의 구성요소 = 12 B. 교수-학습 지원체제로서의 튜터 = 27 1. 튜터의 개념 = 27 2. 튜터의 필요성 = 30 C. 관련 선행연구 = 34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51 A. 연구대상 = 52 1. 1단계 연구대상 = 52 2. 2단계 연구대상 = 53 B. 연구도구 = 54 1. 1단계 연구도구 = 54 2. 2단계 연구도구 = 55 C. 연구절차 = 56 D. 자료분석 = 59 1. 1단계 자료분석 = 59 2. 2단계 자료분석 = 61 IV. 연구 결과 = 62 A. 1단계 연구 = 62 1.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 = 62 2.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역량 = 67 3.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과 관련된행동지표 = 74 B. 2단계 연구 = 93 V. 결론 및 제언 = 108 A. 결론 및 논의 = 108 1. 1단계 연구 = 109 2. 2단계 연구 = 112 B. 제언 = 115 참고문헌 = 117 부록 = 123 ABSTRACT = 1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71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 및 역량에 관한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