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현-
dc.creator이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9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ing contract and self-direction on the learner interaction in web-based discuss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ers’ discussion messages were conducted. And the effects of self-direction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ers in the web-based discussion with the learning contract were also analyz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 was given to 56 undergraduate students to evaluate the level of self-direction. Two groups of 39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garding the level of self-direction : one being high level of self-direction and the other being low level of self-direction. All the students in both groups were asked to write learning contract before the web-based discussion. The web-based discussion lasted two week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t the end of the discussion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discussion itself and the learning contract. One-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ifference in learner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direction and the group with low level of self-direction. c² were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earner interac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self-direction on the learning process and satisfaction level. One-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ntity of learner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direction and the group with low level of self-direction (t=1.980, p>.05). Second,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direction showed more active involvement in social and metacognitional aspects whereas the group with low level of self-direction showed more active involvement in interactive and cognitive aspects. Crosstabs on this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²=95.817, p <.001 level.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learning contrac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group with low self-direction showed higher score in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in the web-based discussion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2.663, p<.05). This result shows that the learning contract, which is used to encourage active interaction among learners during the web-based discussion, brough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o the learners with low level of self-dir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further study on the quantitative aspect of interaction by analyzing log file, chatting room, messenger, and e-mail is needed. Second, level of self-direction is affected by demographical variable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take demographical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환경은 학습자들에게 자기주도적이고 즉시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면서 보다 확장된 학습 환경과 최신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적인 지식 구성 활동을 촉진하는 등 교육에 있어 매우 유용한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웹기반 학습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따른 적응적 학습 전략이 적절히 제공되어야 하며, 학습 전체를 주도하고 관리할 수 있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적절히 발휘되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웹기반 토론은 특히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웹기반 학습의 형태이다. 따라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웹기반 토론은 자기주도성과 같은 개인특성 차원 외에도 토론이 일어나는 환경적 변인과 교수설계 및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촉진하는 운영 전략 등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토론을 활성화하고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의 고안과 이것이 학습자 특성, 환경적 변인 등과 맞물릴 때 나타날 수 있는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Knowles(1975)는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에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참여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서 학습계약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들이 학습계약 전략이 자기주도적인 학습 환경에 책임감을 가지고 동기적 참여를 하도록 유도하며, 학업성취도와 태도 향상에도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적 참여를 촉진하는 전략으로서의 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양적, 내용적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계약을 웹기반 토론 환경에 활용하였을 때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계약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습계약을 활용하는 웹기반 토론 모형 설계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가 나는가? 1.1 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의 양에 차이가 있는가? 1.2 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상호작용 메시지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2 학습계약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먼저, S대학교 학부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검사를 실시하여 54명의 검사지를 회수하였고, 자기주도성 분석을 통해 상ㆍ하위 각 35%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자기주도성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에 속한39명의 학생을 최종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토론에 들어가기 앞서 학습계약 작성 안내 단계에 따라 학습계약서를 작성하고 웹기반 토론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계약 활용의 마지막 과정으로서 학습 과정과 학습계약에 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 학습에서 자기주도성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양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내용에서 나타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c²값을 구하였다. 한편,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각 집단별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과 학습계약에 대한 만족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통계를 활용하여 집단별 특성을 알아보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를 위한 분석 도구로는 SPSS 11.0 가 사용되었으며, 통계적 유의도 수준으로는 α=.001과 α=.05 수준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이 게시한 메시지 갯수(평균=22.8, 표준편차=12.99)와 상위 집단이 게시한 메시지의 갯수(평균=14.1, 표준편차=14.42)의 평균에는 비교적 큰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1.980, p>.05). 둘째, 웹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내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에서는 자기주도성 상위 집단이, 상호작용과 인지적 차원에서는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이 좀 더 많은 활동 양상을 보였다. 이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c²의 통계값은 95.817로, p < .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계약에 대한 집단간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적인 항목에서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습계약을 활용하여 토론을 진행하였을 때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에 비해 토론 경험에 대한 만족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임이 밝혀졌다(t=2.663, p<.05).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들은 일관되게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토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자기주도성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이 보여준 상호작용의 양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는 토론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변인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해볼 수 있다. 즉, 학습자의 개인특성 차원과 환경적 차원 등이 토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선행연구의 학습자들보다 낮은 분포를 나타낸 자기주도성 수준, S대학교의 가상강의실 서버가 불안정하여 종종 접속이 어려웠던 점, 동일한 자기주도성 수준만을 고려한 토론조 구성 등이 선행연구와는 상반된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내용 측면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은 토론 메시지의 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에서는 자기주도성 상위 집단이, 상호작용과 인지적 차원에서는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이 좀 더 많은 활동 양상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높은 자기주도성을 가진 학습자들이 메타인지적 차원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나타낸 것은 일정을 계획하고, 방향을 점검하며, 진행된 내용을 정리, 평가하는 활동이 포함되는 상호작용의 메타인지적 차원과 학습에의 적극적 참여, 자기규제, 자기관리 등과 같은 자기주도성의 주요 요소가 서로 맞물려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는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계약을 활용하여 토론을 진행하였을 때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에 비해 웹기반 토론 경험에 대하여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는 것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필요로 하는 웹기반 토론 환경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 촉진 전략으로 활용된 학습계약이 특히 자기주도성이 낮은 학습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낸 것으로 여겨진다. 또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성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적용하는 교수 설계와 그에 적용되는 학습 전략을 달리 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즉, 자기주도성이 높은 학습자는 외적인 통제가 없더라도 스스로의 학습을 주도적으로 잘 진행해 나갈 수 있으며, 오히려 외부의 통제가 있을 경우 자신의 목적이나 전략과 상치하여 역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으나, 자기주도성이 낮은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서 보다 명확한 지시가 있을 때 더 활발하게 상호작용 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리라 보인다. 이러한 견지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토론 과정에 대한 책임감을 감지하도록 한 학습계약을 실시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학습 과정에 대한 주도권과 책임감이 낮은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에서 웹기반 토론에 적용된 학습계약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라 단계적, 수준별로 차별화 된 수업을 제공하고자 한 Grow(1991)와 자기주도성이 높은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의 자율권을 보장해 주며, 자기주도성이 낮은 학습자를 위해서는 교사나 운영자의 참여 촉진 전략, 적절한 과제 안내 제공 등 설계적인 측면과 교수적 처치에서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정연희(2000)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의 양적인 분석에서 보다 적극적 참여라는 의미로 학습자가 게시한 메시지 횟수만을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토론 참여에 관한 다양한 로그파일 분석과, 토론 게시판 뿐만 아니라 대화방, 메신저, 이메일 등 공개되지 않은 상호작용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상호작용의 양적 측면을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특정 과목을 수강하는 지방 소재 대학의 학부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측정하였고 선행연구의 대상자의 자기주도성 점수 분포보다 다소 낮은 수준의 자기주도성 수준을 나타내었다. 연령, 학력, 소득, 거주지 요인 등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주도성 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도시와 중소도시 등 다양한 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성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학습계약 전략을 두 집단 모두에게 제공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계약 전략이 두 집단에 미친 영향은 규명할 수 있었으나, 학습계약 전략을 제공하지 않은 통제 집단을 상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계약 전략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자기주도성 신장이나 웹기반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계약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인 학습계약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상호작용 메시지 내용 분석 결과 자기주도성 상위 집단의 학습자들이 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에 비해 메타인지적 차원을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자기주도성 하위 집단의 경우 단순히 자료나 타인의 글을 그대로 인용하는 인지적 차원의 글을 사용하여, 토론의 전체적인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알고 있거나 인용한 내용을 나열하기에만 치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정한 의미의 토론이 아닌 단순히 자신의 의견이나 다른 글의 인용을 제시하는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집단간의 상호작용 내용 차이가 학습의 성취도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2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웹기반 토론 학습 = 6 1. 웹기반 토론 학습의 특징 = 6 2. 웹기반 토론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 9 B. 자기주도성 = 23 1. 자기주도성 = 23 2. 자기주도적 학습과 자기주도성 = 26 C. 학습계약 = 28 1. 학습계약의 개념 = 29 2. 상호작용 촉진 전략으로서의 학습계약 = 30 D. 관련 선행 연구 = 31 1. 웹기반 토론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 = 31 2. 자기주도성에 관련된 연구 = 34 3. 학습계약 활용에 관련된 연구 = 35 III. 연구방법 = 37 A. 연구 대상 = 37 B. 연구 도구 = 40 1. 실험 도구 = 40 2. 측정 도구 = 42 3. 분석 도구 = 44 C. 연구 절차 = 48 D. 자료 분석 = 50 IV. 연구 결과 = 52 A.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의 양적 분석 = 52 B. 자기주도성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의 유형 분석 = 53 C. 학습계약에 대한 만족도 분석 = 56 V. 결론 및 제언 = 59 A. 결과 및 논의 = 59 B.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62 참고문헌 = 65 부록 = 75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33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습계약을 활용한 웹기반 토론에서 자기주도성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