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가족기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 가족을 중심으로

Title
가족기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 가족을 중심으로
Authors
김현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정신장애인을 가족원으로 둔 가족들은 일상적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환자를 돌보는데서 오는 보호부담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는 가족원 개개인의 삶 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마다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이 다르고 이러한 방식의 차이는 가족 기능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가정하며, 정신장애인 가족의 기능의 하위 카테고리인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 가족 체계 유형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정신장애인 가족의 고유한 능력을 이용하고 가족에게 힘을 부여하기 위한 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정신장애인 가족의 일상생활적 적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질문1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정신장애인 가족의 기능은 어떠한가? 【 질문2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정신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어떠한가? 【 질문3 】가족의 기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조사는 정신장애로 인해 종합병원, 개인병원 및 지역사회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환자의 가족원 9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도구로는 가족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FACES III ( Family Adaptation Cohesion Evaluation III )를 이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Ways of Coping Checklist를 재구성한 설문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 Test, One -way ANOVA와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가족 기능의 차이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 변인의 차이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과 질문에 근거하여 각 변인별로 살펴보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중 가족 기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는 변인들은 응답자의 결혼상태와 환자의 성별, 환자 학력 등이었다. 가족 체계유형과 성별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은 가족 체계유형을 보였다.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에 있어서 미혼, 기혼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미혼 집단의 응집성, 적응성의 평균값이 기혼 집단보다 높았다. 환자의 학력과 응집성도 통계적 유의미성을 보였으며, 고졸 수준 이상의 환자와 중졸 이하의 환자의 응집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법은 문제해결형, 긍정적 사고형, 긴장해소형의 방법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혼 집단이 긍정적 생각의 스트레스 대처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료 형태와 긴장해소형 대처 방식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학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서는 고졸자 이상의 학력자들이 중졸 이하의 저학력의 가족들보다 문제 해결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학의 경우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 = 2.782, p < .05 ) 환자와의 관계는 긴장 해소형 방법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 F = 2.059 , p < .05) 월수입과 긍정적 사고의 방법이 유의미 했다. ( F = 2.782, p < .05) 3. 가족 기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가족 체계유형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스트레스 대처 방법은 문제해결방법, 사회적지지 추구 방법, 소망형 방법, 긍정적 관점 갖기 등이었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법인 문제해결 방법은 기능적 가족 체계유형이 양 극단의 역기능적 가족 유형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적극적 대처법인 사회적 지지 추구의 방법도 기능적 가족 집단인 중간의 두 집단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긍정적 관점의 스트레스 대처법은 많은 가족체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 응집성, 적응성 수준이 적절한 기능적 가족유형이 이러한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극단적 가족 유형과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가족원들이 지나치게 변화지향적이고 혼란스럽고 무질서하며, 가족원이 지나치게 밀착되어 있는 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은 집단 역시 적절한 응집성과 적응성을 보이고 있는 가족 체계유형에 비해 이러한 방법을 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정신장애인 가족이 적절한 응집성과 적응성을 보일 때 즉 기능적일 때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응집성과 적응성을 보이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임상가들이 가족에 대하여 개입함에 있어 가족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역동적 가족관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관련을 살펴보아야 하며, 가족의 기능을 파악하여 지나치게 밀착되어 있거나 단절되지 않는 결속력을 가진 가족으로, 적당한 가족 체계의 안정유지와 변화 유도를 하는 방향으로 가족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임상가가 환자 뿐만 아니라 가족전체를 위한 보다 다양한 개입을 하고, 가족 전체의 기능변화를 도모하는 방식으로 가족 기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과 가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외국 이론을 통한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 사회에서의 활용을 위한 방안 모색을 제안한다.;The Family who has to take care of mental patient have lots of stress from daily stress and burden of caring patient. This stress effect on indivisual's life besides family relationship. This study have assumption which is each family has a different stress coping methods and the differences of stress coping methods comes from family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family stress methods through the family cohesion, adaptability and family pattern. From this study, we can use the results as a basic information to advance adaptation of mental patient's family and develop social work programs. 【 Study Question 1】 What is the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through the general variable? 【 Study Question 2】 What is the difference of family stress coping method through the general variable? 【 Study Ques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of family stress coping method through the family fun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8 family members who have mental illness patient, all of them were using mental hospitals or mental health care centers in seoul. The survey tool was FACES III ( Family Adaptation Cohesion Evaluation III ) and revision of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One - way ANOVA and Scheffe by SPSS PC` 10.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following. 1. The distinction of family function through the family sociodemography. Family marital state, patient's sex and patient's grade had a significant distinction. Females were upper level of cohesion and adaptation in family pattern. The average of cohesion and adaptation is unmarried people were upper than marred people. Between patient's grade and cohesion ha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stinction, expecially upper than high school degree had a big difference of lower than middle school degree. 2. The distinction of family stress coping method through the family sociodemography. Problem solving method, methods of positive thinking, the method of releasing anxiety ha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stinction through the family sociodemography. Marital group used the method of thinking of positively more than unimpartial group and treatment pattern had a significant distinction through the releasing of anxiety method. In family grade case, upper high school degree people used th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like problem solving method more than lower middle school degree people. (F = 2.782, p < .05 ) The relation between family and patient ( F = 2.059 , p < .05), and between family income and thinking of positively had a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tinction ( F = 2.782, p < .05). 3.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tinction family stress coping method through the family function. Problem solving method, support searching from the society, hoping method and method of positive think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tinction. Problem solving method which is active stress coping method showed that functional family used this method more than disfunctional family. Also, support searching method from the society used more functional family which is middle level of cohesion and adaptation than disfunctional family. In case of positive thinking method, among the family pattern had a significant distinction. The family pattern which has appropriate cohesion and adaptation used the most at this method, between extreme family function and appropriate family function had a big difference.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e more family have a appropriate cohesion and adaptability is the better family function. Also functional family use more active and positive stress coping method than dysfunctional family. The result like this present social workers should examine relation of family dynamic relationship and stress coping method as well as find out family function when the they deal with family problem. Besides this result present social workers should help the family who has extremely cohesiveness - incohesiveness or extremely adaptability - disadaptability change to functional family which is to show appropriat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worker should have intervention to the whole family as well as patient, and should try to develop clinical program which enhance whole family function. Also this study insist on studying various theories from abroad and devicing new method practically useful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