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재가복지서비스의 지지기능이 부양부담감소에 미치는 영향

Title
재가복지서비스의 지지기능이 부양부담감소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전체인구 중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가족의 변화로 인해 더 이상 가족 내에서만 노인을 부양할 수 없게 되자 사회적 부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가족의 부양부담을 감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제시되고 있는 노인복지법상의 재가복지서비스는 가정봉사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이다. 현재 노인의 부양부담에 관련하여 재가복지서비스의 이용과 만족도에 관한 몇몇의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재가복지서비스가 저소득노인과 생활보호노인에게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감소하기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역할을 얼마나 적절히 수행하는 지 알아보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지지측면이 가족부양부담 감소에 영향을 주는 지 살펴보고, 가족의 부양부담 감소를 위한 재가복지서비스 개발과 노인복지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자로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의 간호 및 수발 등을 하고 있는 1차적인 책임을 지닌 주부양자들로 하였다.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재가노인복지시설 중 설문에 응하는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02년 4월 8일부터 2002년 5월 10일까지 총 5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총 140부를 배포하여, 총 10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특성과 부양부담 분석 결과 노인특성요인은 부양부담에 대해 15.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관련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일상생활동작능력이 가장 크고, 다음이 인지기능 수준이며, 문제행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양자특성과 부양부담 부양자 관련 특성이 부양부담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25.1%로 가장 큰 영향 관계를 보이는 것은 주관적 경제상태로(r=-.346) 주관적 경제상태와 부양부담이 반비례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수준이 낮으면 부양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수발시간이 길면 부양부담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도 지지되었다. 하지만 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병원진찰회수는 부양부담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3. 구조적 지지기능과 부양부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구조적 지지에서 직원의 친절도, 교통의 편의성, 상담빈도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구조적 지지의 하위요소 중 이용기간이나 이용절차의 편의성, 전화상담의 빈도수, 도움을 요청할 만한 직원 수, 기관수, 서비스의 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4. 기능적 지지기능과 부양부담 기능적지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것은 정서적 지지였으며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5. 각 변수와 부양부담의 관계에 대한 재가복지서비스의 지지기능의 영향 노인관련 특성, 부양자 특성, 구조적 지지기능과 기능적 지지기능의 독립변수를 모두 포괄한 Full model에서 Backward 제거방식을 통해 구성한 Reduced Model에 기초해서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일상생활동작능력수준, 구조적 지지의 하위요소인 기관 직원의 친절도, 기능적 지지에서 정보적 지지로 나타났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기능 중 구조적지지 기능과 기능적지지기능이 부양부담감소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독립변수와 지지기능의 상호작용을 검토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는 일상동작능력정도에서는 교통의 편의와 상담의 빈도, 정보적지지가 부양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측면에서는 교통의 편의성, 상담의 빈도, 물질적 지지의 기능이 부양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기능의 장애는 직원의 친절도와 정서적 지지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제상태에 따른 부양부담은 기관의 친절도와 상담빈도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적인 건강상태에 따른 부양부담은 교통의 편의성과 상담빈도, 물질적 지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과 간호시간에 의한 부양부담은 기관 직원의 친절도, 교통상 편의, 상담빈도, 총 기능적 지지가 모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가족의 부양부담 감소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가정봉사원파견사업, 주간보호, 단기보호서비스 등의 휴식서비스(respite service)가 보편적인 서비스로 활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을 모시는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정책과 수발시간 감소를 임상적 대안이 함께 요구된다. 셋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정보적 지지기능과 물질적지지 기능의 강화를 위하여 부양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양적인 확대에서 질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할 시점이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유기적인 연계방안 확보가 시급하다.;Korea is currently witnessing a drastic rise in the population of the aged in the total population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owever, due to the nuclearization of family, a rise in the number of working woman who participate in the society, no longer is the family carrying out the care giving function. There are home helper, daycare center, short stay in community services to reduce family care burden. Most of the studies that were conducted until recently focused on satisfaction or utilization of community service that help care - giving family. In addition, community service for elderly is provided to poor people in korea. That makes the studies about community service for elderly focus just on care giving family and its burden not on to role of community service to reduce family care burden. For these reason,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the influence of community service especially day care service and short stay to reduce family care burden. By shedding more lights to the role of community service in this paper, I would like seek ways to develop community service and to provide primary data for setting up welfare polic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primary caregivers residing in Seoul that provide support to their parents using community service over 60. All of the survey were diagnosed by service center which permit the survey. The scope of the survey was confined to those who paid visits to day care center or short stay as of April 2002 to provide treatment to their parents. The survey lasted around five weeks from April 8th to May 10th of 2002. Among the 140 survey Questionnaires distributes, 104 were used as final material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utilized various methods to compile and analyze the statistics inclu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based on SPSS 10.0 for windows. The following are a summary of major outcomes of the research: 1. Characteristic of elderly people and the Level of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 of elderly people and the Level of Care Burden relatively strong with the former on the latter being 15.1%. To elaborate, the higher level of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lower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and problem behavior, the lower level of care burden. 2.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ers and the Level of Care Burden The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ers ar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including,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aily average of care - giving hours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 of Care-givers and the Level of Care Burden was found to be relatively strong high by the survey with the former on the latter being 25.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the care givers characteristics, the subjective social status of care - givers is the most correlative factor. The Higher level of social status said the lower care burden of care- givers. The Higher level of the daily average of care - giving indicated hither level of care burden also. But the level of subjective heath turned out to be viable with care burden meaningless. 3. Structural Social Support and Care Burden Structural Social support consist of surbordinate factors as like kindness of service center facility, convenience of traffic to use the center, the number of social worker who can help the care - givers, the number of service and service center can be used and frequency of family counselling and so on. Among them kindness of service center facility, convenience of traffic to use the center are influenced on the care burden. Any other factors turned out to be viable with care burden being meaningless. 4. Functional Social support and Care Burden Emotional support co-related to care burden but materi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was not found the positive influence. 5. Impact of Social support on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are Burden and Each of the above Variables. A reduced model based on backward was used obtain an overall impact of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on the level of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venience of traffic, frequency of family counselling and informative support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ADL, heath status and care burden. Those factors and functional support also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and care burden. Subjective social support was impacted by kindness of service facility and frequency of family counselling. Fuctional social support, kindness of service facility and frequency of family counselling, and convenience of traffic are factors impact on the daily average of care-giving hours and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I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s. First, the respite service as like short stay, day care center and home help service has to achieve as the common service to support the care giving family. Second, social policy of compensate for economic ross of care giving family has to set up to reduce family care burden. For more social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be shorten the daily average of care giving hours. Thir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functional social support of community service. Forth, it's the time for us to convert just to grow service quantity from to enhance service quality. Finally, individual services should be connected each other to grow service qu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