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9 Download: 0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해소를 위한 목회상담 : 보웬 이론 중심으로

Title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해소를 위한 목회상담 : 보웬 이론 중심으로
Authors
한희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역기능 가정의 하나인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요인과 그에 따른 가족의 배경을 중심으로 보웬의 눈으로 사례를 분석·진단하고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해소를 위한 가족 구성원에 대해 목회상담적인 접근방법과 교회와 목회자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봄으로 그 치유 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대고부갈등은 전통가족에서의 고부갈등 발생의 구조적 원인이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현대가족의 문제점이 더해져서 현대가족에서의 고부갈등이 더욱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가족의 고부갈등은 단순한 연령차, 세대차로 인한 갈등을 넘어 수 천년 간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 의식구조와 불과 수 십 년 사이에 새로이 형성된 현대적 의식구조에서 사회적, 역사적 체험이 다른 두 여성이 마찰을 빚으면서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전통적인 사고에서는 고부갈등을 두 여성만의 문제로 여기지만 고부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원천적인 갈등의 원인은 가부장적인 가족제도의 불평등한 체계에서 생성되는 역기능이 다음 세대로 계승되면서 여성뿐만 아니라 전체 가족이 역기능화 된다. 본고에서는 갈등의 정도가 가장 심각하리라 예상되는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해소를 위한 목회상담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고부의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은 가부장 사회 제도의 산물로서 가족과 사회구조라는 측면에서 필연성을 띄는데 이러한 고부갈등은 가족 더 나아가 사회에, 사회는 다시 가족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가족은 사회와 상호 간의 기능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족의 특수성이라는 면에서 논의해볼 필요가 있으며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는 가족 치료적 관점에서 고부갈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한국 전통가족의 고부관계의 특성과 현대가족의 고부관계의 특성을 통해 고부갈등의 원인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고부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은 가족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의 가치관과 구조가 남존여비 사상에 뿌리를 내린 남성 중심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독특한 한국 가족이 갖는 전체가족의 하위체계로서의 고부갈등을 인간생활상의 세 가지 문제인 환경의 압박문제, 생활의 변천문제, 대인관계과정의 문제와 연관하여 제시하고 그 원인과 영향을 주는 제요소들에 대해 가족 체계적 접근을 하였다. 본문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을 분석·진단하는 이론적인 근거로 다세대 가족치료이론인 보웬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보웬의 주요개념 여덟 가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여덟 개의 개념은 각각 독립된 것이 아니라 서로 맞물려 있는 개념이다. 보웬의 이론에서는 이와 같은 여덟 가지 개념이 자아의 분화수준을 결정하는 주요한 개념으로 보았다. 보웬의 가족치료의 주요 목표는 가족성원들로 하여금 보다 높은 수준의 자아분화를 향해 미분화된 가족자아로부터 해방을 이루게 하는 것이고, 인지적 기능과 정서적 기능을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본문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사례를 보웬의 눈으로 분석·진단하여 치유의 길을 제시하였다. 시어머니는 가부장적 가치관이 깊게 깔려있어서 가문의 주체인 아들에 대한 심리적 유대감과 소속감을 증진시키고 정서적 욕구를 아들에게서 충족시키다보니 결혼한 아들의 독립성보다는 아들과의 일체감이 지속되기를 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M부인은 비인격화되고 분화정도가 낮은 모자관계에 개입되어 병리적인 삼각관계를 형성하였다. 미성숙하고 미분화된 모자는 감정적으로 행동하며 아들이 결혼을 하여도 부부로서의 하위체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고부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될 일은 습관적인 삼각관계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삼각관계의 해체는 고부의 문제를 해결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동안 고부 갈등의 근원으로 삼각관계에 감추어져 있던 시어머니와 남편과의 해결해야 할 문제가 드러나게 되고 부부의 문제에 대해 진솔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므로 가족구성원들 전체가 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가족관계가 재정비된다. 본문의 네 번째의 부분에서는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갈등해소를 위한 교회의 역할로 각 가족의 구성원들에 대한 목회상담 적인 접근을 통해서 치료 점을 찾아보았다. 홀시어머니와 외며느리의 가족을 위한 치유의 장으로서의 목회자와 교회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가족 구성원 개개인들의 자아분화를 높이는 작업을 통해 시어머니와 아들 사이에 며느리가 개입된 삼각관계를 해체하여 고부관계를 개선하고 시어머니와 손자녀의 관계, 부부체계를 강화시켜 역기능 가족에서 순기능 가족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With the subject of pastoral counseling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widowed mother-in-law and only daughter-in-law,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closely their troubles. Above all,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in traditional family and modern family, respectively,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could be regarded as a sort of subjective and negative attitude corresponding to an emotional clash or dissatisfaction between them in relation to the family members. Second, eight concepts to be understood to diagnose the cause of their conflict through the Bowen s theory, one of family system theories were introduced. Third, actual cases of the conflict between widow mother-in-law and only daughter-in-law were analyzed and diagnosed on the basis of the Bowen s the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with regard to the conflict between them, the mother-in-law s emotional undifferentiation from her son led to restraining his differentiation or individualiza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m occurred when the mother-in-law s desire to keep up the traditional mother-in-law-oriented family system and the daughter s desire to receive recognition of her own life-style were in conflict; third, as even the children intervened in such emotional system, several triangles were formed, which were entangled each other. For the recovery phase, before everything, the daughter-in-law should kick off the triangle formed between the mother and son, as follows. As the first trial, it is recommended that the daughter-in-law holds a man-to-man conversation with the mother-in-law concerning the generational gap in values and expectation degrees and the patricentric social structure inevitably related to inducing rather the power grab than clear communication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free of the negative emotion between the both. As the second trial, to solve troubles between the mother and son, the growth from immature self to mature self should be promoted through adult-to-adult meeting. As the final trial, it is required for the husband and wife to achieve a high level of differentiation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and in addition to, when close conjugal relations are formed, they can become a sound couple. To do so, moral regard to the opposite and change in value throughout the society are the most priority. Fourth, the roles of church as a place for healing and of pastor as a healer were discussed. The reasons why church shall intervene in the trouble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re as follows; first, as a family system, church plays a role of the important place for family health; next, as it forms an interactive system to which church, society and followers all are related, they grow up and develop interactively through their development process. The roles of pastor suggested as a healer to solve the trouble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included instructor, intermediator, observer, coach and planner. Especially, it was suggested that sufficient understanding of Feminist Theology is necessary for handling such troubles. As a pastor has abundant resources to overcome a crisis of family, which connects directly with spirituality growth of the followers, much training is required. The validity of applying the concept of Bowen s "Differentiation" to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mong the Korean culture should be verified in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