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변은숙-
dc.creator변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3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2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여성들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 받은 것을 인식하고 하나님과 이웃간의 관계적 언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여성 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 전통이 지닌 가부장적인 언어를 비판하고 여성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포괄적인 언어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전통적인 하나님과 상징적인 언어, 성서와 가부장적인 언어, 교회 안에서의 가부장적인 언어에 대하여 고찰과 비판을 하였다. 모든 인간 경험의 한계를 지닌 가부장적인 언어는 여성의 정체성을 대변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외 계층 사람들을 대변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 성서 해석과 종교교육은 모든 교과과정에서 여성의 침묵을 조장해 왔다. 하나님과의 대화, 즉 의사소통을 나눌 때에 여성들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형상(image)은 남성적인 것이다. 여성은 하나님 아버지, 즉 남성의 형상을 닮아가야 하는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언어에서는 기표보다는 기의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실상 역사적으로 그 아버지의 형상 에 따른 가부장주의 이론으로 여성을 억압해 왔다. 지금까지 남성 우월주의 언어, 배타적인 언어에 눌려 있던 여성들이 교회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으므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III장은 여성신학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먼저 여성들이 자신들을 주체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므로, 여성의 형상, 여성의 은유를 사용한 Be-ing으로서, 어머니로서의, God/ess로서, Goddess로서, 친구로서의 하나님 모델을 보여주었다.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 또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지음 받은 온전한 인간이해를 주지시키기 위하여 아버지 하나님이 아닌, 여성의 형상을 닮은 하나님과 만나게 하고, 그들의 언어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주변인들을 돌보고 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관계적 언어를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 성서에 대한 여성신학적 재해석과 교회 안에서의 비판적인 언어분석을 통하여 포괄적인 언어구성을 연구하였다. IV장은 기독교교육의 대안으로, 여성의 다양한 경험과 여성의 모든 측면의 변화, 발달을 인식하여 고정화된 모습이 아니라 계속 변혁해갈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았다. 그리고 지·정·의 세 영역의 통합뿐 아니라 더 나아가 상상력 의 개념을 도입하여 언어의 한계를 벗어나 교육의 행위를 상상적인 언어의 차원으로 넓히려고 시도하였다. 더 나아가 이웃과 관계를 더욱 확장시키고, 주변인들을 돌보는 관계로 언어를 확장시켜 제시하였다. 또한 포괄적인 언어 공동체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교회 예전에서의 포괄적 언어를 제시하였다. 포괄적 언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의 자아 정체감 형성은 물론 주체의식 확립과 더불어 여성이 하나님과 관계를 올바로 맺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첫째, 남성적인 하나님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고 둘째, 여성들이 성서를 읽을 때에 성서 이야기와 신앙교육 내용에 흥미로움을 갖고, 공감할 수 있는 여성의 이미지를 내면화하도록 하였다. 셋째, 교회 안에서 예배를 드릴 때, 포괄적인 언어를 실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괄적인 언어사용을 위하여, 성서 이야기와 자신의 이미지를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상상력이 동원된다. 이러한 상상은 여성을 이야기 속으로 진입시켜서 이야기 속의 인물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하여 자신을 긍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억과 느낌에 대해 솔직한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각기 다른 새로운 관점의 해석을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포괄적 언어는 하나님에 관한 남성의 영역에서 여성의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지평을 하나님 아버지에서 하나님 어머니로, 하나님 어머니에서 하나님 친구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인류와 평등하게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친구와 같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이다. 이러한 포괄적이고 개방된 언어는 모든 사람들과 연합하며, 공동체를 원하는 하나님 앞에서 상호성, 호혜성, 상호의존의 이상을 넓히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언어는 남성 지배자가 아닌, 여성과 더불어 사용하는 포괄적 언어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것은 남성들과 함께 다른 모든 억압받는 공동체들이 회심하도록 초대하고 있다.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inclusive languag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to recognize images of God as women in order to use "the language of relationships" between God and women by criticizing the tradition of christianity and patriarchical language. For this purpose, in Chapter II, I studied and criticized three topics: traditional image of God and symbolic language, Bible and patriarchical language, patriarchical language in the Church. Patriarchical language that can t overcome a limit of all human experiences, has represented neither the identity of women, nor the neglected(or marginal peopl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even religions education, have bolstered up women s silence in all curriculums, so their voices keep silent and they usually listen to other people. Christian women have communicated and shared dialogue with God in the church, but there has been only the image of Father to be seen by women. That begets a paradox that a woman is alike to the image of Man, that is to say, God the Father. Even though the signifie´ is more important than signifiant in the system of the language, in fact, historically women have been oppressed by patriarchical theory according to the image of Father. Women s language can be found in their inner voices which, up to now, been oppressed by the exclusive patriarchical machismo(male chauvinist) language. In the long run, Language has dominated the thought of human being. In Chapter III, I suggested that the alternative of feminist theology that showed metaphors models of God as a Be-ing, a mother, a God/ess, Goddess, and the image of women in order to use the embodied languages of their subjectivity. It must be stressed that women as well as men are also holistic beings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Moreover, women can expand to the language of the relationships with neighborhood, so that the language can see closely and take care of marginal people. I suggested to put women s subjectivity of their life, as a means to see God directly and use their own languages to express this. I examined and analysed the feminist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of patriarchical language by criticizing, and the language construction. In Chapter IV,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ground for the alternative of Christian education, I suggested that the language of imagination education models for the role of creativity be represented by inclusive language of their women s life experience. This thesis critically examines the traditional patriarchical languages, focusing particularly on women s experience toward inclusive languages development. To advocate the diverse experience of women and to explore a few alternative ways, this paper does not suppose the fixed images, but rather the transforming images; it uses images of imagination to transform the unified intellectual, emotion, and justice. Moreover it is an attempt to expand embodied language by drawing upon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clusive language education helps women form their identity to connect with God, and to internalize the image of transcendental God by realizing the limitations of men s image of God. Not through the dogma of Bible, but through women s life experiences and their lives, women s image can take after the image of God by connecting subjectively with God in response to God s call, and to have responsibility in society, to take care of the world. So women can develop their richer and diverse creativities through their imagination and additional metaphors so that in the Christian tradition women may be alienated no longer. Thus, in order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hey first should break down stereotyped ideas to be free for their future. Breaking down stereotypes allows women to fully develop their potentiality and bring more multiple ideas to the church. Secondly, I suggest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women to imagine diverse roles and their context, while revitalizing their creativity through their imagination. Thirdly, the imagination can see the common ground of other contexts and philosophies, and have a sudden inspiration. I have studied the useful activity of educ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o find out women s possibilities. The imagination by a psychological process reconstructing the present experience of imagery, is an ability and a new attempt built on the base of previous experience. Consequently, issues of inclusive language have become expanded a territory of masculine of God to a feminine, and have been shifted key metaphors in a community from exploring God the Father to Goddess the mother, from exploring Goddess the Mother to God the Friend. This is the ability of language that forms the relationality like a friend living equally together with all of creation. Thus inclusive, open language that incorporates into all people, broaden reciprocal relation, interbenefit, and interdependence before God who wants a community. The language that are not dominated by men, forms inclusive language used with women. That makes men with the oppressed be invited to a community of God in order to get conver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4 II. 가부장적인 언어에 대한 고찰과 비판 = 6 A. 가부장적인 기독교 언어 = 6 1. 하나님의 상징적인 언어 = 6 2. 성서와 가부장적인 언어 = 12 3. 교회 안에서의 가부장적인 언어 = 17 B. 가부장적인 언어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 = 22 1. 사회 문화적 가부장 언어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 = 22 2. 기독교의 가부장적인 언어에 대한 여성신학적 비판 = 28 III. 가부장적인 언어에 대한 여성신학적 재해석 = 34 A. 하나님 상징 언어에 대한 여성신학적 재건 = 34 1. Be-ing으로서의 하나님 = 35 2. 어머니로서의 하나님 = 38 3. God/ess로서의 하나님 = 41 4. Goddess로서의 하나님 = 44 5. 친구로서의 하나님 = 47 B. 성서에 대한 여성신학적 재해석 = 50 C. 교회 안에서의 포괄적인 언어구성 = 55 IV. 포괄적인 언어를 위한 기독교교육 = 63 A. 직관과 상상력을 통한 언어의 재창조 = 63 B. 포괄적인 언어 공동체로의 변화 = 73 C. 교회 예전에서의 포괄적인 언어 = 79 1. 예배에서의 언어 = 82 2. 찬송가에서의 언어 = 87 3. 기도문에서의 언어 = 92 V. 결론 = 97 참고문헌 = 100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0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가부장적 언어에 대한 여성신학적 비판과 기독교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