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미영-
dc.creator최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3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84-
dc.description.abstract연주 불안감은 적정 수준일 때 연주에 흥분과 강렬함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면을 갖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연주 기능의 장애와 연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쁨과 성취감의 상실 등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부정적인 측면의 연주 불안감은 극도의 경우에 연주 활동의 단명까지 초래하게 되는데 이처럼 연주 불안감은 음악가의 연주 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음악 대학 연주 전공생들이 느끼는 연주 불안감의 정도 및 연주 불안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그 해소 방법을 조사, 분석한 연구로서 음악 대학 연주 전공생들이 자각하는 연주 불안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더 나아가 그들이 보다 균형 있고 안정된 상태에서 최상의 연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음악 대학 연주 전공생들의 연주 불안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4년제 음악 대학 중 3개교의 3학년 연주 전공생 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6월부터 9월에 걸쳐 본 연구자가 연주 불안감에 관한 문헌 상의 학자들의 이론을 기초로 연주 불안감의 정도와 영향 및 연주 불안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해소 방법, 연주 불안감의 원인 등을 묻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통계 처리는 SAS package를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및 이표본 t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연주 전공생이 연주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전공에 따른 연주 불안감의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 시작 연령과 연주 불안감의 정도 사이에는 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주 불안감의 정도와 일반적인 불안감의 정도 간의 관계, 연주 불안감의 정도와 연주와의 관계는 모두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주 불안감의 원인으로는 연습 부족이 가장 많았고 연주 불안감으로 인해 연주 활동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음악적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와 연주시 테크닉상의 잦은 실수를 한다 는 의견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생리적 변화로 나타나는 현상은 가슴이 두근거린다 는 의견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심리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연주 긴장에 대해 걱정한다 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연주 전공생은 연주 전에 대체로 연주 불안감을 해소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음악적 활동과 음악 외적 방법으로는 연습 때에도 실제 연주에서처럼 음악에 집중하기와 심호흡이 각각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통 이상의 높은 편으로 나타난 연주 불안감은 그것의 부정적인 영향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마땅히 치료되어야 하며, 약물 치료, 알렉산더 테크닉, 점진적 이완, 상상, 체계적 불안 감소, 바이오 피드백, 운동, 명상, 요가, 음식 조절 등과 같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 Performance anxiety at a moderate level has a positive side; it brings excitement and intensity to a performance. However, excessive performance anxiety has a negative effect like that necessary function for performance is prohibited and the joy and sense of accomplishment gained by performing musicians is lost. What is worse, severe negative and destructive aspect may lead to premature termination of promising careers. Therefore, performance anxiety is a very important subject to performing artists in that it can have a decisive influence upon musician s perform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symptoms and their management on performance anxiety of which undergraduate music majors are conscious. Rather, the intent is to provide information which can help a prepared but nervous player perform more comfortably and at the highest possible level of personal musical accomplish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juniors majoring in music performance at school of music in Seoul were selec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was devised by the investigator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related literatures from June to September. The statistical treatment was don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two- sample t test and ANOVA,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students have the experience of performance anxie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Nor was any difference observed among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students in tha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years of study and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However, it was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and level of anxiety felt in exposure to public appearance. And a (-)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quality was observed. Lack of practice was the major reason for performance anxiety. The performing behavioral problems of performance anxiety were mainly an inability to infuse life and color into the music and technical problems that detract from performance. The physiological symptom that student s most suffered from was palpitation and concern about tension was the major cognitive reaction. Most student manage to reduce performance anxiety but they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taking an assistance from any therapist. To reduce performance anxiety, the musical activity that student s most showed was to develop willpower and the ability to fully concentrate on the music during practice, as well as real performance. And the non musical method that student s most used was deep breathing exercise. Therefore, excessive performance anxiety can be effectively reduced by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s, such as drug therapies, Alexander technique, progressive relaxation, imagery, systematic desensitization, biofeedback training, exercise, mediation, yoga, and dietary modif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연주 불안감의 의미 = 7 B. 연주 불안감의 증상 = 10 C. 연주 불안감의 영향 = 13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8 A. 연구 대상 = 18 B. 연구 방법 = 19 C. 설문지 개발 = 19 D. 연구 절차 = 21 E. 결과 분석 = 21 IV. 결과 분석 및 해석 = 23 A. 연구 참여 대상자의 배경 = 23 B. 연주 불안감의 정도와 영향 = 28 C. 연주 불안감으로 나타나는 현상 = 41 D. 연주 불안감의 원인 = 47 E. 연주 불안감의 해소 방법 = 48 V. 연주 불안감의 치료법 = 54 VI. 결론 및 제언 = 60 A. 결론 = 60 B. 제언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69 부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02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대생의 연주 불안감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