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수인-
dc.creator윤수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3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74-
dc.description.abstract과거에서 현대에까지 장식은 인간과 더불어 공존해왔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나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같은 조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주술적인 목적과 더불어 장식한다는 것은 인간이 생긴 이래로 공존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공백 공포를 해소하려는 인간의 장식에 대한 욕구는 역사 속에서 월리엄 모리스의 공예운동, 유기적 곡선에서 표면장식까지 강조되었던 아르누보, 우아한 전통부터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에까지 이르는 아르데코, 198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 성행했던 패턴과 장식미술운동 등의 미술사로 이어지면서 대두 되기도 하고 감추어지기도 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현대사회에서 장식은 그 장식의 정도와 아이디어에 따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갈수록 감성을 중시하고 프라이버시를 존중 받고 싶어 하는 현대인들에게 장식은 기계문명에 만연해진 상품들 속에서 차별화 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또한 넘쳐 나는 획일화 된 레디메이드 속에서 소량생산의 수공예품들은 상품성과 장식성을 겸비한 것들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장식은 그 제작과정과 희귀한 정도에 따라 값어치를 달리하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근대주의의 등장 이후 조형예술은 장르간의 수평적 통합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거 장르를 나누어 각각의 전공에만 충실했던 미술에서 서로의 장르를 도입하여 응용하는 조형예술의 시대가 온 것이다 이는 다만 미술 분야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문학, 음악 등 사회 전반에 거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과거 모더니즘이 주장했던 완벽한 획일성과 객관성에 반하여 나타난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론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이라 불리는 이론은 현대 사회에 와서 퓨전 이라는 명칭으로 각 분야의 요소요소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다윈주의적이고 장식적이며 고급과 저급문화가 섞여, 목적을 탈피하여 절충 할 줄 아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위에서 언급한 다윈주의란 단어가 얘기하듯이 여러 가지 스타일이 공존하고 있는 사회이다. 이러한 경향은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기도 하고 과거의 유행을 재현하기도 하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기도 하는 패션에서 가장 잘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경향을 패션 악세사리 디자인에 도입하여 섬유공예표현기법을 통해 기존의 패션 악세사리 소재로 쓰였던 것들에서 벗어나 새롭게 소재를 가공하고, 이질적인 소재를 매치 시키고, 장식성을 강조한 다품종 소량의 그 고부가가치가 있는 섬유제품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 한다. 이를 위한 작품제작은 섬유공예기법(직조, 염색, 크로쉐, 기타 바느질 및 접착)으로 디자인을 하고 그 제작과정에서 장식성을 최대한 부여하여 인간의 섬세한 장식본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악세사리 디자인 제품을 제작 한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섬유공예표현기법을 극대화 하여 장식성을 최대화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섬유공예기법으로 금속사와 모노필라멘트사를 소재로 한 직조 기법, 금속사를 소재로 한 크로쉐 기법, 실크에 수공예 염색 기법, 폴리 노방과 비즈를 소재로 바느질 부착 및 접착 기법을 사용하여 하이테크 산업사회에서 고갈되어있는 현대인의 감성을 충족시키는 작업을 한다. 제품의 아이템은 가방, 헤어핀, 브로치, 목걸이, 팔찌, 스카프로 다가올 패션 트렌드와 스타일을 근거로 패션 악세사리 디자인을 연구한다. ;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decorative art have been coexistent with the humans. It has been used for incantations and for decorative purposes; this is shown in the walls of the Altamira cave and in the sculpture In Venus of Willendorf. To fill the time gap, human desire for decorative art has been express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William Morris "artmovement", and in the expression of resolute corves and accentuation of surface decoration of "art nouveau", and lastly in the elegant, 1raditional, abstract, and geometrical expression of the "art deco". And the art movement in the beginning of 1980 s continued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pattern" and the "decorative art movement"; the history of art proceeded with its highs and lows, but continued to grow with time. In the modern times, decorative art s added value has been measured by its level and idea of decorative significance. The modern humans, who value their aesthetics and privacy, can differentiate the beautiful arts from the prevalent products of our mechanical civilization; its added value can also be stressed because it is produced by manual labor and in small quantities. It is not like the widespread ready-made modern day products. Thus, decorative art has developed with its unique preduction and rarity, which has added much value to its work. With the entrance of Modernism, formative arts have shown honzontal unification in its genre. In the past, each genre stayed in its own realm of art, however, by introducing and applying other forms of arts, era of formative art has begun; such situation is not only apparent in the realm of arts, but also in the realm of literature, music and in the overall society. And, in contrast to the "past modernism", which stressed uniformity and objectivity, this happening can be seen as in accordance with the "post modernism" views Such "post modernism" views are expressed in the modern times with the word "fusion"; it is being applied in many different aspects of our society. It is pluralistic, decorative, mingled with high and low-class cultures, and is able to cooperate irrespective of obtaining its goals - it is a clear manifestation of characteristics of "post modernism". Thus, in the modern times, which Is expressed as pluralistic, many different styles of arts exist In our society; and such points of view is best expressed in the creation of new styles, reappearance of fashion, and in coexistence of the new and old fashions. Therefore, in correlation with such tendencies, I will try to create the designs for the accessories; the accessory will be made with the "fiber craftsmanship presentation method". I will not be using the widespread materials, which were used in creating accessories, I will try to use new materials for this project, in another words, I hope to match distinctive materials in creating accessories (fiber product design) which shows emphasis in decoration, various styles, high value, but in small quantities. To create such work, the basic method will be the fiber craftsmanship presentation method (weaving, dyeing, hairpins, and other sewing and gluing) of design. And, in production, decorative aspects will be the main focus; I will try to satisfy the human delicacy by attempting to express the total accessory design. In production of the project, basically, the "fiber craftsmanship presentation method" will be widely used. And, with the "fiber craftsmanship method", other methods which will be added are: the "weaving method", which uses the metals and mono filament materials; the "hairpin method" which uses metal materials, the "silk and handicr311 dyeing method"; the "sewing and gluing method" which uses the polyester silk and beads. With such methods, I hope to satisfy the drying human sensitivity in the midst of our high-tech oriented society. Products that will be manufactured will be: bag, hairpin, brooch, necklace, wristlet, and scarf items. They will be designed in the total accessory concept, which is in line with future fashion trends and styles. The ornaments have developed with humans and with the history of the arts, and with this research, I hope to use the "fiber craftsmanship method" in accomplishing and creating high quality, total accessory designs, which are fashionable and has the sense of modern day tren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1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2 2. 섬유공예표현기법 = 3 2.1. 섬유공예표현기법 연구 = 3 2.2. 섬유공예표현기법 적용사례 = 8 3. 토탈패션 디자인의 경향과 스타일 = 12 3.1. 패션 악세사리의 정의와 역사 = 12 3.2. 현대 악세사리 디자인의 소재와 경향 = 25 3.3. 패션 스타일 연구 = 35 4. 작품 제작 및 분석 = 39 4.1. 제작 의도 = 39 4.2. 제작 기법 = 40 4.3. 작품 분석 = 40 5. 결론 = 69 참고문헌 = 70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888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섬유공예 기법에 의한 패션 악세사리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