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기연정-
dc.creator기연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천수 바라춤에 대해 단순히 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천수바라춤의 구성과 춤사위에 나타난 상징을 통하여 천수바라춤에 내재되어 잇는 불교사상을 연구함으로서 한국무용의 창작화 작업의 이론적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불교 문화의 유입과 더불어 시작된 불교의식 무용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전승·발전되어 오면서 현재에는 예술적 향취가 매우 높은 한국 전통 문화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불교의식무용 즉 작법무는 그 발생사적 측면에서 바라본 순수한 종교적 동기로부터 비롯됨을 알 수 있으며 부처님의 법을 널리 전하기 위한 포교의 수단으로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법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불교의 사상적인 원류의 연구가 필요하다. 천수바라춤은 불교의식무용 중 춤사위가 가장 화려한 춤으로서 현재 불교 내에서 스님들에 의해 가장 정확한 전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법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춤의 원형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되는 천수바라무는 작법무의 사상적인 원류를 파악하기 적합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천수바라무의 사상적 고찰을 위해 불교가 우리춤에 끼친 영향, 바라춤의 기원과 종류, 천수바라춤의 기능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후, 음악, 바라, 의상, 춤동작, 즉 총체적 구성요소에 나타나는 종교적 상징성과 그 의미를 통해 천수바라춤에 나타나는 불교사상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천수바라춤에는 무상·무아의 연기론, 춤을 직접 춤으로써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직관론, 춤을 추는 사람의 몸과 마음이 완전한 합일의 경지에 도달해야만 춤이 완성될 수 있다는 일원론, 단순한 동작의 계속적인 반복을 의미하는 윤회론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상들을 천수바라무의 구성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천수바라의음악인 천수 다라니는 불교사상의 깨달음이라는 직관적 성찰을 통해 열반을 얻기를 주문하며 영가를 천도한다는 의미에서 윤회론의 사상을 엿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범패의 내용은 천수바라의 춤사위와 함께 그 상징적 의미를 역동화하고 더욱 생생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의물인 바라 또한 그 형태적인 면에서, 둥근모양은 원융사상과 윤회사상을 나타내며 바라를 칠 때 나는 힘찬 쇳소리는 영가에게 깨달음을 얻어 명부세계에 고혼(孤魂)을 천도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의상으로는 바지, 저고리와 장삼, 대령가사, 홍끈 등과 함께 고깔이 사용되기도 한다. 의상의 화려함은 동작의 근본적 단순함과 적절하게 결합되어 서로 상대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조화의 미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춤사위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표현은 교화(敎化), 원만(圓滿), 자비(慈悲), 귀의(歸依)라는 종교적 의미를 각각 상징하여 중생들에게 높고 좋은 생각을 통해 잡념을 버리고 자비로움을 지닐 수 있는 대아(大我)적 생각을 지니게 한다. 정(丁)자의 발디딤을 딛고 회전하는 춤사위는 불교의 원융사상을 나타내며 전체적 춤사위는 무상·무아 등의 불교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천수바라춤의 춤사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중 하나는 절제에 의한 동작의 단순성 이며 이러한 정신은 궁극적으로 불교적인 자기 발견의 경지인, 선 의 정신에 근원을 둔 것이다. 둘째로 바로 선 상태에서 씩씩하고 꿋꿋하면서도 유연한 아름다운을 지닌 양면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바라의 소리에서도 느낄 수 있는 쇠속의 부드러움 이라 할 수 있으며 셋째로는 기본 동작내에서의 자유로운 변화를 인정하는 법속의 자유로움 을 느낄 수 있다. 이렇듯 천수 바라무는 부처님의 공덕을 몸의 움직임으로 작(作)하는 이른바 신업공양의 경지를 표현한 것으로 불법의 절대적인 진리를 잘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불교의식무용이 신체의 움직임만으로 남의 눈길을 끌고자 하는 춤이 아니라, 무용수와 관객 모두가 불교적 진리의 세계를 승화된 예술의 차원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끄는 훌륭한 전통예술 형식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 The Buddhistic ceremonial dances which started with introduction of Buddhism culture have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over a long time, and now, the artistic religious dances are established as part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mong them, Jakbeopmu started with a purely religious motive to preach Buddha s laws wide. Accordingly, in order to precisely understand Jakbeopmu,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origin of the Buddhistic thoughts. Cheonsubara Dance features the most brilliant dance movements among the Buddhistic ceremonial dances. It is a kind of Jakbeopmu inherited by monks most precisely. Thus, Cheonsubara Dance in depth just beyond a simple emphasis on its aesthetic aspect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a creative Korean dance.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ideological aspects of Cheonsubara Dance. To this end, origi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as well as its influence on our traditional dances were reviewed to suggest a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our traditional dances. Th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eonsubara Dance was examined and thereupon, the Buddhistic thoughts inherent in its components such as music, bara, costume, dance movements and others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eonsu Darani of music of Cheonsubara serves to conjure or preach nirvana through an instinctive meditation or awakening of the Buddhistic thoughts. In short, the music features the thought of transmigration of souls. Such a Beompae serves to make the symbolic implications of Buddhistic thoughts more dynamic and vivid together with the movements of Chensubara Dance. Second, the ceremonial equipment bara suggests the thought of harmony and transmigration of souls in terms of its round form, and the strong metal sound generated from it implies that Buddhists souls would be awakened to be guided to the other world. Third, the artistic nature of Jakbeopmu may be witnessed in its costume consisting usually of trousers, Jeogori, Jangsam, Daeryeong Gasa, red strap and Goggal. The luxurious costume is well combined with the simple dance movements to feature a well harmonized natural beauty. Fourth, the symbolic expressions shown in the dance movements metaphors enlightenment, harmony, mercy and conversion. In other word, they serve to encourage the people to depart from the miscellaneous thoughts to have an agape leading to mercy. The dance movement characterized by 丁 -shaped turning symbolizes the harmony of Buddhism, while the entire dance movements connotes such Buddhism thoughts as transiency or self-efface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eonsubara Dance movements may be a simple movement well controlled . Such a characteristic may originate from such Buddhistic thoughts as self-discovery or Zen spirit. Nex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valiant and righteous but flexible beauty of the dance. Such a characteristic may well be described as mundane gentleness . Third, we can feel a mundane freedom allowing for free changes in the basic dance movements. As discussed above, Cheonsubara Dance is designed to express Buddha s virtues as bodily movements or the sense of devotion to Buddha, showing the absolute state of Buddhistic laws. It is not a dance which attracts attention only with bodily movement but a dance which should be understood instinctively from an artistic viewpoint of sublime Buddhistic truth. In short, the Buddhistic ceremonial dances are parts of our excellent traditional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3 C.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4 A. 불교가 무용에 끼친 영향 = 4 B. 바라춤의 기원과 종류 = 10 C. 천수바라춤의 기능 = 20 III. 천수바라춤에 나타난 불교사상 = 27 A. 연기론 = 27 B. 직관론 = 28 C. 일원론 = 30 D. 윤회론 = 31 IV. 천수 바라춤의 구성에 따른 불교사상 = 35 A. 음악적 측면 = 35 B. 도구적 측면 = 42 C. 무용적 측면 = 48 V.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8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733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불교사상에 따른 천수바라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