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설자영-
dc.creator설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10-
dc.description.abstract처용무(處容舞)는 신라 말 제49대 헌강왕 때에 발생되어 오늘날까지 추어지고 있는 역사가 가장 오래된 궁중가면무(宮中假面舞)로서, 현재 무형문화재 39호(1971년)로 지정되었다. 천 여 년 동안 전승되어 온 향악정재(鄕樂呈才)인 처용무는 다양한 사상과 내용 그리고 기능을 시대에 따라 수용, 변용 시켜 가면서 어느 시대에서도 그 중요성을 잃지 않고 전승되어 온 대표적인 궁중정재라 할 수 있다. 정재란, 왕의 여흥을 위한 오락물이나 감상물로서의 일차적 역할을 넘어서 그 당시의 사상이 반영된 시대적 산물이다. 또한 정재는 차원 높은 한국 고유의 사상이나 철학과 연관되어 음양오행사상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적 의미가 함축된 예술로 발전되었다. 이것은 조선조의 통치이념과 세계관을 반영하는 춤의 형대로, 궁중정재의 하나인 처용무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조에 이르러 무인이 다섯명으로 확대되어 그 체계를 갖춘 오방처용무를 중심으로 처용무의 춤사위 및 무복에 나타난 음양오행사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시대별로 다양한 사상의 영향 아래 해석되어온 처용무의 기원과 시대별 흐름을 살펴본 뒤, 궁중정재의 사상적 배경을 이루는 중심 축인 음양오행사상의 개념과 원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인 악학궤범상에 있는 오방처용무의 춤사위 및 구성, 무복에 음양오행사상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분석해보았다. 이상의 내용들을 여러 참고 문헌과 비디오 자료 및 실기 체득을 통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처용무의 춤사위에 나타난 남성적 특질과 제의적 특질은 그 자체로도 매우 보기 드문 조화로서 강렬한 개성을 지닌 것이며,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른 절제된 춤사위는 장중하고 느린 중후한 멋과 함께 정·중·동의 경지를 드러낸다. 둘째, 오방처용무의 구성을 통해 드러나는 음양오행사상을 살펴본 결과, 처용무의 구성은 의식무에 적합한 음양오행론적 의미와 목적성을 지닌다. 처용무의 구성을 음양이론으로 살펴볼 때, 공간적 구성에서 처용5인이 동서남북과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처용과 역신의 대결을 상극(相剋)으로 표현한 뒤 이를 다시 상생(相生)의 대형으로 풀어내는 논리적인 구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며, 벽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춤의 내용을 분명하게 춤의 형식 속에 구현해 놓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섯 명의 처용을 상징하는 무용수들은 각기 동서남북과 중앙을 나타내는 청(靑-東)·홍(紅-南)·황(黃-中央)·백(白-西)·흑(黑-北)색의 의상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의상의 색에서 다섯 가지 방위 혹은 원소의 개념인 오행의 상징성을 볼 수 있다. 처용무는 황색처용을 중심으로 한 오방과 오행의 상생원리에 따라 춤사위가 장중하고 느린 중후한 멋과 정·중·동의경지를 드러내고,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만물이 조화와 화합을 이루는 음양오행의 사상적 원리를 내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조선초기에 만들어진 오방처용무는 조선조의 건국이념인 유교적인 영향이 처용무에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처용무는 총체적인 구성원리에 음양오행사상을 도입함으로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고 조화를 이루어 국가의 번영을 이루려는 의지를 궁중무용을 통해 예술로 승화시켰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This study is to analyze Cheoyongmu, the oldest Korean royal court mask dance that has been transmitted as one of the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for over one thousand years. It is the representative royal court dance which did not divested its importance at any period. The main purpose of the royal court dances is to provide entertainments to the king, however, the dance gradually began to reflect some of social ideas and trends of those days. In Chosun Dynasty, we can find Korean people s ideas, governing philosophies, and world views through the d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hases of Yin-Yang which is disclosed in the movements of dances and costumes of Cheoyongmu. Researches were also added onto the Yin-yang theories that rolled 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dance. Various references of literature, video data, and traditional movements in today s dances show the results as follow; First of all, the movements of dances show a higher spiritual images through masculine dynamics and strong characters in the dance. Second, the structure of the dance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Yin-yang theory which has five symbols commanding a win-win strategy in a space. Third, the five symbols stand for the five meanings; blue means east, red means south, yellow means center, white means west, and black means north. These five symbols represent the principles of Yin-Yang itself. Through the evidences of this study, O-bang Cheoyongmu, designed in the Chosun Dynasty was reflected by the ideas of its dynasty. Cheoyongmu implies Yin-Yang theory as a structural principle to keep a harmonious balance with nature and pursues prosperities of the nation through royal court da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 제한점 = 5 II. 처용무의 시대적 변천 = 6 A. 처용무의 기원 = 6 B. 처용무의 시대적 흐름 = 8 C. 처용무의 구성형식의 변천 = 18 III. 음약오행사상의 개념 = 20 A. 태극의 원리 = 20 B. 음양의 원리 = 21 C. 오행의 원리 = 24 IV. 악학궤범상의 오방처용무 분석 = 28 A. 무보에 따른 춤사위 분석 = 28 B. 춤사위의 음양오행적 분석 = 38 C. 공간구성에 따른 음양오행적 분석 = 50 D. 처용무복의 오행적 분석 = 55 V.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833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처용무에 나타난 음양오행사상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