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경미-
dc.creator민경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81-
dc.description.abstract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이 자신의 비유창성에 대해 보이는 인식은 말더듬의 시작과 발달 그리고 치료에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왔다. 그러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는 사실과는 별개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비유창성 인식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 이유는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은 비유창성에 대해 거의 인식하고 있지 못하다는 주장이 폭넓게 수용되고 있었고, 부모 보고나 아동 관찰 같이 간접적으로 비유창성 인식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으며, 직접적으로 비유창성에 대해 질문하는 실험은 아동으로 하여금 말더듬을 더욱 인식하게 하여 말더듬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점차, 학령전기 초기 말더듬 아동들도 비유창성에 대해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학령전기 아동에게 일반적으로 추천되었던 간접치료 이외에 직접치료의 실시를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비유창성 인식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학자들간의 합의된 정의는 없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식의 한 요소로 받아들여지는 구별과 자기동일시 능력, 그리고 비유창한 말에 보이는 태도와 같은 변인을 통하여 말더듬 아동과 정상 아동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별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3;0-5;11세의 말더듬 아동 19명과 정상 아동 19명이었다. 이들의 비유창성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유창한 인형과 비유창한 인형을 노트북 모니터를 통하여 제시하고 이들이 말을 똑같이 말하는지 혹은 다르게 말하는지(비유창성 구별 과제), 아동 본인과 똑같이 말하는 인형은 무엇인지(유창성 동일시 과제), 비유창한 인형이 말을 잘했다고 생각하는지 못했다고 생각하는지(비유창성에 대한 태도 평가 과제) 반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반복 문장과 막힘·연장으로 이루어진 문장 중 어느 것을 더 비유창한 것으로 인식하는지 조사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말더듬 아동은 정상 아동과 유사하게 유창한 문장과 비유창한 문장을 구별하고, 비유창한 문장의 말을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유창한 문장에 자신의 말을 동일시하는 능력은 정상 아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유창성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말더듬 아동과 정상 아동은 모두 반복 문장을 조금 더 비유창한 것으로 인식했으나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연구 절차가 아동의 비유창성 구별, 유창성 자기동일시, 비유창성에 대한 태도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유창성 자기 동일시는 두 집단 아동의 비유창성 인식 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령전기 아동의 인식을 측정하는 검사도구 개발 뿐 아니라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렇게 비유창성에 대한 인식을 보이고 있는 아동에게는 직접치료의 실시를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disfluency between normal and stuttering children. Ninetee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nineteen age-(3, 4, 5) and sex-matched normally fluent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was asked to view the video clip of laptop computer. When the video clip was played, the two puppets appeared the laptop monitor and spoke six pairs of sentence. Four pairs of sentence was presented by the puppets as a one fluent and one disfluent version, one pair of sentence was presented by puppets as fluent version, the other pair of sentence was presented by puppets as two disfluent version. After each pair, the video clip paused and the child was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1) Do the puppets talk in the same way [discrimination task]? (2) Which puppet talks like you[self-identification task]? Following the four pairs of sentences, a new disfluent sentence was presented, and the child was asked to respond to the following question: (3) Is that talking good or not good[evaluation task]? For each sentence, the child received a score of 1 for correct response and a score of 0 for incorrect respons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stuttering children in discrimination response. (2) The self-identification by children who stut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stuttering children in evaluation response. The evaluation response by older age(4-, 5-yea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3-year olds children. Preschool stutterer and normally fluent child differed in their self-identification. Self-identification was useful variable to measure awareness of disfluency. This result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objective measures. And with the case of stuttering children who are aware of their own disfluency, direct therapy could be conside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질문 = 4 C.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7 A. 비유창성 인식의 출현 및 발달 = 7 B. 비유창성 인식과 말더듬 치료 = 9 C. 비유창성 인식의 평가 = 14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29 A. 연구 대상 = 29 B. 실험장소 및 도구 = 30 C. 연구 절차 = 33 IV. 연구결과 = 39 A. 말더듬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 구별 능력 = 39 B. 말더듬 아동과 정상 아동의 유창성 동일시 능력 = 41 C. 말더듬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에 대한 태도 = 43 V. 결론 및 논의 = 45 A. 결론 및 논의 = 45 B. 연구의 제한점 = 50 C. 제언 = 50 참고문헌 = 52 부록 = 62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전기 말더듬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 인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