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소은-
dc.creator박소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80-
dc.description.abstract학령기 아동의 언어장애 특성을 인지적-언어적 처리과정(cognitive-linguistic processes)과 관련하여 정의할 때, 자기발화수정(self-repairs)은 자기감시의 중요한 언어 지표가 된다. 자기발화수정은 화자가 의사소통의 의도와 실제적 발화 산출에서 야기되는 언어적 불일치를 인식하고 감시하여 문맥에 적절하게 발화를 변화시키거나 수정하는 행동이다. 이야기 산출에서 아동은 많은 의사소통 중단을 경험하게 되고, 자기감시를 통해 스스로 발화를 수정한다. 아동은 이야기를 조직할 때 언어의 형태적 측면보다는 텍스트의 의미적 관계에 기초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데, 이러한 의미지향적 전략은 자기발화수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아동은 이야기 산출에서 대부분 언어의 의미적 요소를 수정하는데, 이것은 이야기 구성에서 전체 텍스트를 일관된 의미 관계로 만들기 위한 언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텍스트의 일관된 의미 형성을 위해 개개의 메세지들을 하나의 의미덩이로 결속시키는데 필요한 언어 장치를 결속표지라고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들의 언어 전략과 언어처리과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야기의 텍스트 의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결속표지에 대한 자기발화수정행동을 결속표지 수정시도률(repair-attempt rate)과 수정성공률(repair-success rate)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 아동 15명과 학습장애 아동 15명이었다. 연구자는 이들에게 단편 만화영화 다섯 편을 일정한 순서대로 보여준 후 이들이 산출한 이야기를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연구자는 전사한 자료에서 결속표지 수정을 시도한 경우와 수정에 성공한 경우를 각각 판별하여 수정시도률과 수정성공률을 계산한 후 t 검정, 반복측정, 사후검정을 통해 집단간 수정시도률과 수정성공률의 차이, 집단 내 결속표지 유형(지시·대용, 생략, 어휘적 결속, 접속)에 따른 수정시도률과 수정성공률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결속표지 수정시도률의 경우, 총 수정시도률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집단간 결속표지 유형별 수정시도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지 않았지만, 집단간 결속표지 유형별 수정시도률이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형별 수정시도률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접속표지 수정시도률에서만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높았으며, 나머지 유형의 수정시도률에서는 일반 아동이 더 높은 수정시도률을 보였다. 결속표지 유형에 따른 수정시도률의 집단내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 아동의 결속표지 유형에 따른 수정시도률은 지시·대용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어휘적 결속, 접속, 생략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장애 아동의 유형별 수정시도률은 지시·대용, 접속, 어휘적 결속, 생략 순이었다. 일반 아동은 어휘적 결속과 접속간의 수정시도률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습장애 아동은 어휘적 결속과 접속간 뿐만 아니라 지시·대용과 접속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나머지 유형들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결속표지 수정성공률의 경우, 총 수정성공률에서 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집단간 결속표지 유형별 수정성공률을 비교했을 때, 모든 유형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속표지 유형에 따른 수정성공률의 집단내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 아동의 경우, 모든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장애 아동의 경우, 어휘적 결속과 접속, 지시·대용과 접속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 아동과 학습장애 아동은 결속표지 유형에 따른 수정시도률과 수정성공률에서 각각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이들이 이야기 산출에서 결속표지를 감시하고 산출하는데 유사한 언어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속표지 수정성공률에서 일반 아동과 학습장애 아동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학습장애 아동의 미숙한 언어 사용 능력이 언어처리과정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hesion self-repairs" of children of school age. "Cohesion self-repairs" were examined based on two aspects: (1) "repair-attempt rate" and (2) "repair-success rate." 30 elementary schoolers who were in the third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15 of them were normal developing and 15 of them had learning disabilities in linguistic skills in particular. The investigator showed them 5 short cartoon films in fixed order. After presented with films, each subject was asked to tell the stories of these films. All narratives they produced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fter transcribing the data, the investigator discriminated between "repair-attempt" and "repair-success" and then, calculated the repair-attempt rate and repair-success rate. T-test, repeated measure, and post-hoc test were administer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pair-attempt rate" and "repair-success rate" depending on the groups and the categories of cohesion(referential cohesion, ellipsis, lexical cohesion and conjunc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total rate of cohesion repair-attempt. Therefore T-test wasn t used to test group differences on repair-attempt rate depending on the categories of cohesion, but compared with the averages of each cohesion repair-attempt to four catogories of cohesion, learning- disabled children showed higher rate of conjunction repair-attempt than normal children and among other categories, normal children showed higher repair-attempt rate than learning-disabled children. Repair-attempt rate of normal children was the highest in referential cohesion. The order of other repair-attempt rate, in descending order, was lexical cohesion, conjunction, and ellipsis. Repair-attempt rate of referential cohesion was also the highest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The order of other repair attempt, in descending order, was conjunction, lexical cohesion and ellipsis. Normal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pair-attempt rate of lexical cohesion and conjunction. Learning disabled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between the repair- attempt rate of lexical cohesion and conjunction but also between the repair-attempt rate of referential cohesion and conjunction. But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ther types. (2) The total rate of repair-succes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children.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on repair-success rate of each category. Normal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pair-success rate of all cohesion categories, but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xical cohesion and conjunction and between referential cohesion and conjunction. The fact that normal children and learning-disabled children showed the similar performance in the repair-attempt rate and the repair-success rate tells us that children in both group use similar language strategies in monitoring and producing cohesion in their stories. But, the reason why the repair-success rate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was different from the normal children is that the immature language ability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influenced on their language process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5 II. 이론적 배경 = 6 A. 발화수정행동의 정의 = 6 B. 자기발화수정행동의 정의 및 특성 = 8 C. 결속표지의 정의와 유형 = 13 D. 자기발화수정의 일반적 연구와 결속표지의 자기발화수정 연구 = 18 III.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실험과제 = 27 C. 연구절차 = 29 D. 신뢰도 = 35 IV. 연구결과 = 36 A. 일반 아동과 학습장애 아동의 결속표지 자기수정 시도률 비교 = 36 B. 일반 아동과 학습장애 아동의 결속표지 자기수정 성공률 비교 = 40 V. 결론 및 논의 = 44 A. 결론 및 논의 = 44 B. 연구의 제한점 = 54 C. 제언 = 55 참고문헌 = 56 부록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05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dc.title일반 아동과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발화수정능력 비교 연구 : 결속표지에 대한 자기발화수정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