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미연-
dc.creator전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7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706-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자신의 개성과 미적관념을 표출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이러한 삶은 예술에 잘 반영되어 있다. 인류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끊임없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한다는 것이고, 이것은 인류의 역사가 창조적 삶으로 유지되며 발달되어 왔다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보다 더 나은 기능을 위하여 창조행위를 하기도 하지만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적 욕구 때문에 새로운 조형성을 추구한다. 이렇듯 생활 속에서 꽃핀 공예품들은 외형적 아름다움과 더불어 세월의 노련함과 세련미, 제작자의 희로애락(喜怒哀樂)과 염원(念願) 등의 내면세계가 담겨져 있다. 바느질도구는 동서를 막론하고 예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전유물로서 인식되어왔다. 특히 엄격한 유교사회 였던 조선시대에서 여성들은 순종과 인내를 미덕으로 살아갔으며,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나 외부와의 접촉이 제한된 상황에서 현실을 순응하며 바느질도구를 제작하거나 수를 놓으며 무료함을 달랬다. 바느질 도구는 조선시대 여성들에게 항상 함께하는 소중한 애장품이었으며, 여성으로서 살아가면서 느꼈던 삶의 애환이 깃들어있다. 조선시대 여성들은 골무나 바늘꽂이등을 정성스럽게 만들어 선물 하거나 노리개로 활용하기도하여 자신의 솜씨를 평가 받기도 하면서 바느질도구의 아름다운 색감이나 형태를 추구하였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바느질도구는 조선시대에 와서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에 살고있는 본 연구자에게 재해석을 통한 무한한 조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도자 조형화 하고자 하는 동기를 불러 일으키게 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바느질 도구를 연구대상으로 바느질도구의 주체인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을 이해하고 바느질도구가 가진 조형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연구자의 주관적인 상상력과 감성세계를 표현한 도자조형 작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론에서는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에 대해 알아보고, 억압된 현실에서 자신들만의 세계를 바느질도구와 함께 예술적 재능으로 표현했던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바느질 도구의 역사와 공예의 한 분야로 가장 다양한 발달을 했던 조선시대 바느질 도구의 종류와 쓰임새 그리고 조형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서 제작되었던 바느질 도구 중 문양, 형태변화를 통해 다양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던 골무, 실패, 바늘집, 바늘꽂이, 실첩과 바느질 도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 곡선적인 요소를 가진 다른 바느질 도구와 달리 뾰족하고 강한 이미지의 바늘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현대 작가들의 예술작품에서 도자예술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표현되는 바느질 도구의 이미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10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의 조형화 과정에서는 조선시대 여성의 삶을 배경으로 조선시대 바느질 도구가 가진 고유한 조형적 특징들을 외적인 이미지의 반복, 강조, 생략, 변형을 통한 조형과정과 주관적 상상력을 부여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공간감을 조형작품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전통 바느질 도구들이 가진 재료의 다양성과 여러 이미지들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제작기법이 사용되었다. 자연스러운 곡선의 표현을 위해 코일링 기법을 사용하였고 강한 공간감을 주기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가압성형을 사용하였다. 섬세한 표현과 반복성을 표현하기 위해 이장주입 성형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에 모델링, 핀칭기법, 판성형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을 시도하였다. 균열이 적고 형태의 변형이 적은 석기질 점토, 갈색 석기질 점토와 이장주입 성형을 위해 자기질 점토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발색을 위해 백토와 옹기토가 사용되었다. 유약은 색상과 놓아진 수가 아름다워 방안을 장식했던 조선시대 바느질 도구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밝고, 부드러운 색상을 내려 하였고, 주로 무광택 유약을 분무기법과 담금법으로 시유하였다. 석기질 점토의 경우 흡수율을 줄이기 위해 유약을 먼저 붓으로 한 번 발라준 후 건조된 뒤 분무 시유 하였다. 소성은 1.5㎥도염식 가스가마, 0.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870℃을 마침온도로 8시간 1차 소성한 후 유약을 시유하여 1.5㎥도염식 가스가마, 0.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 온도 1250℃로 9시간 2차 산화염 소성하였고 <작품5, 6, 9, 10 >은 환원염 소성하였다. <작품7>은 옹기토가 저온에서 주황색의 태토 색깔을 나타낸다는 점을 감안하여 1050℃를 마침 온도로 산화염 소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바느질도구는 여성의 삶의 애환을 함께하며 다양한 내면세계를 가진 조형의 대상으로서 사물에 대한 열린 시각과 사고로 새로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조 여성의 삶을 함축한 바느질 도구의 내면세계에 대한 이해와 조형적 특징 그리고 연구자의 감성과 주관적 상상력이 결합되어 점토를 재료로 한 입체감 있는 물체로 표현함으로써, 표현의 다양성과 재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시대 바느질도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조형대상으로의 접근을 통해 도자조형작품으로 표현하면서,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문화의 연속성은 그 주체인 인간의 삶을 이해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새로운 조형영역으로서 앞으로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 Human has been persevering in his effort to express his personality and aesthetic idea, so his life has been well reflected in art. One of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human is constantly making and using tools, which means that human s life has been developed and preserved by creative activities. Human pursues creating new formative arts for his good life, but also for his desire to beauty in art. In this way, ancient craftworks that were made in an artist s real life had external beauty, maturity, refinement, the artist s emotion(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e one s inner world and the one s heart s desire. Accordingly ancient craftworks motivate me to shape infinite formative arts possibility.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needlework instrument in the Chosun era, and to express researcher s imagination and emotion into the art works. In the main subject, I have studied the usage, the king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wing instruments in the Chosun era, when had been developed variously in shape and decoration from those fundamental ones, and have investigated such background that sewing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with human beings. Also I have studied the image of the sewing instruments that were expressed in various divisions, and then I have made 10 art works on the basis of that image. In the process of modeling of art work, I have placed emphasis on expressing visual beautifulness and concept of space of the sewing instruments in the Chosun era into my formative art work by using repetition, emphasis, omission and deformation method. A few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expressing various materials and images of the sewing instruments. Coiling techniques and press molding techniques using gypsum mold were used for expressing natural curve and active concept of space. Casting techniques was used for express delicacy and repetition, and modeling, pinching, plate forming techniques were used for various experiment. As the base clay, the stoneware and brown stoneware were used to prevent deformation and cracks during the forming process. Porcelain was used for casting techniques, white stoneware were used for enforcing the colors. Onggi-clay was used for expressing Korean beauty. Different matt glazes were used and the glazes were sprayed and brushed on the clay surfac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For the stoneware clay, to reduce absorption, the glazes were brushed in the first and sprayed in the last. The first firing was for 9 hours in a 1.5㎥/0.5㎥ gas kiln. It reached a temperature of 870℃. The second firing, oxidized at 1250℃, was fired for 8 hours.<Art Work 5, 6, 7, 11> were fired in a reducing flame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Onggi-clay have it s natural colors in low firing temperature, <Art Work 9> were fired in an oxidization environment, reaching the highest temperature of 1050℃. Through this study, I knew the fact that the sewing instruments of the Chosun era could be expressed into new formative arts. Also I have learned that different shapes require different techniques in making. This has strengthened the understanding of material and form. I have pursued the creative and original world of modeling as well as shaping of subject model, which is observed and interpreted more carefully about the property of the sewing instru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I.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II. 조선시대 여성의 삶과 예술 = 3 A. 조선사회와 여성의 예술표현 = 4 B. 여성과 바느질 = 7 III. 조선시대 바느질 도구에 대한 일반적 고찰 = 9 A. 바느질 도구에 대한 일반적 고찰 = 9 B. 바느질도구의 조형적 특성 = 14 C. 바느질 도구의 이미지를 표현한 현대 작품연구 = 24 IV. 작품제작 및 해석 = 33 A. 조형 과정 = 33 B. 작품제작 과정 = 46 C. 작품해석 = 51 V. 결론 = 71 참고문헌 = 73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88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바느질 도구를 통해 여성의 삶을 표현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