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친환경적 주거공간 디자인 연구 : 교외형 노년주거환경을 중심으로

Title
친환경적 주거공간 디자인 연구 : 교외형 노년주거환경을 중심으로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주거환경의 물리적 요소인 공간조직은 거주자의 생활행위를 담는 반면 이러한 생활행위는 주거환경 내의 다양한 물리적 공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주거는 하나의 사회-공간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은 서로 관련되어 상호 작용하고 있으며 인간 역시 이들 구성원의 한 부분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 소산 소사형의 인구 패턴 형성 등이 고령화 사회로의 진전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 인구의 증가는 경제, 의료, 사회 심리학적 측면 등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되어 그 해결 방안의 모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전반적인 노인복지 정책이 거의 시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며, 특히 노인 복지 정책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노인을 위한 주거의 공급차원에서 볼 때 그 수준이 매우 미약한 형편이다. 기존의 주거 공간의 개발은 도심의 고층 밀집화로 인한 기반시설의 미비, 남향 위주의 일자형으로 대표되는 단순한 배치구조, 기존 자연환경의 보호 및 주변의 경관적 배려의 결여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인위적인 개발은 생태계 파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 주거지는 자연 환경과는 유리된 고립된 부분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고밀도 개발로 인하여 접지성이 상실되었으며, 외부 공간과의 교감이 단절되었고, 공간과 외부 공간에서의 오픈 스페이스와 녹지가 체계적으로 연결되지 못하여 생태적 질서가 단절되어 있다. 또한 사회 전반에서 환경문제가 총체적으로 제기되고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가치관으로의 전환에 대한 욕구가 확산되면서 이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인간 삶의 바탕이 되는 주거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도 이러한 목표는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최근 급증하는 노년층의 수요와 이들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더불어 친환경적이고 접근성이 용이한 주거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삶을 지원하기 위해서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의 디자인 연구는 환경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오늘날의 시점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 분야에서 친환경적 사고에 기반을 둔 새로운 디자인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현 시대의 절실히 요구되는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친환경적 주거환경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러한 개념을 근거로 하는 디자인 원리와 디자인에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I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제시한다. 제 II장에서는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알아본다. 친환경의 개념과 친환경적 주거환경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개념 적용안을 서술한다. 그리고 노년층을 위한 주거공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제 III장에서는 앞장에서 고찰한 노인주거공간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노인주거공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한다. 제 IV장에서는 디자인 연구를 하기 위해 앞에서 고찰한 노인주거공간의 기능과 공간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하면서도 친환경적인 개념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안을 제시한다. 실제 대상환경을 설정하고 대상환경에 대한 환경분석 과정을 거쳐 앞의Ⅱ장에서 제시한 친환경적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패턴언어를 추출하여 각 공간에 대해 조직적인 계획을 세우고 공간배치 및 동선계획은 앞 단계에서 제시된 데이터에 각 공간의 기능적 상관성을 추가하여 결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공간배치 및 동선계획을 기본으로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고 기능성, 심미성, 환경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최종안을 종합하고 디자인 평가를 통해 검토한다. 제 V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인간이 거주하는 주거공간은 생존적 차원에서의 욕구 해결단계에서 벗어나 인간으로서의 삶의 질을 향유하고자 하는 존재적 차원으로의 요구 변화를 만족시키기 위한 장소로 독립된 실체가 아닌 주변환경과 유기적으로 연계를 가지면서 이용자의 행태까지도 고려하는 친환경적인 방법론을 통해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의 계획은 주변환경과 일체화되고 거주자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형성될 때에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거주자의 의식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노년층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에서는 노년층들이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거주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와의 교류를 통한 생활을 통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hysical spa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vide the stage for a living. And a living unfolds based on the varigated spatial elements. Thus, living is a socio-spatial system, where many element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and human is one of them. Recently, the living expectancy increases greatly with the aid of modern medical improvements. The explosive increase of old people has caused a variety of problems in economical, med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which is expected to deepen in the future. While the search for a solution is imminent, the current society failed to provide welfare for retired people, especially lacking adequate supply of specialized residential area. Existing residential area has mimicked the skyscrapers with monotinic arrangements without a proper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The destructive developments have isolated the residential area from the bless of natural environment. Also, densely-packed residential buildings force residents away from the ground, severing the connection to outside world. A new trend has emerged, based on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paradigm. Residential area, as a basis of human life, needs to comply with this new trend. Especially, the retired people needs approachable and natural residential area for their living. The study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has more appeal with the advent of environmentally-alert society. This study seeks to provide the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a new design, based on the environmental-friendly concept and much-needed sustainable developmental paradigm. This study has five chapters. Chapter 1 outline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introduces the concepts of environmental-friendliness and environmental-friendly residential area with an aim at the possible design scheme. This chapter also includes the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for retired people. Chapter 3 extablishes a direction to improve residential area for retired people through case studies. Chapter 4 provides a realizable spatial design scheme to meet both the needs of retired people and environmental-friendliness. Chapter 5 includes the summary, expected results and contributions of this study. We coul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this study. First, the residential area should be more than meeting the basic requirements of living. Environmental-friendliness, the life style of residents, the connectivity to neighborhoods should all be considered. Second, the environmental-friendliness should be fortified with a sense of community by all members, enabling a constant maintenance of environment. Third, the plan of retirement complex should be self-supportive, enough to be a unified entity of a local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