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reat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2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과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기초가 되는 지식을 알아보고 유아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은 어떠한가? 2.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유치원 교사 경력 1년 이상의 교사 2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교사가 지닌 지식의 내용 및 지식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개념도(concept map)를 사용하여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개념도에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상위개념을 살펴본 결과 상위개념은 총 24개였고, 과학교육의 일반적인 방법(84%)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 지구과학(60%), 기계와 도구(44%), 자연(40%)과 물리(40%) 순이었다. 상위개념 중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상위 12개의 상위개념의 특성을 위계, 특성점수, 그리고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의 수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위개념의 위계의 경우 생물(6.00), 지구과학(5.47), 자연(4.60), 동물(4.00) 순이었고 특성점수의 경우에는 생물(0.29), 지구과학(0.23), 자연(0.21) 순이었으며 종속개념의 총 수는 생물(43.71), 지구과학(25.21), 과학하는 일반적인 방법(23.48), 인간(21.71)의 순이었다.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 중 지구과학은 빈도수와 상위개념의 위계, 특성점수, 종속개념의 수 모두 높게 나타났다. 기계와 도구, 물리, 물질의 경우에는 빈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상위개념의 위계, 종속개념의 수, 특성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상위개념 중 생물, 인간의 경우 빈도는 9번째와 11번째로 낮지만 위계, 종속개념의 수, 특성점수가 모두 높은 순위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 2486개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2328개의 용어가 종속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종속개념의 분석은 상위개념 중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상위 12개 중 유아과학교육의 내용에 속하는 상위개념 10개를 중심으로 종속개념 1207개를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과학의 교과영역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영역 중 자연현상에 대하여 알아보기가 가장 많은 상위개념을 다루었고 종속개념의 경우에는 생물에 관심가지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을 종속개념에서 포함시키고 있었으며 그 외의 다른 개념까지 확장하고 있었다. 과학의 교과영역에 따른 개념도의 분석에서 상위개념의 빈도수는 지구과학, 생물, 물리, 화학 순이었으며 상위개념의 위계의 경우도 빈도수의 순서와 일치했다. 반면 상위개념에 포함되는 종속개념의 수에 있어서는 생물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지구과학, 물리, 화학의 순이었다.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y finding out the knowledge, which could be basis to determine the content and metho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hen providing principal information for educating kindergarten teacher.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is the superordinate concept, indicated in teachers concept map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2. What is the subordinate concept, indicated in teachers concept map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concept map for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as drew through individual interviewing 25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been at least over 1 years as a kindergarten teach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oncept map for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superordinate concepts that teacher used many, was general method of science education (84%), and then the superordinate concept that teachers used next, were earth science (60%), machine and tool (52%), nature (40%) and physics (40%) in order. There were 26 superordinate concepts in total. A result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op 12 superordinate concepts, (which appeared higher frequency of usage in the superordinate concept), by grade of rank, point of character and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In terms of grade of rank, biology (6.00), earth science (5.47), nature (4.60), and animal (4.00) were shown in order. In terms of point of character, there were biology (0.29), earth science (0.23), and nature (0.21) in order. In terms of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there were biology (43.71), earth science (25.21), general method of science education (23.48), and human (21.71) in order. In superordinate concepts that teachers used, machine & tool, physics and material showed the higher frequency usage, but they were lower in grade of rank,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and point of character. On the other hand, biology and human, which were used as the superordinate concept, showed lower frequency (9th & 11th), but they were ranked higher in grade of rank,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and point of character. Also, earth science showed higher position in frequency of usage, grade of rank,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and point of character. This indicates tha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teachers level of knowledge and its extension level seem to be not in accordance. Second, teachers used totally 2,486 terms in concept map, and 2,328 terms of them were used as the subordinate concept. The analysis of the subordinate concept was done through examining 1,207 subordinate concepts (under the basis of the 10 superordinate concep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 top 12, which showed higher frequency in the superordinate concept) by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cientific field of curriculum. phenomenon dealt with the most superordinate concepts, and studying living thing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subordinate concept. Also, the subordinate concept included contents, which presented in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besides it was extending to include other concepts. As a result of this, in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s field of research study, studying natural And in analysis of concept map depending on scientific field of curriculum, frequency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was earth science (35), biology (27), physics (17) and chemistry (9) in order, and grade of rank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showed same order as frequency. On the other hand, in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which included in the superordinate concept, biology was the highest with 578, and then there were earth science (395), physics (185) and chemistry (49) in order. Namely, earth science and biology include significant amount of subordinate concept, and they are relatively important part in the whole concept ma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교사와 지식 = 5 B. Ausubel의 유의미학습 이론 = 7 C. 개념도의 활용 = 9 D. 유아과학교육의 내용과 방법 = 15 F. 관련 연구 = 22 III. 연구 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C. 연구절차 = 26 D. 자료분석 = 27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2 A. 교사들의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 = 32 B.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 = 39 V.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3 <부록> = 60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개념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