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3 Download: 0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Authors
박헌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강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upervisory support on the social workers' burnout. The moderator effects of supervisory support are also investigated.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auses of burnout and few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social workers' coping with or preventing burnout. Supervisors were studied because the importance of their support has been consistently demonstrated i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uses the data based on the responses of 216 participants among 250 social workers selected randomly from 51 community welfare cente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work stress(role conflict, workload, role ambiguity) and supervisory support on burnout(emotional exhaustion, lack of accomplishment, depersonaliza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reveal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three factors of burnout. No main effects of supervisor support are found on the three factors of burnout, but it is found on the entire burnout. Second, The interactions between work stress and supervisor support are significant.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y support between role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reveals a buffering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upervisory emotional support between workload and lack of accomplishment, between role ambiguity and lack of accomplishment, and between role ambiguity and depersonalization reveals reverse buffering effects. Finally this study indicates that supervisor support during certain stressful situations makes a bad situation better or worse. Supervisors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social workers' work environment to mitigate or prevent burnout.;사회복지사의 소진과 관련하여 소진을 감소시키거나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의 하나로서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중요한 변수로서 지적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의 소진현상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원인에 대한 연구에 대하여 이루어져 왔으나 대처방법 및 예방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또한 소진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의 한 원천인 수퍼바이저의 지지는 대부분 독립변인으로서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조절변수로서의 영향에 대하여는 국내의 사회복지 세팅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수퍼바이저 지지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특히 지지 유형의 차별적인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마련에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업무스트레스(역할갈등, 업무량, 역할모호성) 및 내외통제성, 수퍼바이저의 지지, 소진의 수준을 알아본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배경 및 기관의 특성, 업무스트레스, 내외통제성,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업무스트레스요인과 소진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51개 지역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이 인지하는 업무스트레스 요인들 중 역할갈등과 업무량은 보통수준이었으며, 역할모호성은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내외통제성은 평균보다 높아 내적통제성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저의 지지수준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지의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적 지지가 도구적 지지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소진의 하위요인중 정서적 탈진은 중간수준을 나타냈고, 성취감 결여와 비인격화는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체소진의 수준은 중간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정서적 탈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수준, 내외통제성, 업무량, 역할모호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수퍼바이저의 지지는 주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역할갈등과 정서적 탈진과의 관계를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조절하여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도 정서적 탈진에 대해 역할갈등의 영향을 조절하여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감 결여에 대해 교육수준, 근무기간, 업무량, 역할모호성이 유의미한 주효과를 나타냈으나 수퍼바이저의 지지는 직접효과를 갖지 않았다. 반면에 지지가 역할모호성과 상호작용하여 성취감 결여를 증가시키는 역완충효과를 나타냈다. 지지의 하위요인중 정서적 지지는 업무량, 역할모호성과 성취감결여간에 조절역할을 하여 역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도구적지지는 역할모호성과 상호작용하여 역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비인격화에 대해서는 내외통제성과 역할모호성이 유의미한 주효과를 나타냈으나 수퍼바이저의 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수퍼바이저의 지지와 업무스트레스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지의 하위요인중 정서적 지지는 역할모호성과 상호작용하여 비인격화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역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도구적 지지는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비인격화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주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전체소진에 대해 교육수준, 내외통제성, 역할갈등, 업무량,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유의미한 주효과를 나타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저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역할갈등과 상호작용하여 전체소진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지지의 하위요인중 정서적 지지는 전체소진을 감소시키는 주효과와 역할갈등의 영향을 완충하는 조절효과를 모두 나타내었다. 반면에 도구적 지지는 소진의 수준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주효과만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해 수퍼바이저의 지지는 업무스트레스 요인과 무관하게 사회복지사의 소진 감소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역할갈등이 심할 경우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충분히 주어지면 정서적 탈진이 예방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업무량이 과도하다고 느끼거나 자신의 업무역할을 모호하게 지각할 경우에는 수퍼바이저의 지지 특히 정서적 지지는 오히려 성취감을 감소시키거나 비인격화의 수준이 높아져 냉소주의를 낳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저의 입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처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타입의 지지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며, 개인의 업무요구와 기대를 이해하고 명확히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관관리측면에서 내부 업무환경을 모니터하는 방식을 갖추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조정하고 수퍼바이저가 적절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한 전문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