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지영-
dc.creator한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62-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 이후 부각된 최근의 건축동향은 다원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공통된 주제로서 역사참조, 장소성, 지역성, 장식성 등을 추구하였으며, 각각의 주제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문화적, 상징적 의미와 환경과의 조화를 유도하였다. 그러한 경향 중에서도 유럽을 중심으로 한 신합리주의 건축은 도시를 성장, 발전하는 유기체로 간주하여 그것의 형태론적 발전에 관심을 갖고 건축행위를 참조대상으로 삼아 도시의 형식구조(Formal Structure)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유형을 사용하여 역사적인 연속성과 지역성을 표현하고 인간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것은 외부환경 및 인간과 별개의 건축이 아니라, 도시라는 물리적 환경과 그 속에서 삶을 영위하며 역사를 이루어 가는 인간 존재와의 긴밀한 관계을 맺는 건축의 진정한 의미를 건축 그 자체에서만이 아니라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찾고자 한 것이다. 반면, 기능주의 건축의 시기와 맞물려 서구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던 우리의 근대건축과 실내디자인 분야는 고전적 규범인 대칭성에 충실하여 원, 정사각형, 삼각형 등 기본적이고 유클리드 기하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주변의 역사 및 연계보다 유럽의 특정 건물 유형을 따르는 한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역사성, 장소성, 지역성과 무관한 서구지향의 편중된 시각의 환경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역사와 가치를 회복하여 독자적인 건축 형태 언어를 구축하고 전통의 재구현과 정체성의 회복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의 예술적 전환과 실내환경디자인의 자기 정체성 확립을 위해, 형태를 그 기본으로 하는 유럽 신합리주의 건축의 특성과 역사적 전통을 바탕으로 하여 근대 건축에 의해 거부되었던 역사의 의미와 가치를 회복하고, 독자적인 건축 형태 언어를 방법론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합리주의자들의 유형학을 중심으로 그 접근방법을 연구하여 근대건축에 의해 발생된 도시 환경상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이론의 배경으로서 유형학의 개념과 그 역사적 전개 과정을 시대별로 분석해 보고 타 이론과의 관계 속에서 유형학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둘째, 유형학적 사고 체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특성들을 조사해 보고 유형을 그룹화 된 디자인 요소로 추출해 디자인에 접근시키는 방법을 연구해본다. 셋째, 이상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과 유형학적 접근방법의 틀을 바탕으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을 설정하고, 프로그래밍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나누어 유형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디자인 안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유럽의 문화적, 역사적 전통에 기인한 신합리주의 건축을 한국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의미 전달 수단인 역사성을 구체적인 형태표현 유형으로 고찰해 건축형태의 구축에 있어서 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 Since 1960 s, the Pluralistic tendencies has been rising on architecture. These tendencies seek the reference from history, property of place, property of region and property of decoration as a common motif. Each motif has led the harmony of the cultural and symbolic meaning and the environment by a mutual relational effect. Among these tendencies, the Neo-rationalism architecture centered in Europe is interested in the morphologic development of the city for regarding the city as an organized matter and using the abstract of the type from analyzing the formal structure, it express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the property of region and try to provide human with the appropriate environment. This is for finding out what architecture is not separated in surroundings and human but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nature carried on their life and made the history where physical environment called city in true sense of the words not from architecture itself but from relationship with city. However, the modern architecture of Korea and interior design which was europeanized in earnest in the Functionalism architecture, shows its limit by serving faithfully the classic rule with symmetry, circle forms, squares, triangle and so on, and following several particular Europea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restoring the fundamental historic geometric character. In this reason, we have produced the too mush european viewpoint which was indifferent with the history, property of place, property of region and property of deco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refer the way of 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 of city from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change the environment design by studying the typology of the Neo-rationalism which is using an independent language on form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restoring rejected meaning and value of history based on historical tradition and European neo-rationalism from the form of architecture after 1960 s in a new point of view and methodology. First, In typological concept as a background of the objective and universal theory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typology, a background of the typology are tried to find out in the other theory. Second, The method to approach design are tried to find out in the characteristic of typological thought system and the design factor grouped by type. Third, Based on abov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framework typological approach, the complex,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defined for the possible space to apply and the Design plan is suggested from the Typological approach way divide into programming stage and Design stage. With this study, it is discovered the way of applying Neo-rationalism of architecture based on European cultural and historical tradition to Korea to consider the historical utility, the method of communication, as the concrete from expression. On the consumption that the special historical manner of korea architecture is redefined first, the distinct development of interior environment design and Aesthetic value "art in environment" are tried to find out through the complex cultural complex space as the applied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이론적 준거로서의 유형학 = 4 2.1. 유형과 유형학의 개념 = 4 2.2. 유형 개념의 역사적 전개과정 = 8 2.2.1. 근대 이전의 유형 개념 = 8 2.2.2. 근대의 유형 개념 = 8 2.2.3. 현대의 유형 개념 = 13 2.3. 이론적 배경 = 16 2.3.1. 구조주의의 특성 = 16 2.3.2. 콘텍스츄얼리즘(Contextualism)의 특성 = 19 3. 현대 유형학적 건축의 특성과 수용문제 = 22 3.1. 현대 유형학적 건축의 특성과 접근 방법 = 22 3.1.1. 합리주의의 역사적 전통 = 22 3.1.2. 형태학적 탐구 = 29 3.1.3. 언어 구조의 개념으로 접근 = 34 4. 유형학적 접근에 의한 관광안내센터 디자인 계획 과정 = 37 4.1. 유형학적 대상의 분석 = 37 4.1.1. 유형학의 한국적 수용 = 37 4.1.2. 한국 전통 건축의 사례분석 = 38 4.2. 전통 건축의 유형 추출 및 디자인 개념도출 = 43 4.2.1. 배치 유형의 추출 = 43 4.2.2. 언어 유형의 추출 = 45 4.2.3. 형태 유형의 추출 = 48 5. 디자인 과정 = 53 5.1. 디자인 전제 = 53 5.1.1. 디자인 개요 및 목표 = 53 5.1.2. 디자인 전개 과정 = 55 5.2. 관광안내센터의 분석 및 사례조사 = 56 5.2.1. 관광안내센터의 현황 = 56 5.2.2. 관광안내센터의 사례조사 = 59 5.3. 디자인 리서치 = 63 5.3.1. 대상지 설정 및 분석 = 63 5.3.2. 공간 프로그래밍 = 68 5.3.3. 공간별 기본 조건의 수집 = 70 5.4. 디자인 전개 및 도출 = 72 5.4.1. 디자인 개념 적용 = 72 5.4.2. 디자인 전개 = 73 5.5. 최종 디자인 = 92 5.6. 디자인 평가 = 100 6. 결론 = 102 참고문헌 = 104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140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유형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