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수민-
dc.creator임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61-
dc.description.abstract현대건축에서 투명성 표현 양상은 근대건축과 근대 모더니스트들의 작품에서 제시된 투명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과학기술의 발달은 우리 사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건축에서 이러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투명한 건축공간은 발전하고 있다. 건축물에서 투명성은 건물 전체나 일부를 투명하게 표현한다. 투명성은 공간을 연속시켜서 공간의 확장을 더해주고, 공간의 경계에 대한 모호함을 불러일으킨다. 이렇게 표현된 투명성은 서로 다른 두공간을 다른 시각에서 재해석된다. 투명한 재료로 인해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상호 관입됨과 동시에 외부 경관이 반사되어 새로운 시각적인 효과가 연출된다. 또한 건축물의 구조체가 노출되어 새로운 조형미를 만들어 내게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투명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디자인 과정을 통해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유리를 이용한 공간 디자인에서의 투명성 개념에 대한 접근과 그의 해석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투명성이 적용된 공간들의 사례 조사를 중심으로 투명성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그 안에 내재되었는지를 살펴보고, 투명성의 표현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변 컨텍스트와 연결하고 자연을 받아들이고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대상지를 설정하여 유리의 투명성 표현특성을 적용한 디자인과 모형사례 연구를 통해 자연과 호흡하는 문화공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투명성의 개념에 대한 고찰과 인간의 시대적 감성과 내부일 수도 있고 외부일 수도 있는 투명한 공간을 이용하여 자연을 마음껏 느끼게 하고, 자연과 인간의 시대적 문명 기술의 조화와 결합으로 얼마나 더 다양하게 공간 조형을 창출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데 의의가 있다. ; The expressions of transparency in today s architecture are based on the new approaches to transparency suggested in the modern architecture and modern modernists works. It s apparent that the developments of scientific technologies have changed the paradigms of our modern society. It s also obvious that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have helped modern architecture to adopt transparent space. Transparency in architecture comes from parts of a building or the whole building that are transparent. It connects spaces and thus enlarges them. It also blurs the boundaries among spaces. Transparency in space is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different angles of the space. The inside and outside space are inserting each other, the reflected outside landscape gives new visual effects, and the exposed skeleton creates a new kind of plastic aesthetics. The study attempted to apply transparency in spatial design through the design process. First of all,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pproaches toward the concept of transparency in the spatial design using glass and induce the various ways of interpretation. The case study of the spaces with transparency applied resulted in the understanding of how the concept of transparency was immersed in the space and the analysis of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ransparency. Based on the results, a target place was selected which could be combined to the surrounding context and accept and make the most of the nature. By apply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 of glass and the results of the model case study, a cultural space that breathed together with the nature was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lets people indulge in the nature by presenting the thoughtful consideration of the transparency concept, the human sensibility of the times, and the feature of transparency that turns the inside into outside and vice versa. The study also deserves recognition in that it has shown how much more diverse spaces can be created by combining the nature, human beings, and the technologies of the current civilization and making harmony out of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2. 건축공간에서 투명성의 개념에 관한 고찰 = 4 2.1 투명성의 의미 = 4 2.1.1 가시적 투명성 = 5 2.1.2 현상적 투명성 = 6 2.1.3 시각화의 양면성 = 7 2.2 투명성의 건축적 고찰 = 8 2.2.1 빛과 투명성 = 8 2.2.2 투명성의 지각적 특성 = 9 3. 건축공간에 나타난 투명성의 표현특성 및 사례 = 11 3.1 투명성의 표현특성 = 11 3.1.1 공간적 표현특성 = 11 3.1.2 재료적 표현특성 = 18 3.2 투명성의 효과 = 27 3.2.1 빛에 의한 표현 효과 = 27 3.2.2 투명성의 지각적 효과 = 30 4. 투명성 표현특성을 적용한 환경디자인 과정 = 35 4.1 디자인 개요 = 35 4.2 대상지 설정 및 환경분석 = 37 4.3 공간 프로그램 분석 = 42 4.4 디자인 단계 = 46 4.4.1 디자인 개념언어의 도출 = 46 4.4.2 디자인 전개 과정 = 48 4.5 최종디자인 = 61 4.6 디자인 종합 및 평가 = 74 5. 결론 = 76 참고문헌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735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투명성 표현 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