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영미-
dc.creator송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5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화행 실현 중에서 ‘칭찬(compliment)’ 화행을 중심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 문화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칭찬 화행을 대조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실제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 학습자들의 교수에 있어 한일(韓日) 양국의 칭찬 화행에 대한 통찰력과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담화완성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를 이용하였고,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모어 화자를 각각 100명씩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설문 문항은 친밀감, 상대적 지위, 나이, 성별 등의 사회적 변인에 따라 16개 문항으로 분류하고, 유도되는 칭찬 상황의 화제(topic)로는 외모, 소유물, 능력, 성격, 자녀의 5가지 요소로 분류하여 질문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겠다. 첫째, 두 집단의 전체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한국인의 경우 일본인에 비해 칭찬과 관련된 주변적 언급을 표현하는 비율이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에 비해 일본인은 주변적 언급은 생략하고, 정형화되고 직접적인 칭찬 표현만을 사용하여 대화를 종료시키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주변언급의 하위전략을 살펴보면 한국인은 다른 하위전략의 사용에 비해 화자의 개인적 의견을 월등히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일본인은 개인적 의견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었지만, 알아채기나 묻기 또한 개인적 의견과 동일한 비율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한국인에 비해 일본인은 알아채기의 사용 비율이 2배 가량 높다는 점이다. 특히 아들이 좋은 대학에 합격하였을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 때 한국인은 일본인에게 표현되지 않았던 요청ㆍ제시 전략인 ‘한 턱 내세요!’와 같은 표현도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두 집단의 표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장면들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상대방이 치부로 여기던 것이나 부끄러워했던 부분이 개선되었을 때의 장면이다. 예를 들어, 대머리였던 남성이 멋진 헤어스타일이 되었을 경우나 여성이 쌍꺼풀 수술을 했을 경우에 일본인들은 각각 66%, 82%가 아무 말도 하지 않음으로써 화행을 실현시키지 않고 있었던 반면, 한국인들은 각각 9%, 34%의 응답자만이 화행을 실현시키지 않고 있었다. 넷째, 칭찬 화행의 사회적 변인별 분석에 있어서는 한일(韓日)간에 공통적 특성이 나타났다. 화자가 청자에 대해 친밀감이 없을 경우보다 있을 경우, 상대적 지위가 높을 경우보다 낮을 경우, 나이가 많을 경우보다 적을 경우에 두 집단이 공통적으로 칭찬과 관련된 주변언급을 표현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 상대적 지위 변인에 있어서는 화자보다 청자의 지위가 높을 경우가 그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 두 집단 모두 칭찬 화행을 수행하지 않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성별의 변인에 있어서는 칭찬의 화제(topic)와 관련되어 공통적인 특징을 보였는데, 여성의 외모나 소지품 등과 같은 화제에 있어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적극적인 칭찬 화행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대머리나 자동차와 같은 남성의 외모나 남성 선호의 소지품에 있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적으로 칭찬 화행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인에게 있어서 칭찬 화행은 화자의 주관적인 평가나 의견 중심의 솔직한 표현이다. 이것은 화자가 청자에 대해 친근감과 호의를 나타내는 관심 표명의 언어 행동이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비해 일본인에게 있어 칭찬 화행은 그 가치 평가나 화자의 솔직한 의견보다는 인사의 성격이 강하고, 한국어와 비교해 겉치레적인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일본어에서의 칭찬 화행은 상대방의 사적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데에 그치는 의례적인 언어 행동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국인의 경우는 상대방이 치부로 여기던 것이나 부끄러워했던 것이라 하여도 그것이 개선되면 그것을 화제로 삼아 좋게 말해 줌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친근감을 표명하고 있으며, 일본인의 경우는 아무리 친밀감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을 화제로 삼아 이야기하는 것은 오히려 상대방에게 민망함이나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일본적인 배려심에서 화행을 실현시키지 않는 것이다.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해 칭찬 화제와 관련된 주변언급을 많이 표현하며, 그 전략으로 개인적 의견을 주로 표현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기인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칭찬 화행에 있어, 실제로 일본인이 한국인에 대해 실생활에서 빈번하게 오해와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문화적,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대조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한국 사회를 접한 일본인이 한국어 화행의 문제점으로 대부분 지적하고 있는 ‘한국인은 사적 영역을 지나치게 침범한다’와 같은 요소를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해석해 줌으로써 그 기저에 깔린 한국인의 의식과 가치관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통찰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아직까지 연구 성과가 미비한 한국어 화행 교육에 관한 연구를 보다 심도있게 확대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 그 기초 연구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한국어, 일본어, 화행, 칭찬 ; This study contrasts and analyzes the execution of Korean and Japanese speech acts emphasizing the speech act of‘complimenting’. Previous studies show the speech act of complimenting is considered to be characteristic of a society s culture and an act which strongly reflects the society s sense of values and behavior pattern. Unlike other speech acts, complimenting is also claimed to be used as a method to strengthen relationships in social interaction by recognizing and expressing listener s virtues rather than a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f complimenting, foreigners experience pragmatic failure; a compliment causes misunderstanding or displeasure because of improper situation or choice of topic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culture, despite the proper command and execution of a language they have learned. In this paper, I stud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used by cultural characteristics, analyzing speech act of complimenting in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Further I aim to give insights on speech act of complimenting in Korean for Japanese learners. I have chosen the method of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for this study and survey questions were delivered by mail, fax or email. The subjects include 100 native Korean and 100 native Japanese speakers who currently reside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within each group, I targeted the working class. Individuals who have lived abroad at length are excluded. Questions are divided into 16 categories by social variables such as intimacy, status, age, and gender; Topics under induced compliment situation are classified into 5 factors such as appearance, belongings, ability, personality, and children. Based on these factors, I analyze the execution of complimentary speech act and types of compliment & framing remarks. This study focuses on 2 elements: 1) whether subjects show direct responses to the main topic of compliment or indirect responses by a related framing remark 2) which types of sub-strategies subjects show when responding with a framing remark related to main topic. Results from analyses above are as follows: Firstly, native Korean speakers use framing remarks twice as much as their Japanese counterparts in overall characteristics of speech act. Japanese speakers on the other hand, tend to conclude conversations by using direct expressions only. This result shows that Koreans regard expressing framing remark as expression of friendliness while Japanese think direct complimentary expression is courteous and framing remark can cause want of respect. Secondly, Koreans use personal comment significantly more compared to other sub-strategies of framing remark while Japanese use identification or information asking as well as personal comment at the same rat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Japanese s use of identification strategy is twice as high as their Korean counterparts. In Scene 5, the situation on the son s success in college examination, shows this aspect well. Here, Koreans also use asking/suggestion strategy unlike Japanese. Thirdly, Koreans and Japanes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on how they react when other people s personal & disgraceful part of body was improved. For example, when a person with receding hairline changes his hair style, 66% of Japanese did not perform speech act on this while only 9% of Korean did not; when someone gets plastic surgery, 82% of Japanese did not perform speech act on this while 34% of Korean did not do so. This result shows that Koreans consider complimenting someone s physical improvement (however personal it is) an act of friendliness while Japanese refrain from any such compliment since they consider reference to someone s personal physique inappropriate and embarrassing. Fourth, the analysis of complimentary speech act shows Korean and Japanese follow common characteristics in light of social variables. In case of intimacy, both groups highly used compliment and framing remark to those who are intimate to them while shortly closing conversation using only direct compliment for those who are not intimate to them. In case of status, both groups do not perform complimentary speech act by saying nothing when listeners status is higher than speakers. On the other hand, both groups mostly use only direct compliment expressions when the listener is of a lower status. Both groups have high ratio of using framing remark when listener s age is younger than speaker by age. By gender, individuals perform complimentary speech act more actively to the same gender on topics of appearance or belongings specific to each gender.(For example men would compliment each other more in the topic of masculine items such as cars or their hairline) In summary this study yields the following results: For Koreans, speech act of complimenting is speak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honest expression based on their opinion. Thus, complimenting is a speech behavior expressing interest, which shows friendly feeling and courtesy. For Japanese on the other hand speech act of compliment is more like a greeting and ostentation, so complimentary speech act in Japanese language is ceremonious speech behavior which does not invade the privacy of listeners. Therefore, Koreans use framing remark at a higher rate mainly using personal comments while Japanese conclude conversation shortly by expressing direct compliment using primarily identification sub-strategy. This study points out where Japanese students encounter difficulty on Korean speech act. Given that recent Korean teachings focuses on conversation competence as a ultimate goal, my results will prove useful for realistic speech act teaching when adapted appropriately in conjunction with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urther this study can reduce Japanese misunderstandings - when Koreans excessively invade privacy while trying to compliment in Japanese - and at the same time developing their socio-linguistic insights on Korean way of thinking and sense of values. Key words: Japanese / Korean Language, speech act, complimen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의의 = 4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 6 2.1. 화행 이론(speech acts theory)에 관한 연구 =6 2.2. 공손 이론(politeness theory)에 관한 연구 = 8 2.3. 화행의 대조 연구 및 칭찬 화행에 관한 연구 = 11 3. 칭찬 화행의 양상 = 16 3.1. 칭찬의 개념 = 16 3.2. 칭찬 화행의 특징 및 기능 = 20 3.3. 칭찬 화행의 유형 = 24 4. 연구 방법 = 28 4.1. 실험 대상 및 분석 범위 = 28 4.2. 실험 도구와 제작 절차 = 30 4.3. 예비 실험 = 33 4.3.1. 1차 예비 실험 = 33 4.3.2. 2차 예비 실험 = 34 4.3.3. 3차 예비 실험 = 35 4.4. 자료 분석 방법 = 36 4.4.1. 칭찬과 주변언급 분석의 틀 = 37 4.4.2. 주변언급의 하위전략 분석의 틀 = 38 4.5. 검정 도구 = 39 5. 화행 실현 분석 결과 = 40 5.1. 각 집단별 전체 분석 = 40 5.1.1. 칭찬과 주변언급의 비교 = 40 5.1.2. 주변언급의 하위전략 비교 = 41 5.2. 각 장면별 분석 = 43 5.3. 사회적 변인의 따른 각 집단별 분석 = 74 5.3.1. 친밀감 변인의 따른 분석 = 74 5.3.2. 상대적 지위 변인에 따른 분석 = 77 5.3.3. 나이 변인에 따른 분석 = 79 5.3.4. 성별 변인에 따른 분석 = 82 5.4. 결과 요약 = 85 6. 결론 및 시사점 = 90 참고문헌 = 93 부록 = 99 1. 설문지 = 100 (1) 한국어 설문지 = 100 (2) 일본어 설문지 = 107 2. 칭찬과 주변언급 및 주변언급의 하위유형 분석의 예 = 114 (1) 한국어 = 114 (2) 일본어 = 116 ABSTRACT = 118 日本語 抄錄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01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어와 일본어의 칭찬 화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