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미-
dc.creator김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5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ression of Cubism interpenetration by presenting the case of buil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gallery design in Seoul and proposing a model which may link Cubism with environmental design. Also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the close link /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design and fine art painting and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fied differentiation in the arena of modern architecture in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art. Traditionally many philosophers and aesthetic artists discussed about many kinds of interrelatedness among architecture, painting and sculpture. This orthodox context had persisted until the separation of each field of art revealing its autonomy and purity in 19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architecture had existed as a mere part of architecture until the early stage of founding Modernism. Nevertheless both painting and sculpture were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and complex situation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Modernism including Cubism. In general, environmental design should accord to the forms of satisfying human needs by harmonizing the total environment of adjust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usefully. As a subfield of art science, environmental design also contains complex methods of presenting aesthetic viewpoints, especially visual forms of expression in a limited space and time. In this context, we may find a common ground of interpenetration in expression forms, characteristics and other related factors. In modernity, art is richly diversified and differentiated. And also art grows very fast and changes its paradigm sometimes dramatically. Thus, in modern times, art is not mere a first order nature. It must be interpreted as a second nature with art adjusted to environmentally friendly human and nature by interconnecting art and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interpret the interpenetration of Cubism expression in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arts and humane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proposing a model case of creating gallery design. The chapter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One is to clarify the purpos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pproach methods and scopes of research. Chapter Two is to expla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expression of Cubism interpenetration. Chapter Three is to analyse the forms, types and visual effects of interpenetration in detail. Chapter Four is to apply the subject theory of interpenetration to the case in the city of Seoul, presenting a creative model, environmentally friendly humane gallery in time and space. Chapter Five is to summarize and conclu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find a possibility model of interpenetrating Cubism expression in order to pursu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umane design, seeking a better sustainability in environmental design. ; 고대 이래로 많은 철학자와 미학자들이 환경의 예술성에 대해 논하면서, 예술개념 분류의 역사 속에서 건축·회화·조각 등이 서로 연관되는 일정한 특성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왔다. 한편, 환경디자인의 요소로서 회화나 조각은 건축과의 관계성을 계속 유지하며 발전되었는데, 이것은 19세기에 이르러 회화나 조각, 건축을 포함한 예술의 각 분야가 서로의 자율성과 순수성을 목표로 분리되는 현상을 보일 때까지 지속되었다. 회화와 환경디자인의 관계성은 모더니즘 예술운동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변화가 일기 시작하였는데, 당시의 건축물은 장식이 배제된 외벽에 의해 명확한 윤곽을 지향하게 되었으므로, 더 이상 장식적 요소로서의 조각이나 회화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회화나 조각은 그것을 생성하는 토양인 현실로부터의 유리현상을 초래하여 예술이 그 토대를 잃고 고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오히려 기존의 관계에서와는 달리, 각각의 이념적인 부분이 서로 상관성을 지니면서 작품활동이 이루어지거나 공동 작업이 시도되는 종합 예술적 경향으로 이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건축, 조각, 회화의 근본적인 가치를 시대가 상징하는 감정구조로 통합하기 위한 하나의 전반적인 흐름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디자인이 인간의 삶과 요구에 부합되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형태를 필요로 하고, 구축된 형태를 한계로 해서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이용하게 되며, 또한 그 형태가 주위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즉, 환경 디자인은 조형예술의 한 부분으로서 일정한 물리적 표현재료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 안에 시각적 형태로서 표현되는 예술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표현의 문제에 있어서는 다른 조형예술분야에서의 표현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술은 그 가치가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며, 현대사회는 실로 다원화와 차별화의 가치를 지향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다가오는 미래에는 자연친화적 인공미가 아닌, 예술문화가 풍부한 제 2의 자연미로서 사람들에게 정신적 휴식처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건전한 삶의 장으로서의 환경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예술과의 접목이 절대적이며, 이때의 환경은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인간친화적 공간으로서 새롭게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요구 속에서, 본 연구자는 환경디자인의 예술적 접목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미적 가치체계로서의 환경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세기 초 회화사에서 뿐만 아니라, 그 이념과 조형성에 있어서 환경디자인을 포함한 예술의 전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 큐비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특히 큐비즘의 조형적 표현특성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 다수에게 선호되는 미적 가치체계를 지닌 창조적이고 실질적인 갤러리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종합 예술적·인간친화적 공간으로서의 환경디자인을 창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배경과 목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서술한다. 2장에서는 큐비즘 회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큐비즘 공간에 나타난 상호관입의 개념 및 표현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상호관입의 형태와 유형 및 그 표현요소와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4장에서는 큐비즘의 상호관입 표현특성을 실제 디자인 모형사례에 적용하고, 공간 분석과 순차적인 디자인 단계를 거쳐 합리적이고 창조적인 갤러리 디자인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최종으로 제시된 디자인에 대해 요약하고, 결과물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와 타당성에 논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는 예술이라는 범위 안에서 밀접한 관계성을 유지해온 환경디자인과 회화의 상관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환경디자인과 회화의 관계성이 예술의 이해와 그 특성의 분석이 다원화되고 차별화 된 현대 건축의 한 영역에 존재하는 종합예술적 표현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 사회 속에서 환경과 예술이 분리되지 않은 인간친화적 삶의 장으로서의 공간을 창출하는데 있어서도 일익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합예술적 형태표현은 인간과 환경을 유기적이고 상호보완적으로 연결하는 도시환경디자인에 실질적으로 적용되어 환경의 질적 수준을 보다 합리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환경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회화성의 접목이 인간의 정신적 가치를 고양하고 미적 가치체계 하의 공간 디자인에 있어 일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2. 큐비즘(Cubism)의 상호관입 표현에 관한 고찰 = 4 2.1. 큐비즘(Cubism)에 관한 고찰 = 4 2.1.1. 평면성의 재해석 = 4 2.1.2. 순수성과 추상성 = 6 2.1.3. 공간인식의 변화: 시간·공간 개념 = 11 2.2. 큐비즘에 나타난 상호관입의 개념과 표현특성 = 14 2.2.1. 상호관입의 개념 = 14 2.2.2. 근대건축과 회화에 나타난 상호관입 표현특성 = 22 3.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상호관입의 유형과 표현 효과 = 34 3.1. 상호관입의 표현 요소 3.1.1. 선적 요소 = 34 3.1.2. 면적 요소 = 35 3.1.3. 공간적 요소 = 38 3.2. 상호관입의 유형 = 44 3.2.1. 수평적 요소의 결합 = 44 3.2.2. 수직적 요소의 결합 = 46 3.3. 상호관입의 표현 효과 = 52 3.3.1. 연속성의 표현 = 52 3.3.2. 역동성의 표현 = 55 4. 상호관입 표현특성에 의한 모형사례 = 60 4.1. 디자인 개요 = 60 4.1.1. 디자인 목표 = 60 4.1.2. 디자인 전개 = 61 4.2. 공간 프로그램(Programing) = 63 4.2.1. 환경 분석 = 63 4.2.2. 공간 프로그램 분석 = 73 4.3. 디자인 과정(Designing) = 80 4.3.1. 공간 프로그램 종합 = 80 4.3.2. 디자인 개념 전개 = 85 4.3.3. 볼륨과 형태 분석 = 90 4.3.4. 평면 계획 = 92 4.3.5. 입면 계획 = 96 4.3.6. 세부 공간 계획 = 100 4.4. 모형사례 연구 최종안 = 102 4.5. 디자인 종합 및 평가 = 112 5. 결론 = 114 참고문헌 = 116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961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큐비즘의 상호관입 표현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