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조근영-
dc.creator조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3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1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의 급격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하여 의존성 노인들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2000년대에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노인성 질환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질환이 노인성 치매이다. 노인치매환자는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존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로서, 다른 노인성 환자들에 비하여 집중적이고도 장기적인 간호와 수발을 필요로 한다. 또한 치매는 병의 진전에 따라 신체적 기능의 저하가 오며 이는 환자의 신체의존도를 높이게 되어 타인의 돌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태가 된다. 치매는 실제로 인단 발병된 후에는 치유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치매환자는 가족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가족에게는 많은 스트레스와 축적된 긴장, 부담감, 갈등이 된다. 많은 연구들에서 만성질환자 가족이 환자를 장기간 돌봄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를 가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치매는 노인만성질환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치매노인가족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이러한 어려움이 가족기능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치매노인 가족에 대한 연구는 가족이나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이나 스트레스에 관한 내용으로 주로 다루어져 가족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을 알아보고, 치매노인가족에 대한 가족 중심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기획하고 적용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에 노인복지관, 치매노인 주간보호 시설 등을 이용하는 노인과 함께 살고 있는 가족(단, 가족내 치매노인 이외에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구성원이 없는 가족) 중 70가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20일간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특성과 가족기능도와의 관계에서 부양자 연령, 부양자 학력, 가족구성, 가족수입, 종교, 부양문제, 치매증상에 대한 부양자 의식에 따라 가족기능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특성과 각각의 하위기능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서적 기능은 치매증상에 대한 부양자 의식에 따라, 의사소통기능은 가족수입, 종교, 치매증상에 대한 부양자 의식에 따라, 가족행사참여 기능은 부양자 연령, 부양자 학력, 가족구성, 가족수입, 부양문제에 따라, 고통분담 기능은 부양자 학력, 가족구성, 가족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족기능뿐만 아니라 하위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양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족수입이 많을수록, 치매증상에 대한 부양자 의식이 긍정적일수록 가족기능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특성과 가족기능도와의 관계에서는 노인의 교육정도에 따라 가족기능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각각의 하위기능과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기능은 노인학력에 따라, 의사소통기능은 노인학력과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행사참여 기능과 고통분담기능은 차이가 있는 노인특성은 없었다. 전체 가족기능뿐만 아니라 하위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노인 연령이 많을수록, 노인 학력이 낮을수록 정서적 가족기능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에 대한 주관적 견해와 가족기능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생활수준과 생활만족도에 따라 가족기능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생활수준, 생활만족도는 모든 하위기능과 차이를 보였으며 부양부담감은 정서적 기능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족기능뿐만 아니라 하위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생활수준과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상에서 살펴본 가족특성, 노인특성, 가족에 대한 주관적인 견해와 가족기능도 및 하위기능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들 중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인특성에서는 노인학력이, 가족에 대한 주관적 견해에서는 생활수준과 생활만족도가 가족기능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특성에서는 영향요인이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치매노인을 위한 보호나 복지프로그램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치매노인 가족들을 위한 전문프로그램은 거의 진행되지 않는 상황으로 치매노인가족들의 문제는 가족들의 몫으로 돌려져 가족기능에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시 가족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가족기능을 사정해야 한다. 또한 치매노인가족들을 위한 전문프로그램 기획 시 부양자 연령, 부양자 학력, 가족구성, 가족수입, 종교, 부양문제, 치매증상에 대한 부양자 의식, 노인 학력, 주관적인 생활수준, 생활만족도를 조사하여야 특히 노인학력과 주관적인 생활수준, 생활만족도에 대해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각각의 하위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특히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 중 가장 떨어지는 의사소통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 가족기능은 각각의 하위기능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한 하위기능의 점수가 상승할수록 다른 기능의 점수도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가족기능도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족기능의 전체적인 활성화를 위해 하위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을 조사·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가족기능도 및 4개의 하위기능도는 모두 중간정도 수준의 가족기능도를 보였으나 하위기능 중 의사소통기능이 가장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치매노인가족들의 의사소통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가족 중심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에서의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가족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프로그램 개발과 동시에 치매노인가족의 특성을 살펴 가족기능에 장애가 되는 문제들을 파악하여 조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과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가족기능을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가족구성에 있어 딸부부가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경우 가족기능도가 현저히 낮음을 볼 수 있는데 사회복지사는 치매노인가족 사정 시 이런 점을 유의하여 살펴 딸부부가 노인을 부양하는 경우 다른 형제들의 도움을 받아 노인을 번갈아가며 모시도록 유도함으로써 가족기능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수입은 전체 가족기능 및 각각의 하위기능과도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가족수입이 적을 때 가족기능도도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100만원을 기준으로 가족기능도의 높고 낮음이 구분되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이런 점으로 볼 때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및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족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은 매우 중요하고 이런 가족들을 위한 가족기능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가족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생활수준과 생활만족도는 가족기능에 중요한 영향요인이므로 가족들의 주관적인 견해는 파악하여 가족들이 자신들의 가족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질 수 있고 가족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개입은 반드시 필요하다. 넷째, 치매노인가족을 대상으로 치매노인의 증상과 현 상태에 대한 끊임없는 교육과 정보교환이 필요하다. 부양자가 치매노인의 증상에 대해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구분하지 않고 정확하게 인지할 때 가족기능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사회복지현장에서 치매노인 가족들에게 치매에 대한 교육실시하고 부양노인의 상태에 대해 수시로 정확하게 가족들에게 알려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들이 치매노인을 care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족들을 위한 개입도 중요함을 인지하고 실질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과 체계적인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하며,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가 좀더 심도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도 필요하다. ;The geriatric diseases seem to be on the increase with getting into an aging society.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eases among them is the senile dementia. The senile dementia patients are needed the continuous and concentrated attendance absolutely compared with other geriatric disease patients. The families with dementia patients are seriously suffered from the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pains. It menaces the family function. The existed studies and researches are mainly focused on the stress and the support burden for the family to be given. This study is attempted to be a help to plan out the welfare service program for the family with dementia patients as investigating into the family function of senile dementia family. For the survey, the seventy numbers of senile dementia families (provided that they do not have any chronic illness patient except a dotard) using the Senile Dementia Day Care Center or Welfare Center for the aged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were interviewed. The term of collection data is from Apr. 10th to Apr. 30t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as for the family character and the family function,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supporter's age, supporter's academic background, family organization, family income, religion, the problem of support, the supporter's consciousness about dementia symptoms. The difference of emotional function is caused by the supporter's consciousness about dementia symptoms and the difference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results from family income, religion, the supporter's consciousness about dementia symptoms and that of the participation function in family affairs is caused by supporter's age, supporter's academic background, family organization, family income, the problem of support, and that of the share function of anguish is due to supporter's academic background, family organization and family income. At the result of surveying not only the entire family function but also each inferior function, the more the supporter's academic career is high, family income is plentiful, the supporter's consciousness about dementia symptoms is affirmative the more the family functional diagram goes up. Second, as for the aged's character and the family function, there 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d's educational standard, as for each inferior function, an emotional function is according to the aged's academic career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is according to the aged's academic career and the hygienic condition, but there are no differences the aged's character according to participation function in family affairs and the share function of anguish. At the result of surveying not only the entire family function but also each inferior function, the more the aged's academic career is low, the aged's age is high, the more the emotional family function goes up. Third, as for the subjective view about the family and the family function, there 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 living standard, a living contentment. The differences of a living standard and a living contentment are showed in every inferior func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 supporter's burden is due to the emotional function. At the result of surveying not only the entire family function but also each inferior function, the more a living standard and a living contentment is high, the more the family function goes up. Fourth, Analyses of the several main causes; the family's and the aged's character and the subjective view and family functional diagram, which influence the family functional diagram show that the aged's academic background has an effect on the aged's character, a living standard and a living contentment have an effect on the subjective view about the family. Nothing influences the family's character. I will have a proposal to make to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result. First, We need programs to be able to activate the family function of the senile dementia family. In case Korea, the welfare program for senile dementia is in progress briskly but do not try to promote the program for their family. Therefore We should organize the plan in the course of revitalizing the family function after full consideration about supporter's age, supporter's academic career, family organization, family income, religion, the problem of supporting, the supporter's consciousness about dementia symptoms, the aged's academic background, a living standard and a living contentment. Second, we should develop the program to promote the each inferior function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ranked the lowest grade among the family functional diagram of senile dementia family. Family function has a considerable mutual relation with every inferior function. So the more each inferior function is ascended the more entire family function is ascend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device to activate the inferior function for the whole family function. Third, we need to try to activate the family function through the service in the field. In case the senile dementia patient is supported by daughter, the family functional diagram is showed to get lower. In this case the social welfare people try to induce other brothers to support together by turns for promoting the family functional diagram. Fourth, we need to educate ceaselessly and to exchange an information constantly about the symptom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senile dementia patient. It causes for supporter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ymptom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senile dementia patient to promote the family functional diagram. The last, 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are for family as well as for senile dementia patient and need a positive cooperation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to make a further study to be able to intervene in subst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3 C. 연구의 한계점 = 4 II.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5 A. 치매의 개념 = 5 1. 치매의 정의 = 5 2. 치매의 원인 = 6 3. 치매의 증상 = 8 B. 가족기능의 개념 = 12 1. 가족기능의 개념 = 12 2. 기능적(체계론적) 가족의 개념 = 15 C. 치매노인과 가족 = 18 1. 치매노인 가족의 구조적 특성 = 18 2. 치매노인 가족의 생활적 특성 = 20 3. 치매노인가족과 가족기능 = 22 III.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및 기간 = 27 B. 연구도구 = 27 C.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28 IV. 연구결과 및 분석 = 29 A. 치매노인가족 및 노인의 일반적 특성 = 29 1. 가족의 일반적 특성 = 29 2. 노인의 일반적 특성 = 32 3. 가족에 대한 주관적 견해의 특성 = 33 B. 가족기능도 = 34 C. 치매노인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기능도와의 관계 = 37 1. 가족특성과 가족기능도 및 하위기능도와의 관계 = 37 2. 노인특성과 가족기능도 및 하위기능도와의 관계 = 50 3. 가족에 대한 주관적 견해와 가족기능도 및 하위기능도와의 관계 = 55 D. 치매노인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63 V.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72 참고문헌 = 75 부록 = 8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30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