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유치원 자율장학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연구수업 중심으로

Title
유치원 자율장학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연구수업 중심으로
Authors
박신용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율장학의 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원내 자체 연구수업의 계획과 준비 과정, 연구수업 실시와 참관, 연구수업 후 평가과정과 형태, 그 효과와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수업의 계획단계에서 계획과 준비과정은 어떠한가? 2. 연구수업의 수업관찰 단계에서 연구수업 실시와 참관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연구수업 후 협의단계에서 평가과정과 형태, 결과에 대한 효과와 활용은 어떠한가? 4. 연구수업의 문제점이 있다면 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 천안, 청주 지역에 소재 한 사립 유치원 중 2001년 3월부터 현재까지 원내 자체 연구수업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은 질문지의 결과를 각 항목별로 빈도와 백분율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수업 계획단계에서 계획과 준비과정 첫째, 연구수업을 실시하기 위한 선정과정은 교사협의회를 통해서(41.6%)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이미 정해진 프로그램(27.7%)이나 원장의 권유(20.8%)로 실시되고 있었다. 실시횟수로는 1년에 1회(53.2%) 또는 2회로 실시(32.4%)되고 있었으며, 유치원의 모든 교사가 선정되어 참여(85.5%)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구수업을 위해 교사들이 준비하는 기간은 1주일 이상(27.7%)과 2주일 이상(27.2%)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연구수업 전 과정 중 준비기간 동안(68.2%)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와 부담감의 원인으로는 자신의 수업이 공개된다는 점(36.4%)이 가장 많았고, 새로운 활동 준비(18.5%), 시간 부족(15.0%), 교수기술 부족(12.1%), 평가시간(12.1%)도 원인이 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수업을 준비할 때 가장 많은 도움을 주는 사람으로는 동료교사(66.5%)였고, 활동 내용 선정과 활동 방법(56.6%)에 가장 많은 도움을 원했으며, 다음으로 교재·교구 준비(23.1%)에 대한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2. 연구수업 관찰단계에서 연구수업 실시와 참관 첫째, 연구수업 실시시간은 1~2시간(52.6%)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평상시 일과시간과 같다(20.8%)와 2~3시간 실시(20.2%)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 수업은 토요일에 실시(32.4%)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유아들은 학급 모든 유아가 참여(71.7%)하는 것이 가장 많았다. 연구수업에서 교사가 평상시와 가장 달라지는 점은 언어사용에서의 유아들과의 상호작용(60.7%)이며,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활동으로는 이야기 나누기 등의 대그룹 활동(49.1%)이었다. 또한 연구수업에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유아들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이(49.7%)이었고, 다음으로 수업형태와 진행에서의 융통성(39.3%)이었다. 둘째, 연구수업에 참관하는 사람으로는 원장과 원감(주임교사)과 동료교사 모두 참관하는 것(63.6%)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참관자들 태도는 진지한 것(91.3%)으로 나타났다. 수업 참관에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는 참관자들의 기록서(49.7%)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수업을 녹화하는 비디오 테이프(25.4%)와 체크리스트 형태(16.8%)가 있었다. 셋째, 연구수업을 위해 받고 싶은 연수내용으로는 교수-학습방법(56.6%)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새로운 놀이활동(16.8%)과 유아들과의 상호작용(16.8%)이 많았다. 3. 연구수업 후 협의단계에서 평가과정과 형태, 결과에 대한 효과와 활용 첫째, 연구수업 후 평가회 시간은 1시간 이하(50.9%)로 진행되는 것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2시간(42.8%)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평가회에 참석하는 사람은 원장과 원감(주임교사)과 동료교사 모두 참석하는 것(74.0%)이 가장 많았다. 평가회 진행방법은 연구수업을 실시한 교사의 자기 평가 후 참관자들의 소감발표(37.5%)로 이루어지는 방법이 가장 많았고, 평가의 형태는 연구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도·조언(40.9%)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평가회 때의 분위기는 격려하고 논의하는 우호적인 분위기(58.4%)가 가장 많았다. 교사에게 주는 평가는 원장과 원감(주임교사)과 동료교사가 비슷(35.8%)하게 도움을 주는 평가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수업의 효과로는 교사가 연구수업을 준비하면서 연구하는 것(18.8%)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수방법에 대한 개선(16.2%), 동료들과의 배움(13.3%), 교재교구 및 학습자료 개선(12.1%), 평가회 때 지적 받은 부분에 대한 반성(12.0%), 문제점 해결(9.6%), 유아들의 학습효과(7.4%)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수업 결과 활용도는 조금 활용함(46.2%)과 많이 활용함(46.2%)의 응답이 같게 나타났다. 4. 교사들의 연구수업에 대한 총평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첫째, 연구수업은 교사 자신의 수업 기술이 공개된다는 점과 준비하는 동안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에 대해 스트레스 및 부담감을 받고 있지만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해 총체적으로 되돌아 볼 수 있는 반성의 시간이 되었고 연구수업을 준비하면서 고심했던 스스로의 연구, 동료들과의 자신의 교수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둘째, 연구수업에서 느낀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 보면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수업 계획과 운영, 이론적 근거, 준비를 위한 시간적 여유와 배려, 교사 스스로 연구수업에 임하는 태도의 변화, 평가회 시간의 효과적인 운영, 연구수업을 위한 연수, 교사의 요구와 필요에 의한 장학 방법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This thesis is intended to comprehend kindergartens research lessons regarding their planning and preparatory procedures, opening of and attending into lessons, evaluation procedures and patterns. Based on this, this thesis will evaluate and effectiveness and usage of open research lessons and seek improving measures. Subjec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What are planning and preparatory procedures of research lessons at planning stage? 2. How are opening of and attending into such lessons being conducted at investigation stage? 3. What are evaluation procedures and patterns of research lessons at discussion stage? Also, what are the effects of the results and their usages? 4. If any problems are found in research lessons, what could be improving methods? Subject of this study are 173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research lesson experiences in private kindergarten in Daejon, Chunan and Cheongju cities since March 2001. I used frequencies and percentage for each question for analysis Summary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1. Planning and preparatory procedures of research lessons at planning stage First, subject of research lesson was selected by negotiations of teachers (41.6%), fixed programs (27.7%) and recommendation by kindergarten head (20.8%). The frequencies of research lessons per annum are largely two: once (53.2%) and twice (32.4%). The portion all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research lessons amounted to 8.55%. Second, teachers felt the most stress (68.2%) during the preparatory procedures. Cause of their stress is due to opening of their lessons (36.4%), preparation of new activities (18.5%), lack of time (15.0%), lack of teaching technique (12.1%), and evaluation (12.1%). Third, persons who were the most helpful during the lessons preparation was co-teachers (66.5%). Teachers (in charge of open lessons) wanted helps in selection of lesson subjects and tutoring method (56.6%) and teaching materials (23.1%). 2. Opening of and attending into research lessons at investigation stage First, opening time of research lessons was the most with 1-2 hours (52.6%), followed by usual lesson time (20.8%) and 2-3 hours (20.2%). Research lessons were largely conducted on Saturday (33.4%). The biggest difference of teachers during the research lessons was language in interacting with children and the biggest emphasis was placed on large group activities. Second, the case that kindergarten heads, chief teachers, and co-teachers all attended into research lessons was the most with 63.6%. Analysis tools of attenders were notes (49.7%), video tape (25.4%) and check lists (16.8%). Third, training teachers would like to have the most for research lessons were tutoring methods (56.6%) and the way to interact with children (16.8%) and new play behaviour (16.8%) 3. Evaluation procedures and patterns of research lessons at discussion stage, effects of the results and their usages First, evaluation time after research lessons was the most with less than 1 hour (50.9%) and 1-2 hours (42.8%). The case that kindergarten heads, chief teachers, and co-teachers all attended into evaluation session was the most with 74.0%. Evaluation of research lesson is conduced in the order of self-retrospection of teachers and opinion announcement by attenders (37.5%) and advice by seniors (40.9%) Second, gains of research lessons were felt the most with self-research of teachers, improvement of tutoring methods, learning with co-teachers, improvement of teaching materials (12.1%), and reflection (12.0%) and solving of problems (9.6%) and education effects for children (7.4%). 46.2% of the surveyed said they utilize results of research lessons a little while 46.2% of the surveyed said they utilize the results much. 4. Evaluation of research lessons and improving methods First, although teachers in charge of open lessons feel stress and burden due to exposure of their tutoring methods and much time requirement, such activities works as momentum to reflect themselves. Also, self-study and discussion they had with their co-teachers worked as momentum to develop their teaching methods. Second, more improvement is being required in planning and management of research lessons, theoretical base, teachers attitude, effective management of evaluation session, training for research lessons and educational promotion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