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70 Download: 0

한나 회흐의 포토몽타주 작품에 관한 여성주의적 성찰

Title
한나 회흐의 포토몽타주 작품에 관한 여성주의적 성찰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베를린 다다의 유일한 여성 작가 한나 회흐(Hannah Ho¨ch, 1889-1978)의 포토몽타주 작품에 관한 여성주의적 고찰이다. 회흐는 베를린 다다의 대표적 예술 양식인 포토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여 운동내에서 기록될 만한 작품을 제작하였지만, 동료 남성 다다 작가에게서나 미술사 속에서 다다 정신이 부족한 작가로써 항상 주변적 인물로 평가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회흐의 다다 정신과 작품에 대한 기존의 평가들이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상정하고, 여성주의의 시각으로 다다 정신을 새롭게 비추어 보고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주의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미술사 내에서의 회흐의 위치를 재해석하고자 한 것이다. 남성 중심으로 이루어지 베를린 다다 내에서의 여성 차별적 경험은 회흐로 하여금 구체제 전복이라는 혁명적 다다 정신을 여성의 시각으로 받아들이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다다의 반항적 행위의 대상을 기존의 남성 중심적 사회 제도와 가치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즉 여성을 동등한 하나의 작가로 인정하지 않았던 당시 사회 분위기와 다다 동료들의 남성 지배적 특성, 그리고 급속도로 산업화가 진행되던 베를린 상황에서 여성들에게 부여되었던 다양한 정체성과 모순을 통하여 회흐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절대적 자유를 추구하는 다다 정신 속에, 여성 존재를 포함시키는 작품 활동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전쟁의 폐허 위에 출범한 바이마르 공화국의 불안정한 상황은 인간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하였고 이러한 위기를 바로잡기 위해 정신분석학을 비롯한 性과학 분야에서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이 속에서 지배적 남성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결정되어지는 여성은 항상 본능적, 성적 존재로 취급되면서 남성보다 더욱 강하게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였다. 회흐는 저임금의 단순 노동력의 필요로 여성들을 공적 영역으로 동원하기 위해 선전되던 신여성의 이상적 이미지와, 가사 노동과 열악한 근로 환경이라는 이중의 고통 속에 처해 있던 실제 여성 현실과의 괴리를 인식하였다. 또한 산업화로 인한 소비 문화의 범람 속에서는 여성의 상품화가 부추겨지면서 여성을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회흐는 잡지나 신문에서 익숙하게 보여지는 이상적 여성 이미지들을 절단하고 재구축하는 몽타주 과정을 통하여, 이것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던 당시 여성들로 하여금 수동적 정체성에 길들여져 가는 자신들의 현실에 대해 재고하도록 유도하였다. 한편 여성의 공적 영역으로의 유입은 그 상황이 어떠하였건 간에 남성 대 여성의 노동 영역이라는 전통적 권력 구분에 대한 강력한 도전으로 간주되면서, 여성들은 또다시 가정으로 내몰리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회흐는 이러한 상황에서, 결혼 제도 속에서 주체적 존재성을 지우고 억압적 상황에 처하게 되는 여성의 역할을 형상화하는 작품과 이분법적 성별의 경계를 허물어트리는 자웅동체 이미지를 묘사하는 작품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모든 제도들과 가치들이 남성중심적 권력 구조에 의해 조작되고 구축된 것임을 폭로하여 보여주었다. 회흐의 이러한 남성 중심적 권력 구조에 대한 인식은, 독일의 인종우월주의와 타문화에 대한 유럽 제국주의의 식민적 수용에서 나타나는 권력구조에 대한 통찰로까지 확대되었다. 강자의 편의에서 해석되고 왜곡되어지는 비서구 인종과 문화의 상황은 회흐에게 있어서 억압적 여성 현실과 동일한 타자 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회흐는 서구 여성과 비서구 민속품 조각을 부자연스럽게 결합함으로써 두 타자들에 대한 남성들의 시각을 전복시겼다. 또한 여성들에게는 친숙한 자아와 낯선 타자의 모습에서 동요하도록 하여 자신들의 진열되고 보여지는 비주체적 상황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회흐는 이렇듯 전 작품을 통하여 이미지와 현실 간, 남성과 여성, 자아와 타자, 그리고 서구 문화와 비서구 문화 사이의 경계를 흐림으로써 서구 백인 남성 중심으로 고정된 기존의 시각이 아닌 여성의 시각을 포함한 다양한 시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여성 정체성의 모순을 중심으로 하는 회흐의 시각은 결혼 제도와 이분법적 성개념이라는 사회학적 가치로, 그리고 타자를 포함한 인류학적 영역으로 확장되어 나아갔다. 이같은 시각의 확장은 여성주의 운동의 흐름과 유사한 것이며, 단순히 여성만의 담론이 아닌 타자들의 담론을 포함하여 세계의 모든 권력 구조의 해체에 대한 담론으로 나아가는 최근 여성주의와 동일한 맥락에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 한 것이다. 또한 다른 작가들과 구별되는 회흐의 포토몽타주 기법은 부분들의 이질적 조합을 강조하여 낯설은 효과를 창출함으로써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던 현실의 것들에 대한 재고를 유도하는 비전통적 재현방식이었다. 따라서 그녀의 몽타주 기법도 새로운 여성적 재현의 한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회흐가 여성주의적 사상을 선구적으로 작품화했던 작가였다고 평가하고자 한다. 즉 회흐는 기존 사회와 전통에 반하는 다다 정신을 통하여 여성을 포함한 보편적 인간의 자유를 추구함으로써 진정한 다다 정신을 실천한 다다 작가였으며, 이로써 여성주의 미술의 선구적 예술가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흐의 작품 고찰을 통해 남성적인 것으로 평가되어온 아방가르드 정신인 다다 정신 속에도 여성주의적 태도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점에서도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This thesis is a feminist study of the only woman artist in the Berlin Dada movement. Ho¨ch produced works worthy of record in the movement through her use of photomontage, a typical style used by the Berlin Dada. But she has been undervalued by fellow male Dadaists and art historians as an artist lacking the Dada spirit. Thus, this thesis notes the fact that existing evaluations of Ho¨ch s Dadaism and her works are based on a male-centered perspective, and intends to correct Ho¨ch s position in art history by exploring Dadaism from a new, feminine perspective and studying the feminine characteristics shown in her works. The experience of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male-dominant Berlin Dada movement led Ho¨ch to accept the revolutionary Dada spirit of overthrowing the old system from her particular woman s viewpoint. To her, Dada s object of resistance was the existing male-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value system. The social atmosphere which did not consider women as artists with equal capabilities, the male-dominant character of Dadaism, and the various identity crises and conflicts women had to face during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of Berlin, eventually enabled Ho¨ch to include the existence of "woman" in the spirit of Dada seeking absolute freedom of humankind. The unstable situation of the Weimar Republic, founded on the remains of war, caused confusion of identity among many people and many discussions took place in the fields of sexology including psychoanalysis. Under such circumstances, women were always defin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dominant men- as instinctive and sexual beings. Thus women had to experience higher levels of identity crisis. Ho¨ch understood the reality of women, who were suffering doubly on account of housework and bad labor conditions as well as commercialization of women. This was different from the ideal image of the so called "New Woman," a term used in propaganda to mobilize women into the public sector and utilize their low-cost, simple labor. Through a process of montage, cutting and reconstructing ideal images of women commonly seen in newspapers or magazines, Ho¨ch led the uncritical women of the times to reconsider their reality: being tamed into figures of passive identity. Meanwhile, the entry of women into the public sector was viewed as a powerful challenge against the traditional division of power between men and women, and women were once again chased back to their homes. Under this situation, Ho¨ch exposed the fact that all systems and values approved by society are manipulated and constructed by a male-centered power structure. She did this through her works showing the role of women, deprived of their subjective existence by the marriage system and placed in oppressive situations, and her other works depicting hermaphroditic images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dichotomous gender. Ho¨ch s perception of the male-centered power structure was expand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power structure evident in the racial superiority complex of Germany and the colonial attitude of European imperialism toward other cultures. To Ho¨ch, the situation of the non-Western people and cultures, being interpreted and distort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strong, was similar to that of oppressed women. Ho¨ch unnaturally combined the European woman with a fragment of non-Western folk art to overturn the male viewpoint of the two "others." As for women, she made them agitated at their familiar self and their appearance as an unfamiliar "other," enabling them to understand their non-subjective situation as objects being displayed and shown. Thus by blurring the distinctions between images and reality, men and women, self and other, Western culture and non-Western culture in her works, Ho¨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verse viewpoints other than the existing, fixed, white Western male perspective. Thus Ho¨ch s view based on the contradictions in women s identity was expanded to social values including marriage systems and dichotomous gender concepts, and the area of anthropology including "others." Such expansion of perspective is similar to the trend of the feminist movement. It is notable that the way she included discourse of others as well as of women, is in the same context as the recent feminist movements moving toward the discourse of deconstruction of all power structures in the world. Furthermore, Ho¨ch s photomontage technique, distinct from other artists, was a non-traditional representation method leading viewers to reconsider the objects of reality previously taken for granted, by creating an "alienation" effect through the conflicting combination of parts. Thus her photomontage technique may be considered as a new way of feminist represent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intends to evaluate Ho¨ch as an artist who was a pioneer in expressing feminist thought in her works. In other words, Ho¨ch was indeed a Dadaist artist who put the true Dada spirit into action by pursuing freedom of all humankind including women, through Dadaism that resisted the society and tradition. She was the pioneering artist of feminist art. The significance of Ho¨ch s work can also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proves the existence of a feminist character within Dadaism, an avant-garde movement that has been evaluated as masculi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