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reator이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5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23-
dc.description.abstract1957년 서울시 성북구 종암동에 종암 아파트가 건설된 이후 아파트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주거 경관이 되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건설되기 시작한 아파트는 1970년대 강남 및 잠실 아파트 지구 개발을 통하여 더욱 보편화되었다. 특히 1980년대에 진행된 목동 신시가지와 상계 신시가지 개발은 서울시 전역에 걸친 아파트 경관을 만들어 내었다. 경기도 및 인천 지역에서는 1980년대에 진행된 위성 도시 및 신도시 개발로 대단위의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 과천을 시작으로 하여 성남시, 수원시 등의 위성 도시 지역에 아파트 주거가 보급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된 분당 신도시 개발 및 부평 신도시 개발 등은 수도권 내의 아파트 주거 경관을 더욱 보편화시켰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초고층 주상 복합 아파트가 본격적으로 건설됨에 따라 아파트가 더욱 더 수도권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수도권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가 된 아파트 주거 경관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라보는 시선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분석한다. 우선 아파트 주거가 수도권의 대표적인 주거 경관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세 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로는 법·제도적인 조건으로, 국가 및 각 지역 행정부가 시행한 정책이나 법령 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경제적 조건으로, 아파트가 대량으로 건설될 수 있었던 경제적인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세 번째 조건으로는 사회적 조건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아파트의 외형과 더불어 아파트의 이미지 및 상징성이 변화하는 것과 관련된 사회·문화적인 상황들을 의미한다. 위의 세 가지 조건들을 통하여 형성된 수도권 아파트 경관은 크게 외형적인 변화와 이미지 및 상징성의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이 지니는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가장 우선순위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권위있는 일간지의 기사를 연구 범위로 하여 기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신문 기사를 통하여 분석한 수도권 아파트 경관의 변화는 두 가지로 나누어 진다. 하나는 수도권 아파트 경관의 외형적 변화이며, 다른 하나는 수도권 아파트 경관의 이미지와 상징성의 변화이다. 먼저, 수도권 아파트 경관의 외형적 변화는 내부 공간 구조의 변화 및 외관의 변화와 근린 시설 및 공용 시설의 변화로 구분되어 파악할 수 있다. 아파트의 내부 공간은 폐쇄형에서 개방형으로, 소형평형에서 대형평형으로, 공동 생활 중심에서 개인 생활 및 개성 중심으로 변화했다. 또한 아파트의 외관 역시 과거의 획일적이고 표준화되었던 외관에서 다양한 색상과 장식을 사용하여 개성있는 외관으로 변화하였다. 공용 시설과 근린 시설은 최소한의 생활을 위한 기능성 위주의 것에서, 친환경성과 여가가 강조되어 테마파크나 수변 공간이 설치된 심미적이고 개성있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수도권 아파트 경관의 이미지 및 상징성은 편안한 주거 공간 으로의 전환, 상징자본으로의 아파트 , 아파트 거주자의 정체성 차별화 그리고 아파트 건설 업체들의 브랜드 전략 을 중심으로 변화되었다. 영세민을 위한 공동 주택으로서의 이미지와 1970년 와우 아파트 붕괴로 인한 불안한 주거 공간 으로서의 이미지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건설 등으로 아파트 주거 경관이 보편화됨에 따라 편안한 주거 공간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서구 도시 지역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로서 건설되었던 아파트와는 달리, 우리나라 수도권의 아파트는 산업화 및 근대화의 산물로서 사회적 성공 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지니는 정체성 이 영세민과 중산층의 이원화에서 더욱 세분화됨에 따라 집단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써 아파트 경관이 하는 역할을 더욱 견고히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아파트 경관이 지니는 이미지와 상징성들은 아파트 건설 업체들의 브랜드 전략을 통하여 더욱 구체화된다. 198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특성들은 1990년대를 거치면서 일상 생활 환경인 아파트 주거 경관에 까지 반영되었다. 아파트 건설업체들은 이러한 사회적 조건을 고려하여 새로운 브랜드 전략을 사용하게 되었고 결국 아파트 주거 경관에 대한 시선 역시 재구성되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partment landscape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its meanings which are socially constructed among people through newspaper articles. The first apartment house in Korea was built in 1957 at Jongam-Dong, Seongbuk-Gu, Seoul. Then, the apartment house has changed in many aspects over 30 years. Over the half of the residential houses in Seoul consist of apartments in 2002. It is amazed growth compared with 30 years ago, only 4.47% in 1975. The apartment houses of Kyonggi Province takes up 48.44% of total houses in 2000, which is compared with only 0.55% in 1975. The height of the apartment house has also changed into 40th or over 50th stories at this time, which is greatly different from that in 1960s. These changes are based on the three conditions of institutional,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s in Korea. First, it is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development of Seoul Metropolitan Area s apartment house. It means the polic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hich have made the landscape of apartment hou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widely expand over 30 years. Next, the economic conditions help apartment hou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greatly develop. It is the growth of GNP and GDP in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 1960s and after, and then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public and private capital invest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 The last is the social conditions that make the landscape of Seoul Metropolitan Area s apartment house change. It is noticeable that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has rapidly changed into post-modern from modern. It means that the social atmosphere of diversity and distinction is applied to the landscape of daily life, particularly to apartment landscap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said that the changes of apartment house in Seoul Metropolitan areas are apparently shown in two aspects. One is the changes of internal and external shapes of apartment houses, and the other is the changes of images and symbols of apartment houses. The internal shapes of the apartment house have changed into larger, open-spaced and personally oriented ones. The external shapes of the apartment house have also changed into diverse colors and forms. And last, the changes of common facilities are the newly constructed landscapes such as Theme Park or Central Park , which consist of large apartment residential complex. The other changes are the transformation of images and symbols of apartment houses. New apartment houses have people gradually own the image of convenience in contrast 1960s and 1970s. Also, those lead to the changes of identities of people who live in the apartment hou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Furthermore, the specification of social status make several residential groups of apartment house differentiated. One more change is the advertisement strategie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trying to appeal to the desire of consumers. The companies in recent time put great emphasis on the brand images rather than functional conven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지역과 연구방법 = 2 1. 연구지역 = 2 2. 연구방법 = 4 II. 이론적 배경과 아파트 주거 공간의 현황 = 7 A. 산업화와 도시화 및 주거 공간의 변화 = 7 B. 아파트 주거 공간의 현황 = 9 C. 이론적 배경 = 21 1. 공간의 사회적 구성 = 21 2. 공간의 텍스트 읽기 = 24 III. 아파트 경관의 외형변화와 사회경제적 조건 = 27 A. 사회경제적 배경 = 27 1. 주택정책의 변화 = 27 2. 경제성장과 주택산업의 변화 = 33 3. 생활양식의 변화와 아파트 주거공간의 확산 = 37 B. 아파트 내부구조 및 외관의 변화 = 40 1. 아파트 내부구조 = 40 2. 아파트 외관 = 51 C. 아파트 주거동 배치와 관련시설의 변화 = 59 1. 아파트 주거동의 배치 = 59 2. 아파트 공용시설 및 근린시설의 구성 = 61 IV. 아파트 경관의 이미지와 상징성 해석 = 66 A. 편안한 주거 공간으로의 이미지 변화 = 66 B. 상징자본으로서의 아파트 = 73 C. 아파트 거주자의 정체성 차별화 = 76 D. 아파트 주거문화와 건축회사의 브랜드 전략 = 79 V. 결론 = 88 참고문헌 = 91 ABSTRACT = 95 감사의 글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44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도권 아파트 경관의 형성과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 신문기사분석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