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한국 고등학생들에 대한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 평가

Title
한국 고등학생들에 대한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 평가
Authors
서민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개인의 직업흥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업흥미검사를 이용하며 이러한 검사들의 대부분은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을 기초로 제작되었다. 직업흥미이론은 미국 백인들의 직업흥미구조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한국에서 그러한 이론과 검사도구가 정확성과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한국 사람들의 직업흥미구조도 미국 백인들의 그것과 유사하다라는 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업흥미이론이 전제로 하고 있는 가설들이 한국에서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기 위하여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를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Holland 직업흥미이론의 문화간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크게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로 분류하여 내적 타당도는 이론의 구조적 가설인 순환순서가설과 주변관계가설에 대해 평가하고, 외적 타당도는 검사가 예측하고 있는 행동과 검사점수와의 관계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자료로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직업흥미를 측정하기 위하여 Holland이론에 기초하여 제작된 표준화검사인 종합진로적성검사에 응답한 1,44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내적 타당도 평가를 위한 순환순서가설에 대해서는 RANDALL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검사를, 주변관계가설에 대해서는 LISREL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으며 한국 고등학생들의 직업흥미구조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SPSS 10.0에서 지원하는 ALSCAL에 의한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외적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Holland의 6유형과 관련된 계열을 선택하여 계열에 따른 각 유형 점수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작위검사 결과 한국 고등학생들의 자료로부터 얻은 일치도 계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나타난 일치도보다 더 낮게 나올 확률도 높아 Holland가 가정한 순환순서가설과 유사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한 모형은 간명성에 있어서는 비교적 적합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으나 경쟁모형인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하지 않은 모형보다는 합치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유형들간 상관의 크기관계에 있어서 그 순서가 틀린 경우도 있으므로 주변관계가설 역시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에 의해서는 지지될 수 없었다. 셋째, 다차원 척도법에 의한 결과 모형의 합치도나 설명력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한국 고등학생들의 직업흥미구조는 RIASEC이 아닌 RIEASC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육각형의 모양이 아니었다. 넷째, 분산분석에 의한 결과 과학계열은 탐구형에서, 농·공계열은 현실형에서, 예술계열은 예술형에서, 그리고 상업계열은 관습형에서 다른 계열보다 가장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Holland이론이 예측하는 결과와 그것에 따른 행동이 일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볼 때,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은 이론이 지지하는 유형과 환경과의 대표성은 일치하므로 개인들의 직업흥미를 측정하는 데는 타당한 검사이론으로 볼 수 있으나 육각모형(Hexagonal Model)에서 각 유형들간의 순서나 상관의 크기관계가 직업흥미이론에서 예측된 바와 달라 구조적 가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Holland의 직업흥미이론은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 학생들의 직업흥미구조의 형태를 반영하여 그에 적합하게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업흥미구조는 모든 집단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각 집단이나 개인의 영향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검사 결과 해석이 내려질 수 있는 직업분류는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관성/객관성, 보수성/진보성의 차원에서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Vocational interest test is used for understanding one s vocational interest, a test that is mostly based on Holland s vocational interest theory. Because the theory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 of Anglo -Americans,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 of Americans are like that of Koreans must be the premise to acquire accuracy and utility of the Holland s vocational interest test when used in Korea.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Holland s theory though analysis how well the hypothesis of the theory applies to the Koreans, the culturally different population from one on Which Holland s vocational interest theory was developed. To evaluate effectively, Holland s theory needs to be dissec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sense of validity. Internal validity means evaluating the circular order hypothesis and circumplex hypothesis, while external validity means assessing the relation of test scores and performances that the test theoretically predicts. The data of the study was the reponses of 1,445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who completed the Comprehensive Vocational Aptitude Test based on the Holland s theory.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randomized test by RANDALL program for the circular order hypothe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LISREL for circumplex hypothe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by ALSCAL to find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s. Also, for evaluating the external validity, each student s field was classified into one of Holland s six type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scores of each type by ANOVA was compar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ose research methods. Firstly, the randomized test turned out that the data from the Korean students indicated lower Correspondence Index and higher p value not fitting in with the Holland s circumplex hypothesis. Secondly, although the model applied with the circumplex hypothesis was relatively a good model, Fit Index was low compared to the model that was not applied to the circumplex hypothesis. And because the order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type may be different, circumplex hypothesis couldn t be supported with the data of this study. Thirdly,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here was no problem in explaining the Fit Index, but vocational interests of Korean students appeared not as RIASEC but as RIEASC which was not a shape of a cube. Lastly, the result of dispersed analysis showed that scientific field had the highest scores on investigative type, agriculture and engineering field on realistic type, art field on art type, and commercial field on conventional type, thus, being consistent with Holland s theory. Based on the outcome of the study, the model supported by Holland s vocational interest theory accords with the representative of career environment. And so, it is a valid evaluating theory to assess individual vocational interest but the question is whether the structural hypothesis of order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ach type in hexagonal model can be applied given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estimation of Holland s theory. Therefore, Holland s theory can be used in Korea but it might be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vocational interest of the Korean students. Vocational interest does not appear the same in all groups, instead it migh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type of group or individual.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ocational grouping might reclassified in the level of subjectivity/objectivity and conservativeness/progress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