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인-
dc.creator김정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1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0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1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2.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4.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강북지역에 위치한 15개 보육시설을 1차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15개 보육시설 가운데 4개 시설, 질적 수준이 높은 상위 시설 2개와 질적 수준이 낮은 하위 시설 2개 등, 을 교사의 질적 평가를 통해 2차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4개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71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은 이은해와 이기숙(1996)에 의해 개발된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Kurdek과 Rodgon(1975)의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McGinnis와 Goldstein(1990)이 유아의 친사회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Teacher Skill Checklist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및 두 독립표본 t 검증과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시설의 유아들이 질적 수준이 낮은 보육시설 유아들에 비해 감정조망수용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은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으로서 일과계획 및 상호작용, 교육과정,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안전, 운영관리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또한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즉 질적 수준이 우수한 보육시설의 유아들이 질적 수준이 낮은 보육시설 유아들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별로는 사회생활 기본능력, 기관적응능력, 친구관계 형성능력, 공격성에 대처하기에서 상하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우수한 질의 보육을 경험하는 유아들이 낮은 질의 보육을 경험하는 유아들에 비해 사회생활 기본능력, 기관적응능력, 친구관계 형성능력, 공격성에 대처하기의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으로서 일과계획 및 상호작용, 교육과정,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안전, 운영관리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또한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y difference in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day-care center and the prosocial behavior o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se the quality of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 in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the childre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assessment of day-care center s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children? 3. Dose the quality of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 in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assessment of day-care center s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To cla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15 private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These centers are located on Northern Seoul area. Next, 4 centers were separated high and low groups through teachers self study and 71 childrens were selected in each center. Day-care center s quality assessment was done basing on the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by Unhai Rhee and Kisook Lee(1996), but it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for the assessment of child care centers.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was assessed through the questionnaire in the Teachers Skill Checklist by McGinnis and Goldstein(1990).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children was assessed through the test basing on version of Borke(1971) modified by Krudek & Rodgon(1975).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by T-test of two independent samples and Pearson s correlational interpret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children significantly depends on day-care center s quality. Namely, high quality of day-care center made children 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developed in positive way. Second, th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of children has gener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ay-care center s quality. Children 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aily plans and interaction, curriculum, physical environment, nutrition·health·safety,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factor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quality of day-care center contribute to the children 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significantly. Third, the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ay-care center s quality. Namely high quality of day-care center have effect on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in positive way. Especially, among the sub category of prosocial behavior, the children in the high degree day-care centers of children was higher than those in low degree day-care centers in some prosocial behavior like Beginning social skills, School-related skills, Friendship-making skills, and Alternatives to aggression.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day-care center made the prosocial behavior like Beginning social skills, School-related skills, Friendship-making skills, Alternatives to aggression developed in positive way. Finally, the general level of day-care center s quality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in statistics. Also quality-assessment factors like daily plans and interaction, curriculum, physical environment, nutrition·health·safety,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social behavior. Namely, as the quality of day care center get higher, children s prosocial behavior was more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II. 이론적 배경 = 6 A. 보육시설의 질 = 6 1. 보육경험이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6 2. 보육의 질적 요인 = 9 B.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 13 1.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개념 = 13 2.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 = 14 3.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 16 C. 보육의 질과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 = 19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도구 = 25 1. 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 25 2. 감정조망수용능력 = 27 3. 친사회적 행동 = 28 C. 연구절차 = 31 1. 예비연구 = 31 2. 본 연구 = 32 D. 자료분석 = 33 IV. 연구결과 및 해석 = 35 A.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 = 35 B. 보육시설의 질적 요인과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관계 = 36 C.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 37 D. 보육시설 질적 요인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 38 V. 논의 및 결론 = 41 A. 논의 = 41 B.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9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