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초등 미술 교육의 현황 조사 연구 : 미술 개인지도와 미술 학원지도를 중심으로

Title
초등 미술 교육의 현황 조사 연구 : 미술 개인지도와 미술 학원지도를 중심으로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the private elementary art education out of school which plays some role in children s art education and thereupon, find some reform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For this purpose,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ar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im, 7th National Curriculum (elementary art education part), history of private tutoring and informal art schools were discussed theoretically. Then, the conditions of the private art education out of school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by sampling 200 elementary students; the focus was put on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rt education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of out-of-school private art education,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 of elementary art curriculum (ratio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processes of their artwork design and completion, linkage between informal and formal art education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t private art tutoring or informal art schools, students depend on teachers for artwork ideas, which must be a serious problem in art education emphasizing creativity.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55% of the sample students and particularly, 57.9% of the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s draw their works in reference to other works. Second, at the out-of-school art education, few art theories are taught. 58%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been taught art theories. On the other hand, 48% of the students felt that they spent too much time on practice of art. Such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are not normally educated for art. Third, it was found that practices of art are performed centered about teachers. 44%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practicing art according to teacher s instructions, while 19% of the students were relying on reference data. Only 38%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took initiative in art practice. Such findings suggest that our elementary art education face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neglects autonomous learning on the part of the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from the survey that 20.9%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private art tutoring or informal art education because their teachers instructed them meticulously and that 15.1% of them were satisfied because they could learn about art in a liberal environment. 17.4% of them answered that they liked informal art schools because they could meet their friends. In conclusion, it is deemed important to design a student-centered art learning model in reference to DBAE, constructivism and 7th National Curriculum for informal art education in order to stimulate students sense of cooperation and creativity.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미술에 있어 일정 부분의 역할을 수행하는 개인 지도와 미술 학원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학습 개선 방안은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구성주의에 입각한 미술교육, 7차 초등 미술교육 과정, 개인지도와 미술학원의 역사를 이론적으로 고찰 하였다. 초등 미술 교육의 현황은 설문지를 도구로 조사하였고 지역으로는 서울, 일산, 인천, 강원, 경남등 초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미술학원과 개인지도 경험 유·무에 따라 미술이론 및 실기수업에 대한 생각과 이론과 실기에 대한 비중, 작품구상 및 완성의 과정,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 등에 중점을 두고 조사 하였다. 초등 미술 교육의 현황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과외교육은 작품구상을 학생 스스로가 아닌 교사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미술교육이 창의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설문결과는 55% 가 의존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고 특히, 군 단위 지역은 참고작품을 보면서 그린다는 비율이 57.9% 나 되었다. 둘째, 미술 개인지도와 미술 학원지도 현장에서는 이론 수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58% 가 이론수업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48% 가 실기시간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상적인 미술교육이 이루어 질 수 없다. 셋째, 실기시간의 수업진행방식이 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설문 결과는 선생님 지시에 따라 한다는 비율이 44% 이고, 참고자료 제시에 따라 한다는 비율이 19% 이며 실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는 비율은 38%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기 주도적 학습이 어느 수업보다도 중요한 미술수업에서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넷째, 미술 개인지도의 좋은 점은 다중응답 결과 20.9% 가 선생님께서 꼼꼼하게 잘 가르쳐 주어서 이고 15.1% 는 자유롭게 수업을 받을 수 있어서 라고 응답하였다. 미술학원의 좋은 점은 17.4% 가 친구들과 만날 수 있어서라고 응답하였다. 초등 미술 교육의 현황 조사 결론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육, 구성주의에 입각한 수업 방식, 7차 미술 교육 과정의 적절한 사용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 모델인 학생 스스로 수업을 구성하고 모둠별 활동을 통한 협동심과 창의성을 유도하고 이끄는 방법을 미술 과외 교육에서 적용하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