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비서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비서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Authors
한운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비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검사)를 통해 비서 개인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고 성격유형이 직무 스트레스와 어떤 관계를 가지며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토대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들의 성격유형 분포를 알아본다. 둘째, MBTI 선호경향(E/I, S/N, T/F, J/P : 외향성/내향성, 감각인식/직관인식, 사고적 판단/감정적 판단, 판단/인식) 과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MBTI 성격기능(ST, SF, NF, NT : 감각/사고, 감각/감정, 직관/감정, 직관/사고)과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법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비서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외향적/내향적 성격유형의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들의 성격유형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본 연구의 대상인 비서 총 87명중 내향적 감각­사고 판단형(ISTJ)이 가장 많은 유형이며, 그 다음은 내향적 감각­감정 판단형(ISFJ), 그리고 외향적 감각­사고 판단형(ESTJ)과 외향적 감각­감정 판단형(ESFJ)은 각각 세번째로 많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서들의 MBTI 선호경향과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는 외향형/내향형(E-I) 집단에 따라서 외향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내향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감각형/직관형(S-N) 집단에 따라서는 감각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직관형 직무 스트레스 수준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하위요인을 살펴 보았을 때 대인관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고형/감정형(T-F) 집단의 경우, 감정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사고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판단형/인식형(J-P) 집단의 경우, 판단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인식형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MBTI 선호경향과 스트레스 대처방법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외향형/내향형(E-I) 집단과 스트레스 대처 수준 전체를 비교해 보았을 때 내향형 집단이 외향형 집단보다 스트레스 대처 전체 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감각형/직관형(S-N) 집단에 따라서 비서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직접적 대처방법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고형/감정형(T-F) 집단에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판단형/인식형(J-P) 집단에서는 하위요인인 심리적 대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구문제 3을 분석하기 위해 ST, SF, NT, NF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MBTI 성격기능과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점수를 알아보았고 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인관계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적으로 살펴보면 SF 집단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NT집단 > NF집단 > ST집단의 순이었다. 한편, 비서들의 MBTI 선호기능과 스트레스 대처 수준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하위 요인인 직접적 대처방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구문제 4를 알아보기 위해서 개인적 특성과 성격유형의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수, 성격유형 변인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별 외향적/내향적(E-I) 성격유형 분포를 보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비서들의 성격이 외향형 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결혼여부별 외향형/내향형 성격유형 분포에서는 기혼에서는 외향형 비서의 분포가, 미혼에서는 내향형 비서의 분포가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경력별 외향형/내향형 성격유형 분포에서는 내향형 비서의 분포에서 차차 외향형 비서의 분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학력별 내향형/외향형 성격유형 분포에서는 고졸이나 대졸이상의 비서들 모두 내향형인 성격의 분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기업별 내향형/외향형 성격유형 분포에서는 국내기업과 외국기업 모두 내향적 비서 분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의 비서 분포는 내향형(59.8%)이 외향형(40.2%)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내향형 비서 보다는 외향형 비서가 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향이 있었고, 대처방법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외향형 비서보다 내향형 비서가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적극성을 띄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are major contributors to their coworkers and as well as to their companies. As profession, the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second high-stress occupation for many years(NIOSH,1978). Many studies characterized the stressful working environment in office surroundings as full of stressor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 career development, and role conflicts. The problems faced by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in their work and the consequences of continued stress in the stressful environment often contribute to work-related stress. Although work-related stressors and the associated psychological strain are prevalent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the phenomenon of work-related stress is particularly common among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Many studies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type, coping strategies, and work-related stresses; however, not many studies measured the personality type by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lthough personality type found to be related to coping strategies and work-related stressors, no one had previously looked 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very precisely within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The subjects in the study are 87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in the city of Seoul.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survey covering questions about work-relate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the MBTI personality type inventory were uti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se three variables have an effect on each others.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crosstabs were employ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shown as below: 1.The personality types (MBTI) of administrative office assistants. 2.The relationship of their preference for MBTI (E-I, S-N, T-F, J-P) and personality traits (ST, SF, NT, NF) to work-related stress. 3.The relationship of their preference for MBTI (E-I, S-N, T-F, J-P) and personality traits (ST, SF, NT, NF) to stress coping strategies. 4.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E-I personality pre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 Out of 87 administrative office managers, the personality-type distribution is as shown below: Twenty-four of them (27.6%) are introversion-sensitive-thinking-judging type (ISTJ). sixteen of them (18.4%) are introversion-sensitive-feeling-judging type (ISFJ), 7 of them (8.0%) are extroversion-sensitive-thinking-judging type (ESTJ) and extroversion-sensitive-feeling-judging type (ESFJ) and so on. As proven by MBTI association, introversion-sensitive-thinking-judging type (ISTJ) is one of the dominant Korean personality types. The relationship of their preference for MBTI (E-I, S-N, T-F, J-P) and personality traits (ST, SF, NT, NF) to work-related stress: In comparison with extrovert and introvert groups, extrovert group are more stressed out than the introvert group. It is probab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 as administrative office managers are more likely fitted into introvert group than extrovert group.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s. In sensitive and intuitive group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verall; however, the sensitive group are more stressed out from human-relations factor. Between the thinking and feeling group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feeling type felt more stress. Between the judging and perceiving groups, the judging type experienced more stress than perceiving type,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Preference (E-I, S-N, T-F, J-P) to coping strategies: In comparison with extrovert group and introvert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introvert group utilized more active coping strategies. Between sensitive and intuitive group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by subfactor, the direct way of coping strategi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who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nking and feeling types. By subfactor in the Judging and perceiving groups, the psychological way of coping strategi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ST, SF, NT, NF) and work-related stres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human relations. As a result, of the average SF group faces high stress then NT group then NF group and followed by ST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ST, SF, NT, NF) and coping strategi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by subfactor, ST group practice the more direct way of coping strategies which has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Extrovert/Introvert (E-I) Personality Preferences: To examine the age and E-I groups, in age 20s, I-group is more prevalence than E-group. However, as the age increase, the personality changes from I-group to E-group. To examine the marital status and E-I groups, E-group is more prevalence in married AOM (administrative office managers) than I-group. Between non-marital AOM, I-group is more higher than E-group. As proven in question about age and E-I groups, as age increases there is possibility that a person is married therefore, E-group increases as well. To examine working experience with E-I groups, there under 1yr and 1year to 2years of working experience, there is more I-group and E-group. With exception of 3years to 4years of working experience, Between 2years to 3years and above 5 years of working experience, more of E-group than I-group. To examine academic background with E-I groups, all levels are more of I-group than E-group. To examine types of company with E-I groups, regardless of types of companies, more of I-group than E-group is show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