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승은-
dc.creator최승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45-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급격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위한 조직 변화의 일환으로서 e-비즈니스로의 전환, e-Transformation 현상에 대한 논의를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시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e-Transformation 현상에 대한 논의의 초점은 과거 질서와 단순한 세계관을 갖는 기계론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각 시스템 분야별 연구. 분야별 성과모형, 분야별 모니터링 개발 연구에 치중되어 있고(전자상거래진흥원,2001),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전반에 걸친 디지털 변형 차원에서 조직의 어떠한 영역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즉, 변화 영역과 변형 프로세스에 대해 이론적인 체계를 가지고 접근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Transformation현상을 IT혁명과 네트워크환경 변화로 인한 전체조직차원의 혁신적인 변형 과정차원에서, 변형과정상의 구체적인 변화 영역들이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해 나갈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평가 항목들을 제시함으로써, 조직이 디지털화, 글로벌화 되어가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해 앞으로 혹은 현재의 기업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e-Transformation수준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델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e-비즈니스의 개념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e-Transformation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고, 디지털화로 인한 혁신조직 및 신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화로 인한 단계적 조직 성장에 관한 연구(정보시스템 부문 성장 단계이론/e-Transformation 단계모델), e-Transformation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e-Transformation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가지 변화 영역 즉, 「네트워킹 수준, 전략적 아웃소싱 수준, 문화적 정보처리기반 강화 수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의 평가항목<부록1>을 재구성, 보충함으로써 8가지 평가 영역과 30가지 세부평가지표로 구성된 이론적 모델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이론적 모델의 타당성은 모델의 평가항목을 실제로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설문문항으로 조작화 하여, 기업 기획, 전산, 기타부문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e-mail 설문을 실시, 총70개 기업으로부터 수집된 171부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Cronbach s alpha계수와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e-비즈니스가 사내에 도입, 확산되면서 나타나는 성과개선수준과 각 평가요인과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처리기반 강화 수준에서 조직 마인드에 대한 14개 문항은 혁신문화유도에 대한 문항(VIII-1,2,3,4,5)과 타 부문에 대한 문화적 이질감 인지 수준에 대한 문항(VIII-14), 구성원의 커뮤너티 활성화 수준에 대한 문항(VIII-6,7,8,9,10)과 비전 공유 및 자발적 협력수준에 대한 문항(VIII-11,12,13)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델과는 달리 서로 이질적인 요인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 평가모델은 네트워킹 수준에서 3개 요인(물리적 네트워킹 수준, 질적네트워킹 수준, 네트워크 활용수준), 전략적 아웃소싱 수준에서 3개 요인(조직모듈화 수준, 아웃소싱전략실행수준, 가치네트워크 주도수준), 정보처리기반 강화수준에서 3개요인(조직학습수준,조직문화의 개방성 수준, 문화적공감대형성수준), 총 9개 평가항목과 30개 세부 평가지표로 재구성 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모델은 단순히 조직이 IT/네트워크 기술을 받아들여 정보처리방식이나 거래 방식, 조직프로세스만을 전자적으로 바꾸는 협의의 변형과정으로 인식하여 부문별로 접근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그리고, 조직 전반이 변형되는 광의의 의미로 파악했다 하더라도 e-Transformation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변수가 없는 개념적인 연구들과는 달리, 조직의 전반적인 변형과정이라는 포괄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변형 프로세스 상에서 어떠한 변화요인이 존재할 것인가를 찾고, 이러한 변화요인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를 제시한 모델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실증되지 않은 여러 지표들을 e-Transformation의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평가 모델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날로 발전하는 e-비즈니스 기술 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할 환경영역이 급격하게 확장되고 변화하는 현재시점에서 거시적 시각으로 앞으로의 변화방향과 상대적 진행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관리 지침을 제시 함으로써, 여러 기업들의 e-Transformation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연구의 목적이 산업적 특성에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려는 것이었기 때문에 성과 변수에 대한 질적접근에 그쳐, 객관적 수치로 측정될 수 있는 양적 성과 지표를 개발, 포함시킬 수 없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적 특성에 제한 없이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양적 e-Transformation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이를 추가하여 모델을 재 검증하거나, 혹은 제시된 독립변수들을 산업별 특성을 감안, 보완, 재구성하여 좀 더 세분화된 산업별 e-Transformation 수준 평가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등이 진행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Recently, e-transformation has risen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n which academic and industrial world focus in order to bring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o a company that wants to adapt itself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the discussion in the e-transformation has been so much concentrated in the study of each static system, model of their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each of them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2001), that only few theoretic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dynamic process of how each system in the organization experienced the change in terms of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can occur in the whole organization facing the change of digit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develop a new model to evaluate the level of e-transformation that enables us to check out and predict the e-transformation progress. To do this, we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in e-business and e-transformation, and implemented an empirical study by analyzing 171 data that we obtained by surveying the 70 sample companies. In this process, a model whose evaluation criteria were based on 3 dimensions, 9 factors, and 30 indices was derived. The details of the model are the following. ■ The level of networking - (Degree of Physical Networking (4 indices), Degree of Human networking (4 indices), Degree of Business application to the network resource (3 indices)) ■ The level of strategic outsourcing -(Degree of Organizational Modularization (4 indices), Degree of Establishment & practice to the Business strategy based on co-competence of the organization (2 indices), Value network leading level (4 indices)) ■ The level of strengthening to organizational cultural base in information management (organizational learning level (4 indices), Degree of opennes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2 indices), Degree of perception for cultural context consensus (2 indices)) This model is the first e-transformation process evaluation intended for empirical study, especially by integrating the many indices that have not been examined empirically by the existing studies. We expect tha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ill help corporate e-business strategy planners to devise and analyze the e-transformation strategies effectively by recognizing the companies current situa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previous and other firms level, resp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과정 및 범위 = 5 C. 논문의 구성 = 6 II. 이론적 고찰 = 7 A. e-비즈니스, e-Transformation의 개념에 대한 연구 = 7 1. e-비즈니스의 개념 = 7 2. e-Transformation의 개념 = 11 B. 디지털 혁명으로 발생한 혁신조직, 신조직에 관한 연구 = 13 C. e-Transformation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 16 1. 단계적 e-Transformation수준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16 2. e-비즈니스 역량 평가 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 27 III. 연구 모델 개발 = 29 A. 1단계: 선행연구의 시사점(변화영역 선정) = 30 B. 2단계: 평가항목 선정 = 33 1. 네트워킹 수준 = 33 2. 전략적 아웃소싱 수준 = 35 3. 문화적 정보처리 기반 강화 수준 = 37 IV. 연구방법 = 40 A. 3단계: 설문지 작성 및 자료 수집 = 40 B. 4단계: 모델 검증 = 43 1. 측정 도구의 신뢰성 검증 = 43 2.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 = 44 3. 다중회귀 분석을 통한 평가요인의 중요도 분석 = 48 C. 5단계: 최종 모델 확정 = 52 V. 연구의 의의 및 향후 과제 = 55 참고문헌 = 57 부록1. e-비즈니스 현황에 대한 기존 연구/조사 = 62 부록2. 설문지 = 69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27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e-Transformation 수준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