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Title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Authors
심승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기의 공격성은 이후 발달 단계인 청소년기, 청년기를 거쳐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안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써, 이러한 공격성이 지속될 경우에는 학교에서의 부적응, 청소년 범죄, 폭력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중, 아동의 개인적 측면인 자아존중감과 환경적 측면인 사회적 지지를 공격성의 중요한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세 변인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1.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원(부모, 친구, 교사)과 자아존중감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1.2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유형(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공격성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원(부모, 친구, 교사)과 공격성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2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유형(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 지지)과 공격성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3.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63명이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로서,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박지원(1985)이 만든 사회적 지지 척도를 김승미(1997)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Rosenberg가 제작한 SES(Self-Esteem Scale)를 윤미숙(1999)이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공격성 검사는 Buss & Durkee가 제작한 BDHI(Buss-Durkee Hostility Iventory)를 노안녕(1983)이 번안한 것과 Buss & Perry(1992)의 공격성 척도를 정동화(1995)가 번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이를 사회적 지지의 하위 구성요인인 지지원과 지지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우선, 부모, 교사에게서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았고, 정서적, 평가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즉, 부모, 교사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하는 아동일수록 자신을 존중하며, 가치롭게 여기고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아동들이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어서 부모,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말해주므로, 아동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고하도록 부모와 교사들의 아동에 대한 바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공격성 정도가 낮았다. 이를 사회적 지지의 하위 구성요인인 지지원과 지지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우선 교사, 부모 순으로, 이들로부터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공격성 정도가 낮았고,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공격성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아동이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인정과 사랑을 많이 받는다고 느낄수록 공격적인 행동을 적게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격성 정도가 낮았다. 특히,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공격성의 하위 변인 중, 흥분성, 부정성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임으로써, 자신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하는 아동일수록, 긍정적인 사고를 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아동의 공격성은 중요 타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성이 높다. 특히, 부모나 교사로부터 받는 관심과 애정은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더욱이 아동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도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킨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한 교육적 관심과 지도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the children s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their aggression and to underst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aggression.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perceived social support of and degree of self-esteem? 1.1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perceived social support providers(parent, peer, teacher) and degree of self-esteem? 1.2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perceived social support types(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valu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degree of self-esteem? 2.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perceived social support of and degree of aggression? 2.1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perceived social support providers(parent, peer, teacher) and degree of aggression? 2.2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percived social support types(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valu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degree of aggression? 3.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s self-esteem and degree of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3 students who selected from the 5th and 6th grade of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scale used to measure the social support was Social-Support Inventory of Park Jee-Won(1985) and Kim Seung Mi(1997), The scale used to measure self-esteem was the Self-Esteem Scale(SES) of Rosenberg and The scale used in measuring the child s aggression was No An Young s(1983) adapted form from Buss & Durkee s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and the Aggression Scale of Buss & Perry(1992) translated by Jung Dong Haw(1995). SES and BDHI used to this study were also revised and applied.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proved to be positive. In short,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ade self-esteem increased. Also, support of their parents and teacher s, especially emotional one and valuation one, was proved to increase of children s self-esteem. In the other words, children with emotional and valuation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s are able to value themselves.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s roles are essential to children to value themselves positively. 2. The co-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ggression proved to be negative. In short,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ade aggression decreased. Also, support of their teachers and parents, especially, emotional one was proved to reduction of children s aggressions. Children received recognition and love more than others from important people show less aggressive behavior. 3. The co-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ggression proved to be negative. In short,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made aggression decreased. especially, children s self-esteem was proved to reduction of children s irritability and negativism. Also, Children with positive valuation will be lead to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assume that children s aggressions are deeply related to social support by his/her important others around them. Especially the interest and affection from their parents and teachers can be regarded as key factors to reduce the children s aggressions. Additionally, positive thought about themselves could help the aggressions decreased. In conclusion, parents and teachers have to show their interests and affections to children so that their aggressions would be reduced. Also, education for formation of affirmative self-esteem should be perform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