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조사 연구 :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itle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조사 연구 :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uthors
황아람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ritics about school education are recently increasing. Due to the complex and diverse change of modern society, school education reveals its limitation and some cried for an post-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of the social education is extended. It is understood that the roles of social education are preservative as well as the alternative function in the prolong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In other word, social education is a idea to support school education when it is unable to fulfill various social needs. Extended meaning of the social education includes all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ies besides the formal school education and the limited meaning of it is only includes the adults and old people who do not attend a school. This paper is focused on a limited means of social education groping the possibility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for adult. Museum is defines as a permanent Facility for public benefit by collecting and preserving art works to exhibit, promoting general public enjoyment and education. Museum is different from gallery for it is non-profitable and public interest organization. Not like an art education from school, museum is able to teach history of art, savor of works, as well as practice criticism and it is an institution of social education remunerative for securing specially trained people. This study is percei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Museum and groping a way to future improvement by discovering problems in museum education progra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museum.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history, structure of museum as well as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 of social education have been looked up in the reference documents and books. Also, characters of adult learners and roles of museum as a soci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This paper is focus on studying critical point of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domestic museums along with research and analyze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ven domestic museums and seven foreign museums.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Korean museum is divided by liberal arts and professional dimension. Public museum often have the theory and skill courses but some private museum is limited on theory courses only. However, the courses are literally a liberal art dimension in both case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Samsung Museum comparatively well separated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courses among all. An Educator who develops and manages the educational program in museum was not likely found except Samsung Museum. Curators, who studies history of art or aesthetics took the place most of the time. The education programs in museum are passively carried out compares to the importance of its need. Foreign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and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for example are well organized with several programs for different people such as elders and disables. In case of The British Museum, freelance educator and museum employees involves in developing the program.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useum work together on public considered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museum. Result of above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e improvement ideas of the adult education in domestic museum reaches to few points list as follow: First of all, basically museum related people must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once again. Museum education program induces people and play important role of expending and reproducing art consumer. Secondly, museum must understand special traits and diversity of adult learners. The program developer must actively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adult learners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es and age groups. Also, mor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curriculum must follow. Thirdly, changing form of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structing and learning centered courses of skill and theory class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Nowaday, Computer based life style become so common that life with out Internet and computer is unthinkable for many people. Therefore, searching for new ways such as planning of cyberspace education based on web and developing CD ROM title related to displayed art works of the museum is necessary. It is also great improvement nowadays that we could look up the possessed art works of specific museum through Internet. However, developing original education program to stimulate the interest for learning must be introduce soon. Also, provide new programs such as exhibition with different genre of art is recommendable. Museum will function greatly as a multi-literary center which society demands from it. Lastly, specially trained people must be secured. If each museum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they must hire professional educator. In order to renew the education in muse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by specialist will elevate efficiency of program practice. ;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이 근래에 들어 급증하고 있다. 현대사회가 복잡, 다양해짐에 따라 학교교육은 그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고 탈학교교육을 부르짖는 입장까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사회교육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학교교육의 보완적 기능은 물론 대안적 기능 및 학교교육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연장선상에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이다. 즉, 사회교육은 학교가 사회의 제반문제를 전적으로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이를 만회하고자 하는 데서 얻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정규교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적인 교육활동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학교에 다니지 않는 성인과 노인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을 전제로 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에서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미술관은 미술품을 수집, 보존하여 일반 대중의 즐거움과 교육을 위해 공개, 전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항구적 시설을 의미한다. 미술관은 비영리적이고 공익적인 조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갤러리(gallery)와는 구분된다. 미술관은 학교의 미술교육과 달리 표현 뿐 아니라 미술사, 감상과 비평교육까지 가능하며 전문인력 확보에 유리한 사회교육기관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고 각 미술관을 비교분석을 통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개념과 역사, 조직, 사회교육의 정의와 사회교육관련 법규, 성인학습자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내 미술관 일곱 곳과 국외미술관 일곱 곳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 지 살피고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성격과 방향을 분석을 통해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미술관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은 교양교육의 차원과 전문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주로 실기강좌와 이론강좌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공립 미술관의 경우는 실기강좌와 이론강좌 모두가 실시되지만 일부 사립미술관은 미술사와 관련한 이론강좌만 실시되고 있었고 양자 모두 일반인을 위한 교양교육의 차원의 강좌만이 진행되고 있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삼성미술관은 전문가와 일반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비교적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교육담당자(Educator)의 경우는 삼성미술관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대부분 미술학이나 미술사를 전공한 큐레이터들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 비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었다. 해외 미술관의 경우, 모던 아트 뮤지엄과 휘트니 미술관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었다. 대영박물관은 미술관 직원이나 프리랜서 교육담당자가 프로그램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었다. 미술관의 운영에 있어 미술관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잘 고려되어 대중과 친숙한 기관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사례 연구의 결과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기본적으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은 대중을 미술관으로 유인하고 홍보하며 미술소비자를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인식해야 한다.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에서 비롯되는 요구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며 계층별 연령별로 나뉘어 개발되어야 한다. 전문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질적 향상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의 형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교수-학습과정이 강조되는 현재의 실기나 이론위주의 강좌들은 학교교육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은 컴퓨터나 인터넷이 없으면 생활이 힘들 정도로 컴퓨터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Web을 기반으로 사이버 교육을 기획하거나 소장품 혹은 전시 작품과 관련하여 CD롬 타이틀 등이 개발, 보급하는 등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각 미술관의 홈페이지에서 소장품을 찾아보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 프로그램으로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술 장르(문학이나 음악)와 전시를 연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미술관이 사회가 요구하는 복합문화센터의 역할을 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역할을 하게 된다. 넷째. 전문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각 미술관이 미술관 인력을 선출할 때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교육전문 인력을 반드시 선출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이 보다 전문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져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효율성이 더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