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영-
dc.creator김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54-
dc.description.abstractFine art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young people the following. Young people should comprehend the worth of art and national line that connects with the past in our traditional fine arts and on the basis of young people s getting along with the new era, the education should make them try to create the new traditional culture. For the above, the appreciation of Korean paintings which have been the representatives of Korean traditional fine arts can bring up the identified Korean people who can comprehend the beauty of culture and then make it our owns in the situation of globalized world. And also it could be the basis of creating an international people who can observe and compare the various cultural styles and choose what they want. But in the real classroom activities, the appreciation activities of Korean paintings are not performed well because of lots of problem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rough respecting what students know about Korean paintings so far and evaluating Korean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in class. Therefore this research discuss the goal and importance of Korean paintings appreciation activities and compare the portion of Korean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in all eight kinds of main text books being used in junior high school. In order to acquire their knowledge about Korean paintings, questionnaires for ninth graded students in Seoul were used. To identify the reason of the result, additional research was done. For this, fine art teachers in Seoul assist in surveying Korean painting education circumstanc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current art textbooks cannot be used effectively as a tool of education. Although students enjoy art classes, they don t think the appreciation activities are interesting. They have less interest in traditional art and Korean paintings. Despite the fact that many paintings were repeatedly contained in many textbooks, students did not know the name of the title and artists. In case the works were made by modern Korean painters, the familiarity was more decreased. Teacher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educating students about appreciating Korean paintings. However systematically well formed Korean painting appreciation instruction has not performed.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make young people get interest and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fine arts. For this, diverse aspects of researches are needed so that students have more opportunities to approach the information on Korean paintings with ease. ; 미술과 교육은 정서적 교육이 필요한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우리의 고유한 전통미술의 미적 가치와 민족 정서를 이해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여 전통을 창조하려는 노력의 기초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전통미술 중에서도 대표적인 한국화의 감상교육은 우리 민족의 전통의 미를 이해하고 내면화 하여 세계화, 국제화가 되어가는 시대상황 속에서 주체성을 가진 한국인을 양성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양식을 주체적으로 선별하여 받아 들일 수 있는 국제적 인간형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한국화 감상 수업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한국화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 분석하여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화 감상수업의 파악을 통해 전통미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화 감상교육의 목적 및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현재 중학교 8종 미술교과서를 통해 한국화와 서양화의 예시작품 비율을 분석했다. 중학생의 한국화 인지도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지역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한국화 교육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현행 미술교과서는 한국화 감상수업의 지도 자료로써 충분하지 못하다. 중학생들은 미술시간에 흥미를 갖고 있는 반면 감상수업은 재미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통미술과 한국화에 대한 관심이 적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한국화 작품들의 작가를 잘 알지 못했고 현대 한국화 작가의 작품일수록 전혀 알지 못했다. 교사들은 한국화 감상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체계적인 한국화 감상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미술 교육에서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도와 주체적인 문화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한국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II. 한국화의 기본 개념 = 4 A. 한국화의 개념 = 4 B. 한국화의 특성 = 5 C. 한국화의 흐름 = 6 III. 미술감상교육 = 10 A. 미술감상의 개념 = 10 B. 미술감상 교육의 목적과 중요성 = 13 C. 한국화 감상교육의 필요성 = 16 IV. 중학교 한국화 감상 교육 실태 조사 및 분석 = 18 A. 현행 미술과 교과서 분석 = 18 1. 미술과 교육과정 = 18 2. 교과서 분석 = 20 B. 중학생의 한국화 인지도 조사 분석 = 26 1. 흥미도 = 27 2. 한국화에 대한 인지도 = 32 C. 중학교 한국화 감상교육환경 실태 조사 분석 = 46 V. 결론 = 56 참고문헌 = 58 설문지 (학생용) = 60 설문지 (교사용) = 64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4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한국화 인지도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서울 지역의 3학년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