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기업 내 e-Learning 학습성과를 위한 동기유발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Title
기업 내 e-Learning 학습성과를 위한 동기유발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uthors
김희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대기업에서 e-learning 교육의 도입을 선호하고 있지만 현장에 나가서 기업 내e-learning 담당자와 인터뷰를 해 본 결과 국내에서 e-learning의 교육의 학습성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e-learning교육 담당자는 기업교육에 참여해야 하는 대상자들의 동기를 고려하지 않고 교육대상자들의 참여가 자발적인지 강제적인지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 논문은 기업구성원 관점에서 e-learning 참가자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 학습동기와 관련된 변인들이 학습성과에 영향정도를 파악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e-learning을 기업 내 도입하고 있는 기업의 구성원들 중 e-learning의 경험을 가진 기업구성원들은 대상으로 서베이 방법의 실증연구를 하였다. 서베이 결과 279명이 응답하였다. 측정항목은 주의력 12문항, 관련성이 14문항, 자신감이 13문항, 만족감이 10문항, e-learning학습동기가 3문항, e-learning학습성과가 3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 당 5점 척도로서 평가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10.0의 통계 기법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력에 요인에서 학습자의 탐구 태도를 유발하는 탐구적 각성이 학습동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성 요인에서 모티브일치와 친밀성이 학습동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e-learning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종류에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높이고 e-learning의 학습성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셋째, 자신감 요인에서 성공확신이 학습동기와 정의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교육 내용의 직무관련성과 업무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한 기업 구성원이 실무에 복귀해서 직접 실천해 보았을 때 학습동기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넷째, 만족감 요인에서 개인적 노력과 성취에 대한 피드백과 정보의 제공 등의 내재적 강화와 , 기업차원에서 언어적 칭찬이나 금전, 인센티브 제공 등의 외재적 보상은 기업구성원들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다섯째,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교육훈련을 통한 학습량이 많아져 학습성과가 높아진다고 밝혀졌다. ; This research focused on 1)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motivational factor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and training motivation(motivation to learn) 2) To analyze betweem the performance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traning motivation. Data is based on the research on 218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which have e-learning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18 trainees who attended e-learning program in organization. Questionnaires for analyses were used after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hadbeen verified through the pre-test.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4 November 2002 to 10 December 2002. The collected data was worked on at SPSS11.0 program for Windows, with a statistic significance level of 5%. Statistical methods that had been used wer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First,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tion are significant correlative with e-learning motivation. Second, motivation of e-learning is significant correlative with the performance of e-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