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이현영-
dc.creator이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02-
dc.description.abstract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is increasingly being used as a high-risk but potentially successful treatment for various boold cancer. Recovery from this intensive BMT process requires a long-term course, often accompanied by acute morbidity that includes several psychosocial difficulties which negatively impact patients. The adjustment problem which many BMT patients have often experienced are depression, anxiety, fatigue, helpless, isolation, impaired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nd poor body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BMT patient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adjustment and factors such as, socio- demographic factors, BMT factors, hardiness,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also analyzes influence of factors and suggests a ground for intervention which is helpful to improve the adjustment level of BMT patient s adjustment level. Data from sample of 84 patients after BMT was colle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t first,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re shown to be somehow high level. Furthermore, aspect of health care related to BMT treatment and recovery, and adjustment level with family are both high, on the other hand, in sexual life and vocational environment, adjustment level is lower comparatively. Secondly, in exam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ge and income are correlated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The younger BMT patient and the more income, adjustment level has tendency to be higher. When disease diagnosed as acute, adjustment level is lower. In the condition of high commitment,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and high evaluational support, the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is increased. Thirdly, for examing expected variables of the psychosocial adjust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ive variables - sociodemographic factors, BMT factors, hardiness,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As a result, evaluational support, family relationship, income and commitment in the cause model accounted for 54.1% of the variance i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ccoring to patient s need, social workers must intervene to reduce financial difficulty and improv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the BMT patients with low income by connecting financial suuport resources. 2. When the BMT patient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BMT actively, the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gets higher. At this point, social workers sholud encourge in this situation for raising commitment of BMT patients. 3. Effective intervention with both BMT patients and families are essential. Therefore social workers have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and education about BMT process through integrated intervention programs. ; 골수이식은 그동안 불치병으로 인식되었던 백혈병과 재생불량성빈혈등의 혈액암 환자에게 도입된 후 꾸준히 발전되어 오늘날 성공적인 치료방법으로 부상되어 생존율을 높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 골수이식의 치료 성적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부작용과 이식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문제는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발병 후 골수이식을 계획하고 확정하기까지 수개월이 소요되며, 골수이식술 자체만을 위해 입원하고 퇴원에 이르기까지 대략 45일에서 60여일의 장기간이 소요된다. 이 기간동안 환자들은 특수시설이 된 무균병실에서 엄격한 격리로 인한 고독감과 질환 자체의 불확실한 예후 및 치료과정에서 수반되는 각종 신체적인 제한과 신체상(Body Image)의 변화, 불안, 우울 등의 심리사회적인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즉 골수이식은 혈액암 환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독특하고 중요한 문제로서 골수공여자 선정에서 나타나는 가족과의 문제나 골수이식 전에 나타나는 불안의 문제, 골수이식 후 무균실에서 혼자 생활하면서 나타나는 고독감과 무력감, 퇴원후 삶에 대한 불안감과 경제적인 부담감 등으로 인해 우울, 불확실성,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겪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같이 다양한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가진 골수이식 환자의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현재 골수이식 전 단계에서의 경제적 문제해결을 위한 자원 동원 등의 개입에 치우쳐진 의료사회복지사의 개입을 골수이식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심리사회적인 적응을 돕는 전문적인 개입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각 환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심리사회적 문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또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논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적응이론을 근거로 하여 골수이식 환자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을 파악하고, 적응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또 각 요인들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의 차이가 어떠한지, 어떠한 요인들이 심리사회적 적응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의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계를 이해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사회복지사는 골수이식을 준비하고 있는 환자에게 이식 전후로 그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와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골수이식 환자에게 잠재되어있는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사정하여 낮은 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진 환자에 대해 의료사회복지사가 집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파악한다. 2.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골수이식관련 특성, 강인성,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3.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골수이식 관련 특성, 강인성,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본다. 4.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각 요인들의 종합적 영향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사회적 적응을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인간이 자신의 욕구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 자극에 대응하는 조치로서, 개인의 적응능력 수준에 따라 나타난 심리적, 사회적 차원의 반응’으로 개념화하였고 이를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인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골수이식관련 특성, 강인성,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로 분류하고 이를 중심으로 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서울, 경기지역의 골수이식 인정기관 18개 병원 중 5개 병원과 환자 자조모임인 새빛누리회을 통해 18세이상 골수이식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된 자료는 84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으며 연구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보통이상의 적응수준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골수이식 치료와 회복에 관련된 건강관리 측면과 이와 관련된 가정내에서의 가족과의 적응수준은 높은 반면, 성생활이나 직업적 환경 측면등의 적응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아 골수이식 환자들이 골수이식으로 인한 신체적인 한계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요인별로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요인중에서 골수이식 환자의 연령이 낮아질수록 적응수준이 높아지고, 수입이 많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수이식관련 특성중에는 골수이식 환자의 진단명이 급성일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인성중 자기투입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도 높아졌다. 가족환경 측면에서는 골수이식 환자의 가족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이 높아졌고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중 평가적지지,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골수이식관련 특성, 강인성,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의 변수중에서 어떤 변수가 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평가적 지지, 가족관계, 수입, 자기투입성 순으로 전체 심리사회적 적응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골수이식 환자가 평가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고, 가족관계가 긍정적이며, 수입이 많고, 자기투입성이 높을수록 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단일한 요인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골수이식전과 후의 여러 가지 요인들 즉 인구사회학적 특성, 강인성,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통해 일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다양한 심리사회적 적응 요인들 가운데 특히 수입은 고액의 치료비가 소모되는 골수이식의 특성상 수입이 낮은 환자들일수록 상당한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고 이것이 골수이식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골수이식환자의 원활한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환자가 경제적 어려움이 있을 경우 최대한의 자원을 동원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골수이식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피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경향일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이 높아지므로 골수이식 환자의 자기투입성을 높이기 위한 개입을 해야할 것이며 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중의 하나인 가족환경중 관계영역은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가족간의 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개입이 필요하다. 골수이식 환자들이 이식후 부딪치게 되는 여러 가지 위기상황에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주어 환자 자신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것이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골수이식 환자들에게 골수이식후 적응과정에 대한 정보제공를 제공하여 평가적 지지 측면을 강조하여 개입하고, 강인성을 부과하는 통합적인 개입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골수이식 환자는 수입이라는 외적 요인이외에 적응과정에 관련된 강인성과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정도에 따라 적응수준이 달라진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므로 골수이식 환자의 적응을 위한 사정과 개입은 환자와 환자 가족을 포함하여야 하며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 각각의 특성에 따른 전문적이고 구체화된 사정과 개입 계획을 세워야 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4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스트레스-적응 이론 = 6 1. 적응의 개념 = 6 2. 스트레스와 적응의 관계 = 7 3. Pollock의 스트레스-적응 모델 = 9 B.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 10 1. 골수이식 과정에 따른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 10 2.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 13 C. 골수이식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4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16 2. 골수이식관련 특성 = 16 3. 강인성 = 17 4. 가족환경 = 19 5. 사회적 지지 = 19 D. 연구분석틀 = 20 1. 연구가설 = 20 2. 연구모형 = 22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3 B. 연구도구 = 23 1. 심리사회적 적응 측정도구 = 23 2. 강인성 측정도구 = 24 3. 가족환경 측정도구 = 25 4.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 25 C. 자료분석방법 = 26 IV. 연구결과 분석 = 27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7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27 2. 골수이식 관련 특성 = 29 B. 조사대상자의 강인성,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 = 31 1. 강인성 = 31 2. 가족환경 = 31 3. 사회적 지지 = 33 C. 조사대상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 33 D. 심리사회적 적응과 요인들과의 관계 = 35 1.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35 2. 골수이식관련 요인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38 3. 강인성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41 4. 가족환경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42 5.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43 E.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영향요인 = 45 1.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45 2. 골수이식관련 요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46 3. 강인성 요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48 4. 가족환경 요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49 5. 사회적 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51 F.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 = 52 1. 전체 심리사회적 적응의 종합분석 = 52 2. 심리사회적 적응의 각 하위영역에 따른 분석 = 54 V.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61 1.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한 제언 = 61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62 참고문헌 = 64 <부록 1> = 69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06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골수이식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