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Title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uthors
김명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강철희
Abstract
농정체성(Deaf Identity)은 청각장애인이 청각장애인 문화와 공동체에 대하여 동일시를 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농정체성의 발달은 청각장애인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개인적으로는 농정체성이 발달할수록 사회적으로 보다 수용적인 행동을 하므로써 궁극적으로는 사회적응력이 더 높아지고, 또한 농정체성이 발달할수록 자아개념이 긍정적이 되고 자아존중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농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청각장애인의 교육이나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에 있어서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발달에도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청각장애인에 대한 연구자체가 미약할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청각장애인을 이해하는 논의나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의 수준에 대하여 평가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청각장애인들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개인적 특성 요인, 장애 특성 요인, 가족 특성 요인, 사회환경적 특성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 (건청 정체성, 주변 정체성, 몰입 정체성, 이중문화 정체성)의 수준에 대하여 알아본다. 2)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특성(성, 연령, 교육수준, 교육형태)이 무엇 인지 알아본다. 3)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장애특성(장애정도, 장애발생연령, 의사소통수단, 수화능력, 구화능력)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4)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특성(부모의 청각장애 유무, 부모의 수화가 능여부, 가족지지)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5)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환경적 특성(친구지지, 청각장애인 교류, 건청인 교류)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6) 다른 특성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개인 특성, 장애 특성, 가족 특성, 사회환경적 특성중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학교, 교회, 복지관, 단체등을 이용하는 청각장애인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들의 농정체성 수준은 건청 정체성이 가장 낮았으며, 주변 정체성, 몰입 정체성, 이중문화 정체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듣지 못함(농)을 장애로 이해하기보다는 단지 의사소통의 수단이 다를 뿐이라는 문화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특성으로는 교육수준과 교육형태가 있으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변정체성과 몰입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교육을 받을수록 청각장애를 부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반면, 몰입정체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장애특성으로는 장애정도와 구화선호, 수화능력, 구화능력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화를 잘할수록 그리고 반대로 구화를 못할수록 건청인을 적대적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특성으로는 수화가능부모와 가족지지로 나타났다. 부모가 수화에 허용적이면서 사용할 줄 알거나, 청각장애인이 가족으로부터 지지와 존중을 받고 있다고 높게 인지할수록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을 동등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환경적 특성으로는 친구지지, 청각장애인 교류, 건청인 교류 등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밀접한 영향관계에 있는 정체성은 이중문화 정체성으로 친구로부터의 심리적·정서적 지지를 높게 인지하고 청각장애인과의 모임이나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을 동등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각 변수들중 유의미한 변수들을 갖고 농정체성에 대한 종합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건청정체성은 주로 사회환경적 변수에, 몰입정체성은 개인 특성 변수에, 이중문화 정체성은 가족특성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청각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건청과 농을 균형적으로 이해하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교육이나 재활에서 수화와 구화의 균형적인 강조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즉, 교육과정이나 사회분위기가 구화와 수화를 동등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부모를 포함한 가족원들이 수화를 의사소통수단으로 활용하므로써 청각장애인과 충분히 대화를 나누고 장애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족을 대상으로 수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나 수화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각장애인에 대한 가족들의 심리적, 정서적 지지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족들이 청각장애인 지지의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이나 형제자매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각장애인들이 같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인과 자조집단을 통하여 서로에게 지지와 격려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Deaf Identity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that identifies deaf culture with deaf community by deaf people. The development of Deaf Identity has an important meaning to deaf individually and socially. Individually, we can find that they act more acceptive as the deaf identity develops and, in the end, they have a better social adaptation and, also, their self-concept turns positive so that their self-esteem becomes higher. Socially, studies on deaf identity bring up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education for deaf and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contribute its developmen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level of deaf identity and verifies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that. In order to this, I will explain the factors which are able to affect deaf identity with categorizing such as personal factors, disability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se are the item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 Researching the level of deaf identity (hearing identity, marginal identity, immersion identity and bicultural identity). 2) Researching personal factors (sex, age, degree of education, type of education) affect deaf identity. 3) Researching disability factors (degree of disability, onset age, method of communication, sign language ability, oral speech ability) affect deaf identity. 4) Researching family factors (parents hearing availability, parents sign language ability, family support) affect deaf identity. 5) Researching social factors (friend support, interaction with another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affect deaf identity. 6) Researching which affects deaf identity among personal factors, disability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under circumstance with controlling else factors. To study those items we surveyed 158 deaf people who use school, church, rehabilitation center, organization in Seoul and Gyong-gi area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eaf identity showed as low of hearing identity, marginal identity, immersion identity as far bicultural. Second,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education degree and form of education which shows the marginal identity and immersion identity are higher as their education degree is lower. Third, disability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degree of hearingless, preference of oral speech, sign language ability and oral speech ability. Fourth, family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parents sign language availability and family support. Fifth, social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friend support, interaction with another deaf, interaction with hearing people and so forth, that is, all variables set this study can affect deaf identity. Sixth,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synthetic influence to deaf identity with meaning variables, it appears like hearing identity is usually affected by variables of social factors, immersion identity is affected by variables of personal factors and bicultural identity is affected by variables of family factors. With these findings, following items are needed to make deaf people accepting their disability positively and bicultural identity higher which understands balanceable between hearing and deafness: First, balanced emphasis is needed between sign language and oral speech at the education or rehabilitation of deaf. That is, the course of education or social atmosphere must be changed enough to concede the oral speech and the sign language are equal and accept it. Second, as family including parents use sign language for communication, they converse adequately with deaf members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deaf people can accept their disability naturally. In order to do this, we need to carry a program of sign language or parents education for families of deaf people that is able to their family accept sign language positively. Thir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of family for deaf are needed to establish. Therefore, We need to strengthe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deaf or sibling program so that they understand sufficiently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support to deaf people. Last, deaf people need to support and encourage each other through another deaf and self support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